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도어(Platform Screen Doors; PSD, 승강장 차단문)는 철도역의 승강장에 설치되는 안전 시설의 일종이다.


1. 개  요
열차의 도착에 맞추어 수동 혹은 자동으로 출입문을 개폐한다. 홍콩, 싱가포르와 덴마크 등 일부 아시아 및 유럽 국가의 도시 철도 노선에서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 신설되는 철도 노선에서는 건설과 함께 설치하는 추세이다.


2. 종  류
스크린도어는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① 밀폐형
    승강장에서 천장까지를 완전히 막는 형태이다. 선로 공간과 승강장이 완전히 분리되기 때문에, 열차가 진입할 때 발생하는 소음,
    바람(열차풍)이나  먼지 등이 승강장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역사의 공조에도 도움을 준다.
② 반밀폐형
    밀폐형과 비슷하게 약 2m 이상의 높이로 설치되지만, 선로와 승강장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지 않고 위가 뚫려 있는 형태이다.
    천장이 높은 역에 주로 설치되며, 위가 뚫려 있기 때문에 소음 등의 차단 효과는 밀폐형에 비해 떨어진다.
③ 난간형
    밀폐형의 절반 정도의 높이로 설치된다. 밀폐형에 비해 설치비가 싸다는 장점이 있으나, 열차풍 차단 등의 효과는 적다.
④ 로프식
    위아래로 줄이 움직이면서 승강장과 열차 사이를 막는 형태이다. 다른 스크린도어에 비해 설치 및 유지에 드는 비용이 적다.  현재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녹동역에서만 운영되고 있다.


3. 효  과 
열차가 도착하지 않았을 때 승객이 선로에 들어가는 것을 막아,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일부 역에서는 스크린도어와 함께 승강장에  가동식 발판을 설치하여, 열차와 승강장 사이에 발생하는 틈을 줄여 승하차를 보다 안전하게 하기도 한다. 사고 발생 위험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무인 운전을 실시하는 노선에는 대부분 설치되어 있다.
반면 비상시에 선로를 이용한 대피가 원활하지 않게 되고, 열차 진입을 다른 안내 시설에 의존하지 않고 확인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설치 및 가동에 많은 비용이 들고, 추가적인 에너지를 소모하게 된다. 광고 대행사가 스크린 도어에 광고를 게시하는 조건으로 설치비와 유지 보수비의 전부 혹은 일부를 부담하는 경우도 있다.

  • ?
    이재우 2012.07.07 20:55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 ?
    박주환 2012.07.10 20:46
    자료 감사합니다!!!!!!!!!!!!!!!!!!!!
  • ?
    임성인 2012.07.31 17:11
    조은자료 감사합니다.
  • ?
    장성수 2012.10.06 14:55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 ?
    선하늘 2013.01.13 16:57
    잘 보고 갑니다!!
  • ?
    김태문 2013.03.26 18:51
    좋은정보감사합니다.복받으세요^^
  • ?
    김건환 2013.08.17 22:35
    스크린도어을 설치하고나서 하절기에 지하구간의 온도가 많이 올라선로를 담당하는 철도토목인들에게는 여간 고역이 아니지요,지하의 공기도 많이 않좋고하여 야간에 스크린 도어 를 개방하여달라고 고충 처리를 하여도 역쫄들의 반대로 인하여 메트로공사에서는 심야시간에 개방을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철도 토목인들의 힘이 너무 이약하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송정석 2019.03.30
자료를 다운 받을 시 -400인트 차감, 관련 자료를 게시할 시 +5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3.30
99 50kgN 레일에서 N은 무슨 약자인지 [18] 송정석 2010.11.15
98 집전방식의 비교 [10] 송정석 2010.09.01
97 보선문답집 上卷 (번역) [20] 송정석 2010.06.15
96 철도공학 (요점) [104] 송정석 2010.06.15
95 궤도역학 (요점) [37] 송정석 2010.06.15
» 스크린도어 (Platform Screen Doors; PSD) [7] 송정석 2010.05.25
93 레일은 1/40로 경사지게 부설한다. ! ? [14] 송정석 2010.05.24
92 건넘선이 맞는지 건늠선이 맞는지 ? [16] 송정석 2010.05.23
91 도상자갈에 탄성은 있는가?....... 결론은 "없다" [9] 송정석 2010.05.22
90 철도공학 기본서(요점) [99] 송정석 2010.04.03
89 표정속도(제90회 철도기술사 기출문제) [6] 송정석 2010.02.23
88 제3 레일 급전방식(제3 궤조식) [7] 송정석 2009.10.18
87 심플 커티너리(Simple Catenary) [6] 송정석 2009.09.11
86 델타선과 루프선 [10] 송정석 2009.08.30
85 Front Jacking 공법 [13] 송정석 2009.08.08
84 파괴계수 [8] 송정석 2009.07.17
83 도상계수 [10] 송정석 2009.07.17
82 철도공학 궤도계수 [7] 송정석 2009.07.17
81 탄성분기기 제원 및 종거측정 [18] 송정석 2011.07.07
80 철도공학(캔트) [42] 송정석 2011.03.21
79 쉘링(shelling) [19] 송정석 2011.05.11
78 가공경화층 조직의 물리적 특성 [11] 송정석 2011.05.06
77 슬랙의 최대치 30mm 및 조정치 S' (0∼15mm) 값의 근거는 ? [39] 송정석 2009.07.17
76 (제5장) 궤도역학 (요점정리) [16] 송정석 2011.02.28
75 제5장 궤도역학 [16] 송정석 2010.12.11
74 용어 : 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 [7] 송정석 2010.12.04
73 50kgN 레일에서 N은 무슨 약자인지 [15] 송정석 2010.11.15
72 집전방식의 비교 [10] 송정석 2010.09.01
71 보선문답집 上卷 (번역) [18] 송정석 2010.06.15
70 철도공학 (요점) [54] 송정석 2010.06.15
69 궤도역학 (요점) [27] 송정석 2010.06.15
68 스크린도어 (Platform Screen Doors; PSD) [7] 송정석 2010.05.25
67 철도공학개론(철도차량부문) [13] 송정석 2015.05.16
66 궤도역학(209쪽) [3] 송정석 2015.04.04
65 철도공학 기본문제 (예상문제) [73] 송정석 2012.01.2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