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 침목은 예응력을 주는 시기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분된다
2
○ 프리텐션 공법 (Pre-tension  Method)
긴장 아밧트멘트에 PC강선을 병렬하고 소정의 인장력을 준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넣고 양성하여 경화된 후 거푸집 외측의 강선을 절단하므로서 PC강선과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에 의하여 침목에 압축응력을 도입시키는 것이다. 이 공법은 한국, 영국, 프랑스, 일본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2
○ 포스트텐션 공법 (Post-tension  Method)
PC 강봉이 콘크리트에 부착되지 않도록 한 후에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PC 강봉에 인장력을 주어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을 도입시키는 공법이다. 따라서, PC 강봉 끝 부분에 정착장치가 필요하며 압축응력 도입후는 PC 강봉과 콘크리트와의 틈에는 특수한 시멘트 페이스트를 주입시켜 부착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공법은 독일, 벨지움, 일본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2
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송정석 2019.03.30
자료를 다운 받을 시 -400인트 차감, 관련 자료를 게시할 시 +5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3.30
132 철도보선(상) : 안용모, 2005년도 [4] 송정석 2021.10.25
131 (철도공학) 제1장 총론 [17] 송정석 2020.12.30
130 (철도공학) 제2장 철도계획 [14] 송정석 2020.12.30
129 (철도공학) 제3-1장 철도선로 일반 [17] 송정석 2020.12.30
128 (철도공학) 제3-2장 철도선로 일반 [9] 송정석 2020.12.30
127 (철도공학) 제4-1장 궤도 [16] 송정석 2020.12.30
126 (철도공학) 제4-2장 궤도 [8] 송정석 2020.12.30
125 (철도공학) 제4-3장 궤도 [6] 송정석 2020.12.30
124 (철도공학) 제5장 궤도역학 [9] 송정석 2020.12.30
123 (철도공학) 제6장 분기장치 [7] 송정석 2020.12.30
122 캔트(cant) [20] 송정석 2020.12.30
121 철도공학 요약정리 (제1장∼제3장) [43] 송정석 2020.10.28
120 장대레일 요점정리 및 문제풀이 [4] 송정석 2020.10.09
119 철도건설규칙 제12조(슬랙) 해설 [5] 송정석 2020.08.22
118 백게이지 [5] 송정석 2019.09.09
117 슬랙(slack) [19] 송정석 2018.09.26
116 선로, 궤도의 정의 [2] 송정석 2018.04.25
115 궤도역학에 관한 자료입니다 (총 209페이지) [42] 송정석 2016.10.09
114 일본철도 시설협회지 번역본 자료입니다. [8] 송정석 2016.08.27
113 도상계수 : 궤도역학에서 도상의 강도를 표시하는 계수 [1] 송정석 2016.08.22
112 분기기의 슬랙과 캔트 송정석 2016.08.20
111 선로와 궤도 용어의 뜻 [2] 송정석 2016.08.19
110 현대철도의 이해(제2장 철도시스템의 구성) [14] 덕고 2016.08.05
109 현대철도의 이해 (제1장 철도와 수송) [12] 덕고 2016.08.05
108 Modern Railway Track 번역본 (최신 철도선로) [4] 송정석 2016.07.22
107 장대레일, 장대레일의 기본이론 [16] 송정석 2015.11.06
106 분기기 [35] 송정석 2015.10.05
105 제3궤조(Third rail) [2] 송정석 2015.09.22
104 철도공학개론(철도차량부문) [13] 송정석 2015.05.16
103 궤도역학(209쪽) [3] 송정석 2015.04.04
102 콘크리트궤도 설명자료 [10] 송정석 2013.08.03
101 철도공학 궤도재료 (침목편) [5] 송정석 2013.05.08
» PC 침목 제조방법 (프리텐션, 포스트텐션 공법) [12] 송정석 2013.04.2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