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생활 잘 하는 법 "보고 잘 하는 법/ 보고서 잘 쓰는 법" 
 
모든 조직생활이 마찬가지지만 회사 생활은 기본적으로 보고와 지시(피드백)의 연속이다.  보고를 잘 하는 것, 보고서를 잘 쓰는 일이 회사 생활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이하에서 보고를 잘 하는 것, 보고서를 짤 쓰는 일이란 어떤 것인지 살펴보자. 
 
1. Timely
보고의 생명은 타이밍이다.  아무리 훌륭한 정보라도 타이밍이 맞지 않다면 훌륭한 보고라 할 수 없다.  너무 일찍 부정확하게 보고하는 경우도 문제지만 대게는 너무 늦게 보고를 해서 문제가 된다.  우리는 이런 상사의 말을 너무 자주 듣는다.  “이걸 왜 이제서야 말하나? 왜 진작 보고 하지 않았지?”  늦게 보고해서 문제가 되는 것은 흔히 완벽하게 정보를 취합하고 해석해서 완벽한 보고를 올리려다 타이밍을 놓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좋은 일은 늦게 보고해도 되지만 나쁜 일(Risk)은 하루 이틀의 늦은 보고가 큰 재앙을 초래할 수 있다.  상사는 거의 대부분 완벽한 보고보다 반박자 빠른 보고를 원한다.  그래서 직장에서는 이런 말을 자주 한다.  “모르고 당하지 말아라. 알고 당하면 덜 아프다.”  나쁜 일이라도 미리 보고를 하고 상사가 알게 된다면 피해를 최소화 하거나 최소한 조직의 심리적 쇼크를 완화시킬 수라도 있다.  시의적절한 보고를 위해서는 지시 받은 일의 기한을 확인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거 언제까지 보고드리면 될까요?”라고 꼭 반문하자.  기한을 확인하고 여러 가지 일들의 선후차를 정하자. 
 
2. Simple
상사에 대한 보고는 최대한 간단하게 하는 것이 좋다.  구두보고라면 1분 이내에, 문서 보고라면 1~2장 내에 완료하자.  보고 받는 상사는 이미 많은 이슈에 대해 잘 알고 있으므로 장황하게 보고할 필요가 없다.  연구에 의하면 상사의 지위에 있는 사람은 보고를 받을 때 통상 3분을 경과하면 주의력이 현저히 떨어진다고 한다. 짧게 보고를 하기 위해서는 보고자는 그만큼 그 이슈의 핵심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  
심플한 보고를 위해서는 두괄식이어야 한다.  구두보고라면 첫 문장에 결론이 들어가야 하고 보고서라면 제목에서 보고의 취지가 다 담겨야 한다.   
 
3. Clear
물론 보고는 명료하고 정확해야 한다.  보고하는 사람과 보고받는 사람의 관심사와 처지는 다를 수 밖에 없다.  최종 보고를 하기 전에 보고받는 상사의 입장에서 듣고 싶어하는 사항인지 추가로 궁금해 할 사안은 없는지 제3자의 입장에서 객관적으로 평가해 주는 것이 좋다.  보고서라면 보고서를 완성 후 동료에게 보여주면서 상사의 입장에서 어떻게 평가할 지 의견을 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혼자 보고하는 것 보다는 관계된 동료나 부하 직원과 함께 보고하는 것이 보고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보고 후 지시를 피드백 받을 때는 정확한 지시의 취지를 재확인하고(“… 하라는 말씀이시지요?”) 메모를 하는 것이 일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4. 보고는 될수록 대면 보고가 원칙
전자 커뮤니케이션 도구가 발달하면서 구두보고 대신에 이메일, 메신져, 사내게시판 등 전자결재나 전자보고가 일반화되고 있다.  이런 기능을 잘 활용하면 보고시간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중요한 보고일수록 꼭 상사의 얼굴과 눈을 마주치면서 하는 대면보고를 원칙으로 하자.  대면보고 과정에서는 품의서나 전자결재에 담을 수 없는 여러 가지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런 것이 뉘앙스 전달 등 보고의 정확성을 높인다.  또한 서로의 정보사항의 전달 뿐 아니라 자신감과 격려 등 일의 진행에 필요한 감정의 교류들을 함께 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글 작성 시 30포인트, 댓글 작성 시 1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24.05.30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26] 송정석 2023.02.05
4362 흑인 수영 선수가 드문 이유 송정석 2017.11.03
4361 안녕하십니까 [2] secret 아자아자 2017.10.30
4360 안녕하세요 [2] secret 토모토 2017.10.28
4359 60kgKR 레일 형상과 확학성분 및 기계적성질 입니다. 관련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송정석 2017.10.27
4358 가입인사 [1] 한강로 2017.10.18
4357 서울교통공사 전현직 직원 자녀 무기계약직으로 특혜 채용 [1] 송정석 2017.10.17
4356 '웰빙 보신' 공무원 선배에 질린 젊은 그들 송정석 2017.10.14
4355 서울교통공사 궤도직종에 응시하는 수험생 모두에게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송정석 2017.10.12
4354 서울교통공사 ‘수도권 전철’도 운영한다 송정석 2017.10.07
4353 외국인이 놀라는 한국의 지하철 7가지 송정석 2017.10.06
4352 서울교통공사 신입사원 경쟁률 얼마나될까 ????? 송정석 2017.10.05
4351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소개 [1] 송정석 2017.09.30
4350 서울교통공사 신입사원 채용 공고 : 원서접수 2017.10.13∼10.20 송정석 2017.09.29
4349 구,서울메트로 분진흡입차가 양 공사 통합 후 처음으로 5호선에서 작업을 하였습니다. 송정석 2017.09.24
4348 서울 지하철 24시간 운행 추진…”2호선부터 검토” 송정석 2017.09.20
4347 가입인사 [1] 세안꾸르미 2017.09.18
4346 2017년도 서울교통공사 사진 공모전 입상 작품입니다..... 송정석 2017.09.12
4345 철도토목기사 기출풀이/ 예상문제 184,183 비밀번호 [3] 철도초보설계인 2017.09.12
4344 2017년도 세계대학 순위 (서울대 36위, 카이스트 41위, 포스텍 71위) 송정석 2017.09.03
4343 철도공학관련 질문! [3] 문뱅 2017.08.16
4342 B-1B 랜서 (일명 : 죽음의 백조) [1] 송정석 2017.08.15
4341 레일 이상마모입니다. 이런 종류 마모는 어떤 종류의 마모인가요 ???? [1] 송정석 2017.08.11
4340 철도토목(보선)기사 합격수기입니다. [1] 이번엔따지 2017.08.07
4339 2017년도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결과 (행정자치부) [1] 송정석 2017.08.05
4338 철도토목기사 기출문제 예상문제 (184) 암호 부탁합니다 [2] 우렁산 2017.08.05
4337 비밀번호가 맞지않습니다 [3] 낮쟁이 2017.07.28
4336 2017년도 철도토목(산업)기사 2차(실기) 복원문제를 구합니다. 송정석 2017.07.20
4335 "청와대 비서실의 보고서 작성법" 요약, 정리 송정석 2017.07.20
4334 대통령 비서실 편찬 "보고서 잘 쓰는 방법" [4] 송정석 2017.07.20
4333 가입인사드립니다. [1] kmineso 2017.07.19
4332 “일단 모여봐”로 시작한 회의… 돌고 돌아 결국 제자리 송정석 2017.07.12
4331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성공 리더’ 조건 2위 ‘업무 체계화’, 1위는? 송정석 2017.07.12
4330 모든 보고서 1페이지로 받겠다…유영민號 미래부 ‘환골탈태’ 송정석 2017.07.11
4329 가입인사드립니다. [1] 방쿤 2017.07.10
4328 철도청 독점시대로 돌아가자는 건가 송정석 2017.07.07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148 Next
/ 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