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파상마모와 코루게이션(Corrugation)이 같은걸로 알고 있었는데


어느 책에서 그림과 함께 파상마모와 코루게이션이 다른것으로 되어 있네요~


아니면 코루게이션이 파상마모의 한 종류 인건가요?


2. 레일쉐링과 파상마모의 차이점이 있나요? 아님 같은개념 인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
    도철맨 2017.09.19 13:20
    *** 레일답면 손상종류*****
    1. 파상마모(Corrugation)--------------> 레일의 표면상 파상(물결모양)
    열차의 진동 충격, 표면경도 증가, 차륜의 공전(직선부, 구배부), 양차륜응하중 분담 불균형(곡선부)등이 원인으로 작용
    1) 단파장(Short Corrugation)
    레일 길이방향으로 표면에 짧게 물결모양의 파형(3-8cm)이 나타나는 현상
    2) 장파장(Long Corrugation)
    레일 길이방향으로 표면에 길게 물결모양의 파형(8cm이상)이 나타나는 현상

    2. 가공경화(Harding Shelling)---------------> 레일의 표면 결함
    1) 코너부 경화(Gauge corner shelling)
    차륜의 반복충격 하중으로 게이지 코너(외측레일)부분이 경화 되어 조개 껍질 모양으로 실금이 발생하며 심화될 경우 박리로
    발전되는 현상으로 승강장 인접곡선의 시작과 끝 지점에서 주로 발생.
    2) 표면경호(Surface Shelling)
    차륜의 반복충격 하중으로 레일의 두부면이 경화되어 조개껍질 모양으로 실금이 발생하며 심화될 경우 박리나 엔진화손으로
    발전되는 현상.
    ※ 헤드 체크(Head check)는 게이지코너의 높은 하중과 큰 슬립에 기인하여 표면에 무수히 많은 작은 실 같은 균열이 주로
    대각선 방향이나 주행면으로 나타는 것으로 헤드체킹도 쉐링으로 분류되고 있음

    3. 표면박리(Flaking)
    1) 두부면 박리(Surface Flaking)
    쉐링(Shelling)과 기존 재질의 경계부가 분리되어 떨어지는 현상.
    2) 코너부 박리(Gauge corner Flaking)
    게이지 코너 쉐링(Gauge corner shelling)이 기존 재질부의 경계부가 분리 되어 떨어지는 현상.

    4. 용접부 패임(Welding Batter)
    용접부의 재질 경도차로 인하여 마모량이 달리 나타나며 심화될 경우 높이의 단차까지 나타나며 퍼지는 현상.

    5. 엔진 화손(Engine Burning)
    열차 속도의 가감속 구간에 차륜과 레일의 압력에 의해 쪽이 묻어나는 현상으로 열손이라고도 하며 내부 균열로 발생.

    6. 압연피막과 결함(Mill Scale & Defecters)
    레일 제조과정이나 공정상 결함과 부설시 발생된 결함을 포함
  • profile
    송정석 2017.09.20 17:03
    답변 감사드리며
    아울러, 포인트 500포인트 적립하여 드렸습니다.
  • ?
    보선분소장 2019.06.12 18:48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레일 손상에 대한 정확한 용어의 정의가 정립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도철맨님께서 말씀하신 가공경화(harding shelling), 표면박리(Flaking)의 용어는 찾아보기 힘들뿐만 아니라 현상을 표현을 용어인거 같습니다. 미국이나 호주의 매뉴얼에서는 가공경화를 차륜접촉피로결함(RCF), 표면박리는 스퀏(squt)이라 불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런 RCF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던 것도 2000년 영국 핫필트 열차탈선사고에 의한 것으로
    RCF의 경우는 발생하는 형상에 따라서 게이지코너체크, 주행면체크, 쉐링으로 나누어 관리하는 것으로 매뉴얼에는 나와 있습니다. 오랜만에 들어와 두서없이 썼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48] 송정석 2019.04.21
질문에 대해 답하기 및 설명 시 50∼500포인트를 적립하여 드립니다. [30] 송정석 2015.06.17
678 포인트 모음 질의 secret 모두함께 2024.05.09
677 파일에러났어요ㅜ.ㅜ [3] 박지만 2013.07.07
676 파일다운로드가안됩니다. [1] 백야 2021.06.19
675 파일 비밀번호가 달라서 조치 부탁드립니다! [1] 현장사진 2020.06.22
674 파일 비밀번호 오류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1] 수진사랑 2020.07.08
673 파일 다운로드가 안 됩니다. secret 대힌국민 2021.06.09
» 파상마모와 코루게이션(Corrugation) / 쉐링과 파상마모의 차이점 [3] 영원 2017.08.28
671 파상마모(Corrugation)에 관한 토론방입니다. [42] 송정석 2006.09.01
670 특수분기기의 종류 [2] 안재영 2017.07.05
669 트윈 블록침목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1] 닐리리뽕 2022.04.14
668 트로리운반 작업량에 관한 질문입니다. 유근 2018.05.29
667 트로리에 관해??? 김청식 2013.12.24
666 토목기능사 질문입니다 붕어빵맛라떼 2018.03.19
665 테르밋트용접동영상 자유게시판에 올렸습니다. [1] soo 2019.04.02
664 테르밋트용접동영상 자유게시판에 올렸습니다. [1] soo 2019.04.02
663 테르밋트용접 동영상 [2] soo 2019.04.02
662 테르밋트용접 동영상 [2] soo 2019.04.02
661 테르밋용접 재용접 질문 [1] 김강희 2020.04.09
660 테르밋용접 굴곡시험 기준 [2] 똥빵이 2016.12.23
659 텅레일 벌림의 정의가 궁금합니다. 저급인력 2024.03.11
658 탈퇴 하는방법 [1] 공주 2019.04.05
657 탄젠트 마이너스1 구하기 [1] 눈보 2018.12.10
656 크로싱후단 종거,캔트 값은? secret 루암 2021.06.22
655 크로싱부 궤간기준에 대해 문의드려요 fallinpsm 2018.03.0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9 Next
/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