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8.08 22:32

Front Jacking 공법

1. 개요
    철도나 도로를 지하로 횡단하여 지하도, 수로 등 지하구조물을 축조할 경우, 기존의 개착공법으로 지상교통에 영향을 주면서 지하
    구조물을 시공하던 공법에서 벗어나 전단면 Precast Concrete 구조물을 특별한 반력벽 없이 지중의 소정 위치에 PC 트랜드를
    사용 견인하여 인출시키는 공법


2. Front  Jacking 공법의 특징
    가. 개착공법과 비교
         - 열차운전과 도로교통에 영향을 주지 않아 안전성이 확보
         - 공기가 단축
         - 열차서행기간이 단축
         - 선로의 차단공사를 하지않음
         - 지하 횡단구조물은 자유형으로 제작, 견인하여 일체화시킴
         - 콘크리트 품질관리가 용이함.
         - 공사를 야간에 연속하여 시행할 수 있음
         - 절대 토취량이 감소함.
         - 구조물 연결부위의 누수로 공사 후 많은 하자보수
    나. 지보공 등에 대한 현장콘크리트공법과 비교
         - 안전성이 높다.
         - 콘크리트 품질관리가 용이함.
         - 경제성이 높다.
         - 구조물의 기울기 조절능력이 좋다.
    다. Shield, Pipe, Messer 공법과 비교
         - 반력벽을 설치하지 않음
         - 대규모의 설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됨
         - Precast 콘크리트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충분히 활용
    라. Front  Jacking 공법의 단점
         - 전단면이 Precast이므로 견인 도중에 크게 방향전환 및 기울기 변경이 불가능
         - 시공방법상 P.C 케이블을 관통시킬 보링공 또는 소도갱의 굴착이 필요하고 견인할 구조물의 축조를 위한 공간 필요
         - 구체의 지내력이 부족할 경우, 기초 항타 및 지내력 강화의 시공이 곤란
         - 대 단면 박스구조일 경우, 길이가 짧으면 견인층 비틀림이 발생할 우려가 있음.
         - 시스(Sheath) 관의 매입이 불가피하므로 구조물의 두께는 400mm 정도 유지되어야 함.
         - 지장물이 있을 경우 통과가 어렵다.
         - 가받침공법에 비하여 고가이다.


3. Front  Jacking 공법의 종류
    가. 상호견인법 : 양쪽에 충분한 공간이 있는 경우로 가장 일반적인 경우에 적용
    나. 편측견인법: 한쪽만 충분한 공간이 있는 경우에 적용


4. Front  Jacking 공법의 국내 적용가능 개소
    가. 강의 지하 도장
    나. 철도 입체 교차로
    다. 교차 설비를 요하는 개소
    라. 도회지의 도로 횡단 개소


5. 결론
    경부선과 같이 열차운행 횟수가 많은 선구에서는 열차서행구간을 최소화하고 공기를 단축할 필요가 있으므로 적극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영동선 등 열차운행 횟수가 그리 많지 않은 선구에서는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가받침공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1
  • ?
    최찬용 2009.08.21 17:19
    국내에서는 FJ 공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도로의 경우 비개착공법으로 다양한 공법이 적용하여 시공되고 있습니다..철도의경우에도 이와 같은 신공법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필요한것같습니다.
  • ?
    이정철 2009.08.26 21:36
    좋은 자료 아주 감사드려요 ~
  • ?
    이경훈 2009.09.06 19:35
    좋은 자료 유용하게 쓰겠습니다...
  • ?
    김경민 2010.01.02 16:48
    좋은 자료 감사드립니다
  • ?
    강방현 2010.01.12 14:29
    자료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
    박소연 2010.03.15 16:25
    좋은 자료 감사드립니다.
  • ?
    남형기 2012.08.29 01:19
    유용한 자료 감사합니다.
  • ?
    장성수 2012.10.06 14:48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 ?
    이수문 2012.12.22 16:59
    좋은 자료 감사하빈다.
  • ?
    선하늘 2013.01.13 16:54
    자료 잘 보고 갑니다
  • ?
    김태문 2013.03.26 18:54
    좋은정보감사합니다.복받으세요^^
  • ?
    김창만 2014.04.18 14:19
    마포구 가좌역을 횡단하는 증산 지하차도는 Front Jacking 공법으로 횡단되었죠.
  • ?
    정승화 2014.11.22 09:11
    좋은자료 정말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송정석 2019.03.30
자료를 다운 받을 시 -400인트 차감, 관련 자료를 게시할 시 +5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3.30
99 50kgN 레일에서 N은 무슨 약자인지 [18] 송정석 2010.11.15
98 집전방식의 비교 [10] 송정석 2010.09.01
97 보선문답집 上卷 (번역) [20] 송정석 2010.06.15
96 철도공학 (요점) [104] 송정석 2010.06.15
95 궤도역학 (요점) [37] 송정석 2010.06.15
94 스크린도어 (Platform Screen Doors; PSD) [7] 송정석 2010.05.25
93 레일은 1/40로 경사지게 부설한다. ! ? [14] 송정석 2010.05.24
92 건넘선이 맞는지 건늠선이 맞는지 ? [16] 송정석 2010.05.23
91 도상자갈에 탄성은 있는가?....... 결론은 "없다" [9] 송정석 2010.05.22
90 철도공학 기본서(요점) [99] 송정석 2010.04.03
89 표정속도(제90회 철도기술사 기출문제) [6] 송정석 2010.02.23
88 제3 레일 급전방식(제3 궤조식) [7] 송정석 2009.10.18
87 심플 커티너리(Simple Catenary) [6] 송정석 2009.09.11
86 델타선과 루프선 [10] 송정석 2009.08.30
» Front Jacking 공법 [13] 송정석 2009.08.08
84 파괴계수 [8] 송정석 2009.07.17
83 도상계수 [10] 송정석 2009.07.17
82 철도공학 궤도계수 [7] 송정석 2009.07.17
81 탄성분기기 제원 및 종거측정 [18] 송정석 2011.07.07
80 철도공학(캔트) [42] 송정석 2011.03.21
79 쉘링(shelling) [19] 송정석 2011.05.11
78 가공경화층 조직의 물리적 특성 [11] 송정석 2011.05.06
77 슬랙의 최대치 30mm 및 조정치 S' (0∼15mm) 값의 근거는 ? [39] 송정석 2009.07.17
76 (제5장) 궤도역학 (요점정리) [16] 송정석 2011.02.28
75 제5장 궤도역학 [16] 송정석 2010.12.11
74 용어 : 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 [7] 송정석 2010.12.04
73 50kgN 레일에서 N은 무슨 약자인지 [15] 송정석 2010.11.15
72 집전방식의 비교 [10] 송정석 2010.09.01
71 보선문답집 上卷 (번역) [18] 송정석 2010.06.15
70 철도공학 (요점) [54] 송정석 2010.06.15
69 궤도역학 (요점) [27] 송정석 2010.06.15
68 스크린도어 (Platform Screen Doors; PSD) [7] 송정석 2010.05.25
67 철도공학개론(철도차량부문) [13] 송정석 2015.05.16
66 궤도역학(209쪽) [3] 송정석 2015.04.04
65 철도공학 기본문제 (예상문제) [73] 송정석 2012.01.2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