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편 고속철도 궤도검측에 관한 조사연구
1. 서론
2. 궤도검측
2.1 궤도틀림
2.2 궤도검측방식
2.3 궤도틀림 판정방법
3. 궤도검측차
3.1 오스트리아의 궤도검측차 EM Series
3.1.1 EM 80
3.1.2 EM 120
3.1.3 EM 250
3.2 일본의 궤도,전기 종합검측차 Doctor yellow
3.2.1 검측항목
3.2.2 검측기기
3.2.3 측정원리 및 연산원리
3.2.4 HISTIM(High Speed Track Inspection Machine)
3.2.5 검측데이타 처리시스템
3.3 프랑스의 궤도검측차 Mauzin Railcar
3.4 네덜란드의 궤도검측
3.4.1 검측 데이타 처리시스템
3.4.2 NS의 검측시스템에 사용되는 파장
4. 결론



제2편 고속화에 따른 차량의 제동시스템 특성
1. 서론
2. 본론
2.1 제동 이론
2.1.1 열차의 운동 에너지
2.1.2 제동 일반 특성
2.2 에너지 변환/저장/전달
2.2.1 일반
2.2.2 제동력/제동율/제동거리
2.3 차륜/레일의 점착 성능
2.3.1 일반
2.3.2 점착계수
2.3.3 평균 열차 제동 점착계수
2.3.4 점착계수 증진 방안
2.3.5 초과 점착성 방지 방안
2.3.6 축하중 변화 방지 방안
2.3.7 축하중 영향
2.4 제동 방법에 따른 특성
2.4.1 회전 마찰 제동 (Rotary Friction Brake)
2.4.2 회전 기계 감속 제동 (Rotary Mechanical Retarders)
2.4.3 회전 모타/발전기 (Rotary Motor/Generator)
2.4.4 회전 와전류 장치 (Rotary Eddy Current Devices)
2.4.5 전자기 레일 제동
2.4.6 열차 저항
2.4.7 공기역학적 제동
2.4.8 선형 유도 모타
2.4.9 와전류 레일 제동
3. 결론



제3편 고속철도 건설에 따른 기술발전 파급효과 조사연구
1. 개요
2. 고속철도 기술특성
3. 고속철도 건설의 관련산업 파급효과
3.1 관련산업에 미치는 기대효과
3.2 고속철도 기술의 산업연관성
3.2.1 고속철도 기술계통도
3.2.2 고속철도 기술의 산업연관성
3.3 고속철도 기술분야별 관련산업 파급효과
3.3.1 기술분야별 기대효과
3.3.2 상세기술별 기술발전 파급효과
4. 기술도입 및 국산화개발
5. 검토결과



제4편 고속철도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TV 수신기에 미치는 영향
1. 서론
2. 복사성 방해전자파의 특성
2.1 날씨와 복사성 방해전자파의 관계
2.2 집전 전류량과 복사성 방해전자파의 관계
2.3 열차속도와 복사성 방해전자파와의 관계
2.4 선로와의 이격거리와 복사성 방해전자파와의 관계
3. 전자파 해석
3.1 전자파의 역사
3.2 전자파의 전파
3.3 Pantograph와 전차선간의 이선현상으로 발생하는 복사성 방해 전자파 해석
3.3.1 Pantograph 동특성 해석에 의한 접근 방법
4. 복사성 방해전자파의 측정법과 규격
4.1 복사성 방해전자파와 관련된 국제기구
4.2 복사성 방해전자파의 측정방법
4.2.1 일본에서의 복사성 방해전자파 측정
4.2.2 일본에서의 측정 결과
5. 복사성 방해전자파에 대한 대책
5.1 Pantograph에 Ferrite를 입히는 방법
5.2 Spring이 보강된 Pantograph의 사용
5.3 새로운 습동판 재료의 사용
5.4 Bus의 설치
5.5 복사성 방해전자파 차폐막 설치
5.6 공청 안테나의 가설
6. 결론



제5편 철도 차량추진시스템의 시험에 관한 조사연구
1. 서론
2. 시험항목 및 관련규격
2.1 조립전부품시험
2.2 공장승인시험-UIC 610V(IEC165→IEC1113으로 개정예정)
2.3 현장승인시험
3. 기기별 시험항목 및 시험개요
3.1 주변압기의 시험
3.1.1 시험항목
3.1.2 시험방법의 개요
3.2 전력변환장치의 시험
3.2.1 제어회로의 시험
3.2.2 주회로 시험
3.3 견인전동기의 시험
3.3.1 시험항목
4. 완성차량의 전기적 시험
4.1 완성차량의 시험
4.2 전기분야 시험항목 및 개요
5. 결론



표 목 차(List of Figure)
<표 2.1> 현재 사용 및 개발되는 고속차량용 제동특성
<표 2.2> 각국 고속차량의 제동형태
<표 2.3> 답면제동에 의한 정지당 소모에너지 평가
<표 2.4> 디스크 제동에 의해 소모되는 정지당 소모에너지
<표 3.1> 기술분야별 파급 기대
<표 3.2> 기술분야별 파급효과 대상 산업
<표 4.1> 고속철도 차량도입에 따른 기술이전대상 범위
<표 4.2> 주요 기술이전 대상품목별 국산화개발업체 및 대상기술
<표 4.1> 방해파 측정기의 규격(CISPR Pub16)
<표 4.2> 일본에서의 복사성 방해전자파 측정법
<표 3.1> 차량용 주변압기의 시험항목
<표 3.2> 제어회로의 시험항목
<표 3.3> 시험조건
<표 3.4> 시험조건
<표 3.5> 온도시험의 등급 (JIS의 경우)
<표 3.6> Tests on semiconductor assemblies
<표 3.7> 주회로 완성품 시험
<표 3.8> 견인전동기 시험항목 및 시험의 종류
<표 3.9> 견인전동기 특수시험항목



그 림 목 차(List of Figure)
<그림 2.1> 궤도틀림
<그림 3.1> EM 80의 구조
<그림 3.2> 궤간 측정
<그림 3.3> 면틀림 측정
<그림 3.4> 줄틀림 측정
<그림 3.5> 수평틀림 측정
<그림 3.6> 비틀림 측정
<그림 3.7> EM 120의 구조
<그림 3.8> EM 250의 구조
<그림 3.9> 광학적 궤간 측정시스템에 의한 측정
<그림 3.10> 광학적 레일마모 측정시스템
<그림 3.11> 광학적 레일마모 측정시스템에 의해 처리된 레일의 마모상태 및 제원
<그림 3.12> Doctor yellow 및 921-11형 궤도검측차의 구조
<그림 3.13> 921-11형의 검측기기의 위치
<그림 3.14> 궤간 측정
<그림 3.15> 면틀림 측정
<그림 3.16> 줄틀림 측정
<그림 3.17> 수평틀림 측정
<그림 3.18> 평면성틀림 측정
<그림 3.19> 장파장고저틀림 측정
<그림 3.20> 20m현 고저, 20m현 틀림 측정
<그림 3.21> 검측 데이타 처리시스템
<그림 3.22> NS의 검측 데이타 처리시스템
<그림 3.23> 검측시스템에 사용되는 파장
<그림 2.1> 속도에 따른 점착계수
<그림 2.2> 고속차량 및 도시간 차량 제동특성 분류
<그림 2.3> 축중에 따른 디스크의 온도상승
<그림 3.1> 고속철도 기술계통도
<그림 1.1> 철도건설로 인한 환경영향인자 발생요인
<그림 1.2> 전자파 장해해결을 위한 흐름도
<그림 2.1> 집전전류량과 복사성 방해전자파와의 관계
<그림 2.2> 열차 속도와 복사성 방해전자파와의 관계
<그림 2.3> 선로 중심과의 이격거리와 복사성 방해전자파와의 관계
<그림 3.1> 가선, 판토그라프계의 운동해석 모델 예
<그림 3.2> 시뮬레이션과 실측과의 비교
<그림 4.1> CISPR 조직표
<그림 4.2> EMS에 관한 세계의 현황
<그림 4.3> 잡음파형과 측정치
<그림 4.4> Bus 설치 유무에 따른 복사성 방해전자파 측정치
<그림 4.5> 안테나 setting변화에 따른 복사성 방해전자파 측정치
<그림 5.1> Ferrite를 입힌 Pantograph
<그림 5.2> Spring이 보강된 Pantograph
<그림 5.3> Bus가 설치된 고속전철
<그림 5.4> 우리나라 방송국별 가시청 지역과 비가시청 지역
<그림 3.1> 台形波 Surge 파형그림
<그림 3.2> 삼각파 Surge 파형
<그림 3.3> Noise시험 접속도
<그림 3.4> 저온시험 온도변화
<그림 3.5> 고온시험 온도변화
<그림 3.7> 온도 Cycle 시험 온도변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자료를 다운 받을 시 -10포인트 차감, 자료를 게시할 시 +2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3.23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송정석 2019.04.21
488 철도공사선로관리지침입니다 [1] 강원창 2012.03.01
487 철도공사 장비현황 [4] 유기상 2009.06.05
486 철도공사 선로점검차 보고서(최종본) [9] 송정석 2018.01.04
485 철도공사 궤도검측차(EM120)의 차량제원 및 시스템 소개 [10] 송정석 2006.06.11
484 철도 현장의 레일 용접부 초음파 탐상시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송정석 2011.02.09
483 철도 중장비 일반 (장비별 소개) [4] 송정석 2009.06.10
482 철도 레일 용접부 초음파 탐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12] 송정석 2016.10.09
481 철도 레일 결함의 고속 검출을 위한 비접촉식 초음파 트랜스듀서 및 탐상 시스템 연구 [1] 송정석 2015.04.04
480 철도 기계화 보수장비 [8] 송정석 2014.08.28
479 차륜 레일 비파괴 검사 기술 [1] 송정석 2009.02.25
478 차륜 레일 비파괴 검사 기술 [1] 송정석 2018.12.16
477 중보선장비 효율적 정비 시스템 구축방안 제안 [1] 송정석 2017.12.20
476 중보선장비 일반 (보수교육교안) 송정석 2009.02.01
475 중보선 특수장비 일반 송정석 2008.07.15
474 주요 보선장비 성능 및 사진 [5] 김길수 2009.05.11
473 종합검측차와 철도시설 유지보수 [8] 송정석 2018.08.02
472 종합검측차와 철도시설 유지보수 [2] 송정석 2009.10.08
471 종합검측차 프리젠테이션 [13] 송정석 2006.07.17
470 종합검측차 교육자료 [8] 송정석 2011.03.14
469 종합검측차 개요 [7] 김석훈 2007.04.14
468 종래 선로에서의 효과적인 레일삭정 방법 [5] 송정석 2006.05.08
467 전차선 장비별 제원(3) [2] 송정석 2010.03.21
466 전차선 장비별 제원(2) [1] 송정석 2010.03.21
465 전차선 장비별 제원(1) [1] 송정석 2010.03.21
464 전기전자 계통 고장 사례집 송정석 2021.08.02
463 재래선의 레일연마차 도입효과에 대하여(일본철도시설협회) [1] 송정석 2011.02.16
462 재래선의 레일연마차 도입효과에 대하여(일본철도시설협회) [1] 송정석 2011.02.16
461 재래선의 레일연마차 도입효과에 대하여(일본철도시설협회) 송정석 2011.02.16
460 재래선의 레일연마차 도입효과에 대하여(일본철도시설협회) 송정석 2011.02.16
459 장비작업의 원리및효과 [9] 김석훈 2007.04.1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