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기부 검측시 백게이지 측정 위치를 대략적인 위치인 8번은 80MM, 10번은 100MM, 12번은 120MM등의 위치에서 측정하고 있습니다. 복잡한 계산에 의해서 나온 치수인 줄 알고 있습니다만,  계산하는 방법을 알고 싶어서 여러방법으로 찾아 보았으나  찾지를 못 해서서 이렇게 질문을 합니다. 선배님들의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어느 철길 위에서 일하는 사람이......

  • ?
    김건환 2013.08.02 13:36
    서울메트로는 분기기 번호와 상관없이 지금까지도 노스레일끝에서 50mm떨어진곳에서 백게이지를 측정하여오고있습니다. 저도 이러한 궁금한점이 있어서 관리소장한테 물어봐도 정확한 답은 없네요
  • ?
    최진우 2013.10.28 17:46
    예전 철도청 규정엔 110mm에서 측정하였으나 이론교점과 실제교점을 측정시 차이가 없습니다.(ㅎㅎㅎ)
    간단하게 빽께이지는 궤간선을 정하기위한 방법이되는 거죠, 여기에 가드간격이 더해지는 거니까요.
    실제 가드 간격이 적다면 문제가 됩니다.
    주레일을 구속된 레일이 가드레일 이니까요.차륜이 궤간 내방으로 떨어짐을 방지하고 차량의 동요를 적게하는것!
    즉, 현장에선 궤간이 중요한거죠!ㅎ ㅎ ㅎ
    물론 중요하지만 탈선시 빽게이지 측정하는 사람 있습니까! 규정에 어디서 측정하라고 나와있습니까?
    반대로 궤간과 가드간격만 측정해보면 되는거죠
    여기까진 개인소견입니다.
  • ?
    김호일 2014.06.17 21:42
    인력검측시 백게이지만 측정하는것이 아니라 궤간도 측정을 해야 합니다. 궤간-벡게이지=가드간격이니까요.
  • ?
    눈물천사 2017.06.22 22:54
    노오스에서 측정하는 백게이지의 거리를 위와 같이 하는 이유를 추정해보면 아마도 분기기 번호에 상관없이 노오스의 폭(두께)이 같은 지점에서 측정하기위함일것입니다.
    분기기 번호를 매길때 8번,10번, 12번,,, 이렇게 정하는 이유를 분기각에서 찾으면 쉽지만 현장에서는 그렇게 찾지 않찮습니까?
    8번분기기는 80mm, 10번분기기는 100mm, 12번 분기기는 120mm 에서 노오스 폭(두께)이 같아지기 때문일 겁니다.
  • profile
    송정석 2017.06.23 00:14

    이부분에 대해서 여러가지 논란이 있습니다.
    우선 삼표에서 제작하는 크로싱 도면은 일본 도면을 글자만 바꿔 그 도면에 의해 크로싱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크로싱 도면을 보시면(자세하게) 8번 크로싱은 80mm, 10번 크로싱은 100mm, 12번 크로싱은 120mm라고 기재가

    되어 있습니다. 이 거리는 분기기 번호 즉, 각도와 연관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 연관성이 과연 우리나라에서도 적용되는지는 삼표에서도 정확하게 답변을 해주지 않고 있습니다.
    크로싱 각이 전동차 및 기관차, 화물차 등 차륜이 여러가지 임에도 불구하고 위 도면처럼 일정하게 제작하는데는

    문제가 있는 듯 합니다. 차륜직경에 따라 노스부에 닿는 부분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여기에서는 차륜 직경이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

    저가 왜 그런 숫자가 나온지 알려달라고 해도 설계하시는 분에게 명확한 답변을 얻지못했습니다.
    그래서 백게이지 측정방법을 정확하게 전달하고자 현장 교육을 시켰던 적도 있습니다.

    실제로는 기존과 동일하게 측정을 할지라도 백게이지는 궤간선 이론교점에서 80,100,120mm 지점인 부분에서

    측정하는 것이 올바른 측정이라고는 알고 있어야 한다고
    요즈음은 크로싱 노스부에 80mm, 100mm, 120mm 지점 등에 칼집을 내여 표시하여 측정을 하기도 합니다.

    조만간 삼표에 재차 문의하여 이 부분에 대해서 정확하게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이부분에 대해서 정확하게 아시는 분이 계시면 알려주시기 바랍나다..........


    참고적으로 좌측 검색창에 백게이지로 검색하시면 측정방법 등 자세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48] 송정석 2019.04.21
질문에 대해 답하기 및 설명 시 50∼500포인트를 적립하여 드립니다. [30] 송정석 2015.06.17
453 방금전화드렸전 사람입니다 [1] secret 낮쟁이 2021.09.01
452 방진패드 및 레일 도유기 질문드립니다. secret 미조신랑 2023.02.17
» 백게이지 검측에 관하여 [5] 사성정 2013.06.14
450 백게이지에서 가드레일을 주레일보다 12mm높게 설치한 이유 [4] 송정석 2015.04.27
449 보선기사 기출문제 풀이 부탁드립니다. [6] 김영남 2013.03.12
448 보선기사 문의합니다 [1] 김민주 2013.12.10
447 보선기사 실기 준비중인데..해깔리는게 있네요;; [5] 송명기 2014.06.24
446 보선기사 준비중인데 책이 없네요.. [4] 황정모 2014.11.04
445 보선장비 업무 메뉴얼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secret 톰장 2023.03.01
444 보선장비를 대형, 중형, 소형으로 나누는데.. [2] 송명기 2014.01.02
443 복진관련해서 선배님들의 고견을 여쭙니다. 궤도쟁이 2020.02.26
442 본선 분기기 번호 부여의 기준은 어떻게 하나요 [3] 최진원 2015.01.09
441 분기 이론교점에 관한 질문입니다 [4] 비로소 2015.06.17
440 분기규격 [2] 이원국 2013.08.07
439 분기기 검측 질문 드립니다. [1] 철도긴 2021.06.20
438 분기기 검측시 기준 [8] 박석제 2013.05.09
437 분기기 궤간선결선부 거리 대략 아시는분.. 왕철도 2023.06.05
436 분기기 노스부 교환기준에 대해 궁금합니다. [3] goodman 2016.10.11
435 분기기 노스부 교환기준에 대해 궁금합니다. [3] goodman 2016.10.11
434 분기기 번호 앞에 붙는 영어 의미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1] 토질학자 2016.12.16
433 분기기 입사각 [1] secret 오세웅 2020.10.05
432 분기기 질문이요. [1] secret kakaka 2017.09.28
431 분기기 질문좀 드려요 [4] 쌔미 2016.11.29
430 분기기 측정시.. [1] 똘마니야 2017.08.20
429 분기기 크로싱부 파상마모 (망강 8#) [7] 최승국 2007.02.01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29 Next
/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