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조선시대 왕이 형제나 자손 등 후사(後嗣)가 없이 죽고 종친 중에서 왕위를 계승하는 경우, 신왕의 생부(生父)에게 

주던 존호(尊號).

내용
조선시대 대원군은 선조의 아버지 덕흥군(德興君)을 덕흥대원군으로 추존(追尊)한 데서 비롯되어, 

4인이 대원군에 봉(封)하여졌다.
즉, 1623년(광해군 15) 광해군을 폐출(廢黜)하고 선조의 5남으로 인빈김씨(仁嬪金氏) 소생 정원군 부(定遠君琈)의 

아들 능양군 종(綾陽君倧)을 왕으로 옹립하여 인조가 되자, 정원군을 정원대원군(定遠大院君)으로 추존하였고, 

그 뒤 1632년(인조 10) 다시 원종(元宗)으로 추존하였다.

또, 1849년(헌종 15) 헌종이 후사가 없이 죽자, 순원왕후(純元王后 : 純祖妃 金氏)의 명에 따라 전계군(全溪君 : 莊獻世子의

손자 恩彦君의 아들)의 아들 덕완군 승(德完君昇)이 왕위에 올라 철종이 됨에 전계군을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으로 

추존하였다.
1863년(철종 14) 철종이 후사가 없이 죽자, 대왕대비 조씨(大王大妃趙氏 : 翼宗妃, 憲宗의 生母)의 명에 따라 흥선군 

하응(興宣君昰應)의 2남 형(0x9836)가 왕위에 올라 고종이 되자, 하응은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에 봉하여졌다.

이와 같이, 조선시대 대원군에 봉해진 사람은 모두 4인이지만, 흥선대원군을 제외한 3인은 그들이 죽은 뒤 추존되었고, 

오직 흥선대원군만 생전에 대원군으로 봉해졌다.

고종이 12세의 미성년이었으므로 표면상으로는 조대비가 수렴청정(垂簾聽政)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으나, 실질적으로 

흥선대원군의 섭정(攝政)으로, 모든 정책의 결정권을 부여받아 내외의 격변하는 시기에 10년 동안 혁신정책을 폈다.


  1. 대원군의 정의와 내용

    정의 조선시대 왕이 형제나 자손 등 후사(後嗣)가 없이 죽고 종친 중에서 왕위를 계승하는 경우, 신왕의 생부(生父)에게 주던 존호(尊號). 내용 조선시대 대원군은 선조의 아버지 덕흥군(德興君)을 덕흥대원군으...
    Date2012.07.29 By송정석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