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선반경 R=300m인 경우, 일반 철도 및 도시철도를 구분하여 각각의 슬랙량을 계산하라는데,
제가알기론 2400/R이 슬랙량 구하는 공식으로 알고있는데요.
도시철도도 공식이 똑같나요?
곡선반경 R=300m인 경우, 일반 철도 및 도시철도를 구분하여 각각의 슬랙량을 계산하라는데,
제가알기론 2400/R이 슬랙량 구하는 공식으로 알고있는데요.
도시철도도 공식이 똑같나요?
2014 철도건설규칙 해설서(국토교통부, 한국철도시설공단)를 살펴보면
철도의 건설기준에 관한 규정
제12조 슬랙
① 곡선반경 300미터 이하인 곡선구간의 궤도에는 궤간에 다음의 공식에 의하여 산출된 슬랙을 두어야 한다.
다만, 슬랙은 30mm 이하로 한다.
S=2400/R-S'
S= 슬랙(mm) R=곡선반경(m) S'=조정치(0~15mm)
② 제1항에 따른 슬랙은 제7조제4항에 따른 캔트의 체감과 같은 길이내에서 체감 하여야 한다.
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도시철도는 슬랙양을 줄이는군요. 배우고 갑니다.
abcXYZ, 세종대왕,1234
abcXYZ, 세종대왕,1234
도시철도건설규칙에 의거
제1항에 따른 확대궤간은 곡선부분의 안쪽 레일에 두어야 하며, 그 치수는 25밀리미터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해당 곡선의 반경 등을 고려하여 특별시장·광역시장·도지사·특별자치도지사·시장 또는 군수(이하 "시·도지사등"이라 한다)가 정한다.에 따라
서울메트로 및 서울도시철도공사 슬랙은 1,250/R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