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1. 레일을 경사지게 부설하는 이유
잘 아는 것처럼 레일은 궤간내측으로 기울여서 부설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① 레일이 횡압에 의하여 궤간 외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② 레일에 작용하는 하중의 분포를 균일하게 한다.
③ 레일의 편마모를 방지한다.
④ 레일에 작용하는 비틀림을 작게 한다.
극히 합리적으로 고려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정말로 그러한가?


2. 레일 경사부설의 현상
차륜에서 답면 경사의 정도는 1/10∼1/40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나라의 일반철도에서는 차륜의 답면 경사를 1/40로 하고 있다. 목침목의 경우에는 타이플레이트에, 콘크리트 침목의 경우에는 레일좌면에 1/40 경사가 붙여져 있다. 차량은 타이플레이트 유무의 구별이 없이 주행하므로 차륜의 마모형상은 1/20∼1/40이 많은 점, 곡선부에서는 차륜이 약간 레일에 올라타면서 주행하므로 1/20에서는 레일두부 외측이 마모한다는 이유에서 이다. 경부고속선로에서는 당초부터 프랑스와 같이 1/20을 레일경사 부설각도로서 채용하고 있다. 경부고속철도의 차륜 답면은 2 종류로서 답면구배가 1/40인 단면은 동력대차의 차륜에 적용하고 답면 구배가 1/20인 답면은 객차대차의 차륜에 적용하고 있다.


3. 레일의 부설경사는 반드시 필요한가?
타이플레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목침목에서는 레일이 경사 부설되어 있지않다. 분기기의 경우에 NS 분기기는 수평부설로 되어 있다. 일반선로용 탄성분기기는 1/40, 고속분기기에는 1/20의 경사가 붙여져 있다. 또한, 레일경사가 있는 구간과 없는 구간의 취부방법에 대하여는 특히 고려되어 있지않다. 차륜과 레일은 서로 상대적인 관계이며 그대로는 마모되어가므로 너무 엄밀하게 규정하거나 관리하여도 의미가 없는 듯하다. 한편, 고속선로나 일반선로의 고속주행 선구에서는 차륜과 레일 접촉상태의 미묘한 변화가 연속 좌우동요 등의 원인으로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레일경사의 영향은 무시할 수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송정석 2025.09.10
자료를 다운 받을 시 100포인트 차감, 관련 자료를 게시할 시 3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5.08
296 특수차(철도중보선장비) 내구연한(기대수명) 변천과정 [2] 송정석 2018.03.27
295 레일연마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 및 연마관리의 필요성 [11] 송정석 2018.04.08
294 궤도분야 설계 매뉴얼 (설계부터 발주전까지) 송정석 2018.04.09
293 궤도분야 공사 유형별 시공 매뉴얼 (제3편) [5] 송정석 2018.04.09
292 궤도분야 유형별 사용 매뉴얼 표준 (제3장) [2] 송정석 2018.04.09
291 궤도분야 유형별 업무(현장조치) 매뉴얼 표준 (제3장) [5] 송정석 2018.04.09
290 2016년도 한국철도공사 NCS 직무능력 기출문제 (대졸) [23] 송정석 2018.03.05
289 2017년도 한국철도공사 NCS 직무능력 기출문제 (대졸) [44] 송정석 2018.03.05
288 선로연장, 궤도연장 뜻 송정석 2018.04.10
287 4차 산업혁명과 경전철 시스템 [1] 송정석 2018.04.10
286 철도설계 중점사항 및 궤도학 개론 [2] 송정석 2018.04.10
285 콘크리트 궤도의 유지관리 : 한국교통대학원 [8] 송정석 2018.04.10
284 레일장대화 기술검토 보고서 (한국철도기술공사) [2] 송정석 2018.04.17
283 4차 산업혁명과 경전철 시스템 (동명기술공단) [10] 송정석 2018.04.18
282 철도설계 중점사항 및 궤도학 개론 (동명기술공단) [2] 송정석 2018.04.18
281 궤도파괴이론 [8] djqtdma 2018.04.20
280 분기별 종거표입니다. [13] 송정석 2018.05.07
279 분기기 설치 간이 측량 요령(실무) [24] 송정석 2018.05.07
278 분기기 크로스오버 치수표 [2] 송정석 2018.05.07
277 레일생산 송정석 2018.05.07
276 차륜과 열처리레일 경도 비교 [13] 송정석 2018.05.08
275 도상별 궤도구조 [16] 송정석 2018.05.14
274 지적환호 응답요령 교육자료 [5] 송정석 2018.05.25
273 콘크리트궤도 장대레일의 휨 피로수명 평가 [3] 송정석 2018.05.27
272 60kg 탄성분기기 제원 및 종거측정 [5] 송정석 2018.06.01
271 60kg 신축이음매장치 주요제원 비교 [13] 송정석 2018.06.03
270 신축이음매장치 종류 및 특징 (단단형, 양단형) [34] 송정석 2018.06.03
269 장현에 의한 종거법을 이용한 궤도관리(방향) 방안 : 인천메트로 [16] 송정석 2018.06.03
268 모터카 최대견인량수 계산방법 [9] 송정석 2018.06.17
267 궤도검측차(EM 30) 의 검측원리 [9] 송정석 2018.06.17
266 장대레일의 안전성 향상에 관한 연구 [1] 송정석 2018.07.26
265 제3장 선형과 곡선통과속도 [3] 송정석 2018.07.26
264 알기쉬운 철도 기술용어 순화 해설집(한국철도시설공단) [9] 송정석 2018.07.17
263 분기기내의 슬랙 검토 [9] 송정석 2018.07.26
262 분기기 (교육용 자료) [31] 송정석 2018.07.29
261 레일체결장치 종류(사진) [2] 송정석 2018.07.29
260 부족캔트량과 레일마모의 상관관계 고찰 [1] 송정석 2018.08.02
259 7호선 연장구간 궤도 요약 보고서 [7] 송정석 2018.08.03
258 유치선 설계기준 (지하철 7,8호선 1단계 구간 궤도설계공사 실시설계 보고서) [6] 송정석 2018.08.03
257 진접차량기지 인입선 전동차 및 특수차 운행 안전성 검토(한국철도기술연구원) [3] 송정석 2018.08.03
256 소음 · 진동대책 [2] 송정석 2018.08.05
255 2중스프링와셔 및 나사스파이크(용융아연도금용) [2] 송정석 2018.08.22
» 레일은 1/40로 경사지게 부설한다.!? 송정석 2018.08.28
253 일반철도와 고속철도의 강화노반 두께에 관한 연구 [1] 송정석 2018.09.03
252 궤도선형 및 배선(18-9-10) [4] Glaara 2018.09.14
251 PC침목 설계 계산 검토서 [4] 송정석 2018.09.17
250 보수교육교재 (중보선장비) [1] 송정석 2018.09.19
249 보수교육교재 (보선작업표준) [7] 송정석 2018.09.19
248 보수교육교재 (안전점검 및 정림안전진단) [2] 송정석 2018.09.19
247 곡선 장대레일 궤도의 온도좌굴 해석 [4] 송정석 2018.09.19
Board Pagination Prev 1 ...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Next
/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