분기부 검측시 백게이지 측정 위치를 대략적인 위치인 8번은 80MM, 10번은 100MM, 12번은 120MM등의 위치에서 측정하고 있습니다. 복잡한 계산에 의해서 나온 치수인 줄 알고 있습니다만,  계산하는 방법을 알고 싶어서 여러방법으로 찾아 보았으나  찾지를 못 해서서 이렇게 질문을 합니다. 선배님들의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어느 철길 위에서 일하는 사람이......

  • ?
    김건환 2013.08.02 13:36
    서울메트로는 분기기 번호와 상관없이 지금까지도 노스레일끝에서 50mm떨어진곳에서 백게이지를 측정하여오고있습니다. 저도 이러한 궁금한점이 있어서 관리소장한테 물어봐도 정확한 답은 없네요
  • ?
    최진우 2013.10.28 17:46
    예전 철도청 규정엔 110mm에서 측정하였으나 이론교점과 실제교점을 측정시 차이가 없습니다.(ㅎㅎㅎ)
    간단하게 빽께이지는 궤간선을 정하기위한 방법이되는 거죠, 여기에 가드간격이 더해지는 거니까요.
    실제 가드 간격이 적다면 문제가 됩니다.
    주레일을 구속된 레일이 가드레일 이니까요.차륜이 궤간 내방으로 떨어짐을 방지하고 차량의 동요를 적게하는것!
    즉, 현장에선 궤간이 중요한거죠!ㅎ ㅎ ㅎ
    물론 중요하지만 탈선시 빽게이지 측정하는 사람 있습니까! 규정에 어디서 측정하라고 나와있습니까?
    반대로 궤간과 가드간격만 측정해보면 되는거죠
    여기까진 개인소견입니다.
  • ?
    김호일 2014.06.17 21:42
    인력검측시 백게이지만 측정하는것이 아니라 궤간도 측정을 해야 합니다. 궤간-벡게이지=가드간격이니까요.
  • ?
    눈물천사 2017.06.22 22:54
    노오스에서 측정하는 백게이지의 거리를 위와 같이 하는 이유를 추정해보면 아마도 분기기 번호에 상관없이 노오스의 폭(두께)이 같은 지점에서 측정하기위함일것입니다.
    분기기 번호를 매길때 8번,10번, 12번,,, 이렇게 정하는 이유를 분기각에서 찾으면 쉽지만 현장에서는 그렇게 찾지 않찮습니까?
    8번분기기는 80mm, 10번분기기는 100mm, 12번 분기기는 120mm 에서 노오스 폭(두께)이 같아지기 때문일 겁니다.
  • profile
    송정석 2017.06.23 00:14

    이부분에 대해서 여러가지 논란이 있습니다.
    우선 삼표에서 제작하는 크로싱 도면은 일본 도면을 글자만 바꿔 그 도면에 의해 크로싱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크로싱 도면을 보시면(자세하게) 8번 크로싱은 80mm, 10번 크로싱은 100mm, 12번 크로싱은 120mm라고 기재가

    되어 있습니다. 이 거리는 분기기 번호 즉, 각도와 연관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 연관성이 과연 우리나라에서도 적용되는지는 삼표에서도 정확하게 답변을 해주지 않고 있습니다.
    크로싱 각이 전동차 및 기관차, 화물차 등 차륜이 여러가지 임에도 불구하고 위 도면처럼 일정하게 제작하는데는

    문제가 있는 듯 합니다. 차륜직경에 따라 노스부에 닿는 부분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여기에서는 차륜 직경이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

    저가 왜 그런 숫자가 나온지 알려달라고 해도 설계하시는 분에게 명확한 답변을 얻지못했습니다.
    그래서 백게이지 측정방법을 정확하게 전달하고자 현장 교육을 시켰던 적도 있습니다.

    실제로는 기존과 동일하게 측정을 할지라도 백게이지는 궤간선 이론교점에서 80,100,120mm 지점인 부분에서

    측정하는 것이 올바른 측정이라고는 알고 있어야 한다고
    요즈음은 크로싱 노스부에 80mm, 100mm, 120mm 지점 등에 칼집을 내여 표시하여 측정을 하기도 합니다.

    조만간 삼표에 재차 문의하여 이 부분에 대해서 정확하게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이부분에 대해서 정확하게 아시는 분이 계시면 알려주시기 바랍나다..........


    참고적으로 좌측 검색창에 백게이지로 검색하시면 측정방법 등 자세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48] 송정석 2019.04.21
질문에 대해 답하기 및 설명 시 50∼500포인트를 적립하여 드립니다. [30] 송정석 2015.06.17
678 고속철도 레일의 누적통과톤수에 대한 교환주기? [6] 손명덕 2013.05.21
677 레일교환시 최소 10m이상의 것으로 사용해야하는이유는? [3] 김현종 2013.05.22
676 안녕하세요... [1] 이동열 2013.05.24
675 차륜 [1] 이영진 2013.05.28
674 자료 다운받을려고 하는데 글쓴수4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2] 정윤석 2013.05.31
673 글쓴수가부족 [2] 이진한 2013.05.31
672 글쓴수가부족 [2] 박근혜 2013.05.31
671 글쓴수가 4부족하다고하네요 [4] 이완규 2013.06.01
670 레일의 이음매간격의규정(용접부) [2] 김건환 2013.06.06
» 백게이지 검측에 관하여 [5] 사성정 2013.06.14
668 콘크리트도상 층분리현상 [1] 박선영 2013.06.14
667 레일 용접에대한 질문입니다 줄맞춤, 면맞춤 관련.. [2] 이승환 2013.06.18
666 2012년 필답형 기출 문제 문제 답변 부탁드려요 송준영 2013.06.19
665 망간크로싱(10번) 무게를 알수있을까요??? [3] 정득채 2013.06.30
664 일반분기기의 크로싱에관하여 궁금합니다. 김종민 2013.06.30
663 비밀번호 알 수 있을까요 [2] 문상혁 2013.07.02
662 콘크리트도상에서 궤도틀림(수평,고저,궤간,방향)이 발생하는 이유 [6] 이원국 2013.07.03
661 파일에러났어요ㅜ.ㅜ [3] 박지만 2013.07.07
660 금범 철도보선기사 및 산업기사 시험 규정 혼란?? [4] 양영인 2013.07.08
659 비밀번호 수정이 안됩니다. [1] 박철수 2013.07.27
658 사진올리기 개선 김건환 2013.07.29
657 철도건설사고보고 및 처리지침 [2] 김태욱 2013.07.31
656 분기규격 [2] 이원국 2013.08.07
655 철도기술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김동훙 2013.08.20
654 질문있습니다1! 궤도관련 [3] 탁준영 2013.09.2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9 Next
/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