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호(廟號)란 임금이 죽은 뒤에 종묘에 그 신위를 모실 때 올리는 존호(尊號)이다. 묘호는 조(祖)와 종(宗) 두 가지를 사용했는데, 이것은 원래 중국의 제도였다. 중국에서는 당(唐)나라 때부터 썼고, 우리나라도 고려 때부터 그 제도가 도입되었다. 물론 고구려의 제 6대 왕이 태조이고, 신라에도 태조 무열왕이 있기는 하였지만 삼국시대까지는 묘호라는 개념이 없었다.

삼국시대 왕들의 칭호는 묘호라기보다는 시호(諡號)와  존호의 결합으로 보는 것이 옳다. 시호는 왕이 죽은 사람의 행적을 기리기 위해 내리는 이름인데, 왕이나 왕비, 종친, 종 2품 이상 관리와 그들의 죽은 아버지나 조상, 공신, 학덕을 남긴 선비들에게 주어졌다. 또 존호는 신하들이 왕과 왕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올리던 이름이다.

한 예로 세종의 정식 칭호는 <세종장헌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인데, 세종은 묘호이고, 장헌은 중국 명(明)나라 황제가 내려준 시호이며, 영문예무는 신하들이 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올린 존호이며, 인성명효는 조선 왕(제 5대 문종)이 올린 시호이다. 따라서 흔히 세종이라고 부르는 것은 묘호만을 지칭한 것이며, 장헌대왕이란 것은 명 황제의 권위를 빌리기 위한 호칭이다.

묘호에는 조와 종, 두 가지만 사용했는데, 원래 조(祖)는 나라를 세운 사람에게만 붙이고, 나머지 왕들의 묘호는 종(宗)만을 사용했다. 고려 왕들은 태조 왕건을 제외하고 어떤 왕도 조라는 묘호를 받지 않았다.

그러나 조선에 이르러서는 묘호가 무척 혼란스럽게 되었다. 세조,선조, 영조,정조,순조 등에서 처럼 나라를 세우지 않았는데도 조가 붙은 묘호가 여럿 등장했기 때문이다.
나라를 세우지 않고도 조라는 묘호를 받은 첫 사례는 원(元)나라의 세조 쿠빌라이이다. 원 세조는 국호를 처음 원이라고 칭하고 원 제국의 실질적 첫 황제가 되었기에 조를 붙인 것이다. 하지만 원나라도 쿠빌라이 이후에는 조를 붙인 묘호는 없다.

명나라에서도 제 3대 황제 성조(成祖)에서만 딱 한 번 나오지만 그 이후에는 없었다.
명나라 성조 이후에 건국자가 아니면서 조가 붙은 왕은 조선의 세조가 처음이다. 이 후 조선에서는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 등 여러 왕들에게 조를 붙였다.

묘호의 발생지인 중국에서도 원나라에 1 명, 명나라에 1 명, 그리고 청나라에 2 명이 고작이다. 이에 비해 조선은 무려 6명이나 있었다.
조선에서는 업적이 많은 경우에는 조를 붙이고, 그냥 편히 덕이 많으면 종을 붙였다.

좀 웃기는 이야기지만 세조는 단종까지 죽이고 왕권찬탈했지만 그들 편에서 나라를 구했다고 갖다 붙였다. 그리고 선조는 임진왜란을 극복하고 조선을 지킨 업적으로 되었다니 코믹하다. 더 황당한 것은 청국의 속국을 만든 인조를 광해군 몰아내고 유교국가 이념을 지켰다고 추존했으니 얼마나 한심스런 조선왕조인가. 그리고 영조는 탕평책으로, 정조는 고종이 황제된 후에 추존하고, 순조는 서학을 막아서 나라를 지켰다고 하니 참, 씁쓸하다.

그런데 묘호에 관련된 흥미로운 사실이 하나 있다. 세조를 제외하고 조를 붙인 왕들이 한결같이 적자가 아니라는 점이다. 그것은 암묵적으로 서자 출신인 왕의 묘호에 조를 붙이는 관행이 아닌가 생각하며 웃어 본다.

끝으로 조선의왕들 중에 군(君)으로 불리는 왕이 2명 있다. 그것은 이 두사람이 반정에 의하여 왕위에서 내쫒겨 왕자의 신분으로 전락했기 때문이다. 연산군과 광해군은 묘호가 아니다. 그들은 종묘에 오르지도 못했고, 종묘제사에도 지내주지 않았다. 그들은 묘호는 물론이고 시호도 없다. 그리고 그들의 치세기록은 실록이라 하지않고 일기(日記)라고 부른다.



  1. 조선시대 때 왕이름이 태조, 성종 등 조와 종으로 구분하는 기준은 ?

    묘호(廟號)란 임금이 죽은 뒤에 종묘에 그 신위를 모실 때 올리는 존호(尊號)이다. 묘호는 조(祖)와 종(宗) 두 가지를 사용했는데, 이것은 원래 중국의 제도였다. 중국에서는 당(唐)나라 때부터 썼고, 우리나라...
    Date2012.06.08 By송정석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