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철도에서 궤도의 구성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다)
가.  레일 및 기타 부속품
나.  침목
다.  노반
라.  도상

2.  궤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가)
가.  표준궤간은 1886년 스위스의 국제회의에서 1435mm로 제정되었다.
나.  50kg레일과 60kg레일 궤간은 측정위치가 서로 다르다.
다.  경제적인 이유로 협궤로 건설하는 것이 세계적 추세이다.
라.  궤간은 레일 두부 단면의 크기에 따라 변한다.

3.  최소곡선반경 결정시 고려할 사항은? (나)
가.  선로구배
나.  고정축거
다.  수송량
라.  레일종별

4.  완화곡선 삽입시 주로 이용하는 곡선은? (다)
가.  클로소이드 곡선
나.  사인 곡선
다.  3차 포물선
라.  4차 포물선

5.  완화곡선의 길이결정과 관계없는 것은? (라)
가.  캔트량
나.  곡선반경
다.  최고속도
라.  완화곡선길이

7.  반향곡선의 양곡선 사이에 상당한 직선을 삽입하는 직접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다)
가.  곡선부설시 발생하는 편차조정을 쉽게 하기 위하여
나.  캔트 체감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  주행차량의 급격한 동요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라.  선형계획을 쉽게 하기 위하여

8.  반향곡선의 양곡선 사이에 삽입하는 직선의 길이를 결정하는 기준은? (라)
가.  곡선반경
나.  곡선길이
다.  차량길이
라.  차량 고유진동주기

9.  철도의 구배표시는? (다)
가.  고저차
나.  백분율
다.  천분율
라.  탄젠트

10.  실제궤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 (가)
가.  1435㎜+슬랙±공차
나.  1435㎜+캔트±공차
다.  1435㎜±슬랙+공차
라.  1435㎜±캔트-공차

11.  슬랙을 포함한 궤간의 최대 허용범위는? (다)
가.  1485㎜
나.  1470㎜
다.  1465㎜
라.  1433㎜

12. 슬랙 산출을 위한 슬랙 공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라)
가. 슬랙은 궤간을 외측으로 확대한 양(量)이다.
나. 슬랙 공식  S=2400/R - S' 이다.
다. 슬랙의 최대한도는 30㎜이다.
라. 는 최대 30㎜로서 현장 사정에 따라 결정되는 상수이다

13. 직선구간에서 궤간의 범위는 어느 것인가? (다)
가. 1433~1438㎜
나. 1428~1442㎜
다. 1433~1445㎜
라. 1435~1442㎜

14. 궤간과 슬랙의 정비기준치 결정에 고려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다)
가. 차륜의 내면거리
나. 플랜지의 최대두께
다. 레일의 마모한도
라. 플랜지의 마모한도

15. 선로의 곡선반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 (다)
가. 선로의 곡선반경은 열차운전과 선로보수상 될 수 있으면 크게 하는 것이 좋다.
나. 열차속도를 향상하려면 곡선반경을 크게 해야 한다.
다. 공사비를 절감하려면 곡선반경을 크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라. 곡선반경에 따라 선로보수에 큰 차이가 있으므로 노선 선정시 유의해야 한다.

16. 철도에서 사용하는 완화곡선의 선형은? (가)
가. 3차 포물선(Cubic Prabola)
나. 클로소이드 곡선(Clothoid)
다. 사인 반파장곡선(Spiral Curve)
라. 레므니스케이트(Lemniscate)

17. 철도의 슬랙 공식은 S=2400/R 이다. 이 공식을 유도할 때 정한 고정축거는? (나)
가. 2.10m
나. 3.75m
다. 4.75m
라. 5.35m

18. 철도에서 사용하는 완화곡선구간의 캔트 체감방법은? (가)
가. 직선체감법
나. 곡선체감법
다. 사인 반파장체감법
라. 포물선체감법

19. 최대 캔트량 결정에 대한 설명중 옳지 않은 것은? (라)
가. 최대 캔트량은 160㎜이다.
나. 정차 중 차량의 전복한도 때문이다.
다. 안전율과 차량중심의 방향을 감안한 것이다.
라. 표준궤간에서 160㎜이상의 캔트량을 붙일 수 없다 때문이다

20. 곡선반경 R=800m, V=100km/h, 조정량 20㎜일 때 캔트량은 얼마인가? (나)
가. 123㎜
나. 128㎜
다. 132㎜
라. 148㎜

21. 곡선반경 R=500m, V=60km/h, 조정량을 0으로 할 때의 캔트량은? (가)
가. 85㎜
나. 92㎜
다. 120㎜
라. 140㎜

22. 곡선반경 R=800m, V=90km/h이고 조정량이 20㎜일 때의 캔트 체감거리는 최소한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완화곡선이 없는 곡선이다) (라)

가. 40m
나. 45m
다. 50m
라. 60m

23. 도상두께 K(㎏/㎤) 값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나)
가. 도상계수 K=P/r (P:도상반력㎏/㎠,  r:측정지점의 탄성침하 ㎝)
나. K=5㎏/㎤ : 우량노반
다. K=9㎏/㎤ : 양호노반
라. 도상계수는 도상재료가 양호 할수록, 다지기가 충분할수록, 노반이 견고할수록 큰 값이 된다.

24. 도상반력 P=30㎏/㎤, 측정지점의 탄성침하 r=3㎝일 때 도상계수 값은 얼마이며, 이 노반에 대한 평가는? (가)
가. K=10㎏/㎤, 양호노반
나. K=10㎏/㎤, 불량노반
다. K=0.1㎏/㎤, 우량노반
라. K=0.1㎏/㎤, 불량노반

25. 철도의 시설중 차량을 운행하기 위한 궤도와 이를 받치는 노반 또는 인공구조물로 구성된 시설을 무엇이라 하는가? (가)
가. 선로
나. 연동장치
다. 운전취급설비
라. 시공기면

26. 레일 및 이음매판에 가장 유리한 레일 이음매방법은? (가)
가. 지접법
나. 현접법
다. 연속법
라. 상대법

27. 레일의 온도차가 60℃일 때 25m 길이 레일의 이론적 유간은? (단, 레일의 선팽창계수 β=0.0000114) (나)
가. 12mm
나. 17mm
다. 21mm
라. 24mm

28. 산화철과 알루미늄의 분말을 혼합한 용재를 사용하여 레일 부설현장에서 직접 용접할 수 있는 레일 용접방법은? (라)
가. 가스 압접
나. 전호 용접
다. 후라쉬밧트 용접
라. 테르밋트 용접

29. 중계레일의 사용목적은? (다)
가. 궤도회로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음매부에 사용
나. 레일을 전기적으로 분할하기 위하여
다. 단면이 각각 다른 두 레일을 연겨하기 위하여
라. 레일 축력을 감소시켜 유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30. 우리나라 PC침목 제작시 주로 사용하는 공법은? (가)
가. 프리텐션 공법
나. 포스트텐션 공법
다. 불톤법
라. 로오리법

31. 레일의 성분중 제강시의 탈산제로 작용하므로 강재중에 반드시 함유되며 양을 증가시킴에 따라 경도와 항장력을
증대시키나 연성이 감소되는 성분은? (다)

가. 탄소
나. 규소
다. 망간
라. 인

32. 분기기를 3부분으로 나누었을 때 해당되지 않는 것은? (다)
가. 포인트부
나. 크로싱부
다. 가드부
라. 리드부

33. 8# 시셔스분기부를 설치할 때 필요한 K자 크로싱 수량은? (나)
가. 1틀
나. 2틀
다. 4틀
라. 8틀

34. 가드레일의 백게이지란 무엇인가? (가)
가. 크로싱 노스레일과 주레일에 부설되어 있는 가드레일 외측과의 거리
나. 좌우 텅레일 내측간의 거리
다. 크로싱 가드레일간의 거리
라. 포인트 힐부의 텅레일 내측간의 거리

35. 탄성분기기의 구조적 특징은? (나)
가. 포인트를 강력 스프링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전환장치가 없다
나. 텅레일과 리드레일을 일체화하여 힐 이음매부가 없다
다. 크로싱의 노스 부분을 가동식으로 하여 결선부를 제거하였다.
라. 텅레일을 길게하여 입사각을 작게 하였다.

36. 분기 가드레일의 부설목적이 아닌 것은? (다)
가. 대향으로 차량 통과시 이선진입 방지
나. 크로싱 노스부의 손상방지
다. 크로싱 윙 레일의 마모방지
라. 분기부의 결선부 차량 통과시 탈선방지

37. 분기기의 정위방향인 것은? (나)
가. 단선의 상하본선에서는 열차의 진출방향
나. 본선과 측선, 안전측선 상호간에는 안전측선 방향
다. 측선 상호간에는 종요치 않는 방향
라. 탈선 포인트에서는 차량을 탈선시키지 않는 방향

38. 분기번호를 정하는 방법은? (다)
가. 크로싱각의 탄젠트 값으로 한다.
나. 분기기 입사각의 탄젠트 값으로 한다.
다. 크로싱 각의 코탄젠트 값으로 한다
라. 분기기 입사각의 코탄젠트 값으로 한다.

39. 배선에 의한 분기기 중 구내 배선상 좌우 임의각도로 분기각을 서로 다르게 한 분기기는 어느 것인가? (가)
가. 분개분기기
나. 양개분기기
다. 편개분기기
라. 삼지분기기

40. 크로싱중 두 선로가 평면교차하는 개소에 사용하며 직각 또는 사각으로 교차하는 크로싱은? (가)
가. 다이아몬드 크로싱
나. 시셔스 크로싱
다. 가동노스 크로싱
라. 가동둔단 크로싱

41. 50kgNS 분기의 크로싱각이 0=3° 10′ 56″ 일 때 분기기 번호는 (라)
가.  8
나. 10
다. 15
라. 18

42.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레일의 허용휨응력은? (다)
가. 20 ㎏/㎠
나. 800 ㎏/㎠
다. 2,000 ㎏/㎠
라. 8,000 ㎏/㎠

43. 본선기울기가 10‰이고 곡선반경이 350m인 곡선이 있을 경우, 곡선저항을 감안한 환산기울기를 고려할 때 선로의
기울기(보정기울기)는? (가)

가. 8 ‰
나. 9 ‰
다. 11 ‰
라. 12 ‰

44. 캔트 변화량에 대한 완화곡선 길이의 산출식 LT1=C1∆C에서 설계속도가 150km/h 인
경우에 캔트 변화량에 대한 완화곡선의 길이(LT1)는 캔트변화량(∆C)의 몇 배 이상이어야 하는가? (다)

가. 2 . 50
나. 1 . 50
다. 1 . 10
라. 0 . 90

45. 열차의 설계속도가 150km/h인 선로의 본선에서 원곡선의 최소 길이는? (다)
가. 100m
나. 90m
다. 80m
라. 70m

46. 60kg 장대레일 1,000m를 부설하였을 때의 온도는+20℃이고 레일온도의 변화범위가 -20℃에서 +60℃라고 하면
레일이 완전히 구속 되었을 때의 최대 축력은? (나)

가. 37.1 ton
나. 74.2 ton
다. 111.3 ton
라. 148.4 ton

47. 철도 건설시 최급기울기가 25‰ 선로상에 반지름 500m의 곡선이 있다면 기울기를 몇‰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가)

가. 23.6
나. 24.6
다. 25.6
라. 26.6

48. 다음중 분기기 #7 크로싱 각은? (가)
가. 8˚ 10'
나. 6˚ 22'
다. 4˚ 05'
라. 11˚ 26'

49. 표준 궤간에서 최대캔트를 160mm로 인한 정차중 차량의 전복에 대한 안전율은 얼마인가? (가)
(단, 레일면에서 차량중심까지의 거리 H=2.0m이다)

가. 2.0
나. 3.0
다. 3.5
라. 5.0

50. 열차속도가 차량속도보다 높아지면 자동적으로 제동이 작용하게 되어 일정속도의 열차운행을 하게 하는 것은? (나)
가. A.T.C
나. A.T.O
다. A.T.H
라. A.T.S

51. 전체 1,200m 구간을 설정온도 25℃로 설정하고자 한다. 현재 레일온도 10℃, 선팽창계수 0.000012/℃, 현재 유간 10mm, 테르미트용접을 위한 유간 24mm이다. 긴장 사용전 절단해야 하는 레일의 길이는? (라)
가. 200mm
나. 210mm
다. 220mm
라. 230mm

52. 고망간강 크로싱의 화학성분 중 망간의 함유량은? (라)
가. 0.5~0.8%
나. 1.1~1.4%
다. 5.0~8.0%
라. 11~14%

53. 열차정지시 침목 1개가 받는 레일압력이 4,000kg일 때 120km/h의 속도로 주행시 받는 압력은? (다)
가. 4,800kg
나. 6,052kg
다. 6,462kg
라. 6,548kg

54. 레일용접법에서 산화철과 알루미늄간에 일어나는 화학반응으로 하는 용접은? (다)
가. 플래시벗트
나. 가스압접
다. 테르미트
라. 엔크로즈드아크

55. 신축이음매의 스트로크는 최고온도와 최저온도와의 중위온도로 설정할 때는 스트로크의 중위에 맞추는 것으로 하는데 중위온도에서 10℃차이가 나면 몇 mm 조정하여야 하는가? (다)
가. 조정하지 아니한다.
나. 7.5mm
다. 15mm
라. 30mm

56. 궤도틀림이 좌굴을 일으킬 수 있는 충분한 조건이 되었을 때 이론상 좌굴을 일으킬 수 있다고 생각되는 최저의 축압력은? (가)
가. 최저좌굴축압
나. 도상종저항력
다. 도상횡저항력
라. 좌굴저항

57. 열차집중제어장치(C.T.C)의 효과중 옳지 않는 것은? (다)
가. 선로용량의 증대
나. 보안도의 향상
다. 열차속도의 고속화
라. 운전비, 인건비 등의 절감

58. 철도신호중 전호란? (나)
가. 기관사에게 선로상태를 알려주는 것
나. 종사자의 의사를 표시하는 것
다. 장소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
라. 신호기의 신호표시

59. 궤도패드의 역할이 아닌 것은? (다)
가. 전기절연
나. 복진저항의 증가
다. 레일신축의 원활
라. 레일의 충격완화

60. 철도를 구동 및 지지방식에 의하여 구분할 때 특수철도가 아닌 것은? (나)
가. 강색철도
나. 점착철도
다. 단궤철도
라. 무궤철도

61. 열차의 운전상태, 운전속도, 운전시분, 주행거리, 전기소비량등의 상호관계를 열차운행에 수반하여 변화하는 상태를 역학적으로 도시(圖示)한 것은? (다)
가. 속도기록지
나. 열차시간표
다. 운전선도
라. 운전상황도

62. 터널내와 교량상의 구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나)
가. 터널내에서는 습기에 의한 점착력 감소를 감안하여 제한구배보다 10‰정도 완화할 필요가 있다.
나. 터널은 공사중 또는 완성후의 보수노력을 고려하여 가능한 수평으로 하는 것이 좋다.
다. 교량상에서는 제동시 구조물에 제동하중을 가하게 되므로 급구배로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라. 개상식(開床式) 교량상에서는 구배의 변환점을 두지 않는 것이 좋다.

63.철도에서 PC 침목 부설방법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나)
가. PC침목의 운반은 응력이완이 일어나도록 모타카로 한다.
나. 반경 600m 미만의 곡선에 부설할 경우에는 침목의 횡저항력 강화에 유의하고 도상을 보강하여야 한다.
다. PC침목 운반시 철재 받침대를 사용한다.
라. 파손된 PC침목은 모르터로 보수하여 사용한다.

64. 지상 정차장 위치선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나)
가. 구내는 가능한 수평이고 직선이어야 한다.
나. 해당 도시의 발전을 위하여 도시중앙에 위치토록 해야 한다.
다. 열차운전 효율 향상을 위하여 출발시에는 하구배 도착시에는 상구배가 되어야 한다.
라. 구내는 가능한 구조물이 없는 위치로 해야 한다

65. 일반적으로 복선화, 복복선화, 배선변경, 전철화 등의 철도 건설공사가 포함되는 철도 투자계획은? (라)
가. 신선건설계획
나. 기존설비의 근대화투자계획
다. 수송서비스 개량투자계획
라. 수송력증강 투자계획

66. 서울역 구내에 15번 양개분기기를 부설하였다. 부산행 새마을호 열차의 이 분기기 통과 제한 속도는 얼마인가? (다)
가. 50km/h
나. 60km/h
다. 65km/h
라. 70km/h

67. 차륜으로부터 레일에 작용하는 횡방향의 힘을 횡압이라 한다. 다음 중 횡압의 살생 요인에 해당되는 사항은? (라)
가. 레일의 온도변화에 의한 축력
나. 제동 및 시동하중
다. 구배구간에서 차량중량의 점착력
라. 분기부 및 신축이음매 등에서의 충격력

68. 노반상의 궤도에는 기관차가 가장 큰 중량물이다. 이에 대한 노반의 허용지지력은? (라)
가. 12.5kg/㎠이상
나. 10kg/㎠이상
다. 5kg/㎠이상
라. 2.5kg/㎠이상

69. 레일이음매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라)
가. 웨버 이음매판은 궤간외측의 레일측면에 목괴를 삽입하여 진동을 완화시킨다.
나. 본자노 이음매판은 앵글 이음매판 중앙에서 앵글하부 플랜지를 다시 연직방향으로 구부려 보강한 것이다.
다. 연속식 이음매판은 이음매판의 하부를 아래쪽으로 180° 구부려 레일의 저면까지 싸서 강성을 크게 한 것이다.
라. 본자노 이음매판은 이음매부 도상작업이 편리하고 효과적인 것이나 고가이므로 절연이음매의 일부에 사용된다.

70. 삼선식 분기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나)
가. 직선기준선을 중심으로 동일개소에서 좌우 대칭 3선으로 분기시키기 위하여 2틀의 분기기를 중합시킨 구조의 특수분기기이다.
나. 궤간이 다른 두 궤도가 병용되는 궤도로 분기한 것이다.
다. 하나의 궤도에서 3 또는 2 이상의 궤도로 분기한 것이다.
라. 직선궤도로부터 좌우 등각으로 분기한 것으로써 사용빈도가 기준선측과 분기측이 서로 비슷한 단선 구간에 사용한다.

71. 최소 곡선 반경 결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가)
가. 신호방식
나. 궤간
다. 열차속도
라. 차량고정축거

72. 열차운행의 공전 발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라)
가. 동륜주인장력이 점착력보다 큰 순간에 발생한다.
나. 강우, 서리 등으로 인한 습윤선로에서 비교적 쉽게 발생한다.
다. 레일주행면에 산화철이 많은 경우 쉽게 발생한다.
라. 공전방지를 위해 레일에 살사하여서는 안된다.

73. 장대레일에서 아래와 같은 조건에 대한 가동구간(L)은? (라)
[조건] 종방향 저항력 r=500kg/m/레일, 레일단면적 A=75㎠, 선팽창계수 β=0.000012/℃, E=2000000kg/㎠, 설정온도 20℃, 최저레일온도 -10℃

가. 89m
나. 92m
다. 100m
라. 108m

74. 20℃에서 1,000m의 레일이 -10℃에서의 길이를 구하시오. (단, 선팽창계수 β=1.14×10-5, 탄성계수 E=2.1×106kg/cm2)
풀이) 신축량 : ∆L=β×L×∆t=(1.14×10-5)×1,000×30=0.342m
L=1,000-0.342=999.658mm

75. 레일온도차가 60℃일 때 25m 길이 레일의 이론적 유간을 구하시오. (단, 선팽창계수 β=1.14×10-5)
풀이) ∆L=β×L×∆t=(1.14×10-5)×25×60=17.1mm


76. 부족캔트량 C '=100mm에 대하여 안전율을 구하여라 (단, H=2000mm, 최대캔트량 C=160mm, G=1500mm 이다)
H : 레일 면에서 차량중심까지의 거리, G : 궤간

풀이) 편의량 : x=(C×H)/G=(160×2000)/1500=133mm
        안전율 : S=15002/(2×160×2000)=5.6


77. 곡선반경 R=800m, V=100km/h, 조정량 C '=20mm일 때 캔트량은 ?
풀이) C=11.8×V2/R-C '=11.8×1002/800-20=127.5mm


78. 진동원에 대한 방진대책으로 잘못된 것은?(다)
가. 차량 : 운행속도 저감, 탄성차륜 사용
나. 궤도 : 방진재 삽입, 레일장대화
다. 터널 : 경량 구조물화, RC화
라. 교량 : 구조물내 진동차단 또는 완충기구 설치


79. 도상작업 장비중 침목과 침목 사이 및 도상어깨의 표면을 달고 다지기를 하여 침목을 도상면에
고정시키고 도상저항력을 증대시키는 장비는?

풀이) 바라스트 콤팩터(ballast compactor)


80. 장대레일 부동구간에서 설정온도 15℃, 레일온도 -20℃일 때 부동구간의 레일응력을 구하면?
(단, A=75cm2, β=0.000012/℃, E=2,000,000kg/cm2

풀이) 840kg/cm2


81. 차륜으로부터 레일에 작용하는 횡방향의 힘을 횡압이라 한다. 다음 중 횡압의 발생 요인에 해당되는 사항은? (라)
가. 레일의 온도변화에 의한 축력
나. 제동 및 시동하중
다. 기울기구간에서 차량중량의 점착력
라. 분기부 및 신축이음매 등에서의 충격력


82. 보선기계 중 도상다지기 작업기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라)
가. 멀티플타이탬퍼
나. 4두 타이탬퍼
다. 핸드헬드 타이탬퍼
라. 바라스트 레규레이터


83. 단선 자동폐색 구간에서 선로이용율 60%, 관계취급시분 1.5분, 역간 총실운전시분 800분, 설정열차회수 80회라고 할 때
선로용량(왕복)은 몇 회 인가? (나)

가. 64회
나. 75회
다. 86회
라. 97회


84. 정거장 구내 선로 중 본선에 해당하는 것은? (나)
가. 유치선
나. 대피선
다. 수선선
라. 입환선


85. 궤도회로는 어떠한 경우에도 단락되어서는 안되나 분기부 등 특별한 경우에는 불가피하게 단락구간인
사구간(dead section)이 생기게 된다. 이 경우에도 사구간의 길이는 최대 얼마를 넘지 않아야 하는가? (나)

가. 6m
나. 7m
다. 8m
라. 9m


86. 분기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다)
가. 탈선분기기는 단선구간에서 신호기를 오인하는 경우 운전 보안상 중대한 사고가 예측될 때 열차를 고의로 탈선시켜 대향열차와
충돌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설치한다.
나. 배향이란 주행하는 열차가 분기기 후단으로부터 전단으로 진입할 때를 말하며 배향분기는 대향분기보다 안전하다.
다. 분기기는 보통 크로싱각의 대소에 따라 다르며 분기기 번호는 크로싱각의 sin 값으로 한다.
라. 백게이지란 크로싱 노스레일과 가드레일간의 간격을 말한다.


87. 정거장 상호간에 열차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차와 열차사이에 항상 일정한 간격을 확보해야 하며 이렇게
일정한 시간과 거리를 두는 구간으로 하나의 열차만을 운행할 수 있는 구간은? (라)

가. 쇄정구간
나. 안전구간
다. 연동구간
라. 폐색구간


88. 상향의 기울기변환점에 반경 3000m의 종곡선을 삽입하면 도상의 횡방향 저항력은 어떻게 되는가? (나)
가. 변함이 없다
나. 약 3% 정도 감소한다.
다. 약 50% 정도 감소한다.
라. 종곡선 반경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89. 열차운전계획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선로 용량이란? (가)
가. 1일 가능 최대열차운행 회수
나. 1일 운행열차회수
다. 1일 최대열차수 ×편성량수
라. 1일 운행열차회수 ×계수


90. 곡선반경 700m의 곡선인 본선의 기울기가 보정 전에 20‰일 때 환산기울기로 보정한 후의 기울기는? (나)
가. 18‰
나. 19‰
다. 20‰
라. 21‰


91. 도상재료의 구비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나)
가. 견질로 충격과 마찰에 강할 것
나. 단위중량과 능각이 작으며 입자간 마찰력이 클 것
다. 입도가 적정하고 도상작업이 용이할 것
라. 동상, 풍화에 강하고 잡초육성을 방지할 것


92. 분기기의 배선에 의한 종류 증 직선궤도로부터 좌우 등각으로 분기한 것으로 사용빈도가 기준선측과 분기측이 서로 비슷한  
단선 구간에 사용하는 분기기는? (나)

가. 분개분기기
나. 양개분기기
다. 복분기기
라. 3차분기기



계속 이어집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송정석 2019.03.30
자료를 다운 받을 시 -400인트 차감, 관련 자료를 게시할 시 +5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3.30
99 50kgN 레일에서 N은 무슨 약자인지 [18] 송정석 2010.11.15
98 집전방식의 비교 [10] 송정석 2010.09.01
97 보선문답집 上卷 (번역) [20] 송정석 2010.06.15
96 철도공학 (요점) [104] 송정석 2010.06.15
95 궤도역학 (요점) [37] 송정석 2010.06.15
94 스크린도어 (Platform Screen Doors; PSD) [7] 송정석 2010.05.25
93 레일은 1/40로 경사지게 부설한다. ! ? [14] 송정석 2010.05.24
92 건넘선이 맞는지 건늠선이 맞는지 ? [16] 송정석 2010.05.23
91 도상자갈에 탄성은 있는가?....... 결론은 "없다" [9] 송정석 2010.05.22
90 철도공학 기본서(요점) [99] 송정석 2010.04.03
89 표정속도(제90회 철도기술사 기출문제) [6] 송정석 2010.02.23
88 제3 레일 급전방식(제3 궤조식) [7] 송정석 2009.10.18
87 심플 커티너리(Simple Catenary) [6] 송정석 2009.09.11
86 델타선과 루프선 [10] 송정석 2009.08.30
85 Front Jacking 공법 [13] 송정석 2009.08.08
84 파괴계수 [8] 송정석 2009.07.17
83 도상계수 [10] 송정석 2009.07.17
82 철도공학 궤도계수 [7] 송정석 2009.07.17
81 탄성분기기 제원 및 종거측정 [18] 송정석 2011.07.07
80 철도공학(캔트) [42] 송정석 2011.03.21
79 쉘링(shelling) [19] 송정석 2011.05.11
78 가공경화층 조직의 물리적 특성 [11] 송정석 2011.05.06
77 슬랙의 최대치 30mm 및 조정치 S' (0∼15mm) 값의 근거는 ? [39] 송정석 2009.07.17
76 (제5장) 궤도역학 (요점정리) [16] 송정석 2011.02.28
75 제5장 궤도역학 [16] 송정석 2010.12.11
74 용어 : 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 [7] 송정석 2010.12.04
73 50kgN 레일에서 N은 무슨 약자인지 [15] 송정석 2010.11.15
72 집전방식의 비교 [10] 송정석 2010.09.01
71 보선문답집 上卷 (번역) [18] 송정석 2010.06.15
70 철도공학 (요점) [54] 송정석 2010.06.15
69 궤도역학 (요점) [27] 송정석 2010.06.15
68 스크린도어 (Platform Screen Doors; PSD) [7] 송정석 2010.05.25
67 철도공학개론(철도차량부문) [13] 송정석 2015.05.16
66 궤도역학(209쪽) [3] 송정석 2015.04.04
» 철도공학 기본문제 (예상문제) [73] 송정석 2012.01.2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