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모여봐”로 시작한 회의… 돌고 돌아 결국 제자리


쓸모없는 회의, 뭐가 문제일까
의제설정 없이 불러모아 시작… 구성원들 의견제시 꺼려 ‘헛바퀴’
회의 주제는 구체적일수록 좋아… 참가자 모두가 고민하게 해야

위기 상황에서 기업이나 공공조직이 생산적인 대안을 만들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물론 조직 구성원들의 능력이 부족해서일 수도 있다. 그러나 해결책을 찾기 위한 토론과 회의 방식의 문제도

심각하다.

회의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문제는 ‘회의를 해도 답이 없다’는 점이다. 해결 방안도 찾지 못한 채, 그냥 이야기를

나눴다는 것 자체에 의미를 둔다. 다람쥐 쳇바퀴 돌듯 회의는 반복되지만 결론이 나지 않는다.

동아비즈니스리뷰(DBR) 228호(2017년 7월 1일자)에 실린 바람직한 회의 운영법 관련 기사를 요약 소개한다.


○ 회의에 ‘알맹이’가 없는 이유

회의가 겉도는 데는 두 가지 원인을 생각해볼 수 있다. 하나는 대안을 만들지 못하는 참가자들의 무능함이다.

또한 리더의 의사결정력 부족도 문제다.

회의에서 나타나는 두 번째 문제는 ‘회의 결과에 대해 책임지는 사람이 없다’는 점이다.

회의 참가자들이 회의에서 묵묵부답인 것도, 상사의 질책을 달게 받는 것도 결과가 가져올 책임 때문이다.

품질경영의 대가인 미국의 통계학자 에드워드 데밍은 품질경영 14개 원칙 중 하나로 ‘두려움을 몰아낼 것’을

꼽고 있다. 즉, 구성원들이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하고 질문할 수 있는 회의 환경이 중요하다. 어떤 행동이나

결과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면 사람들은 행동하지 않는다.


자기보호 심리가 작동하기 때문이다. 회의석상에서 자신의 소신을 당당하게 말할 수 있는 분위기, 회의에서

무언가를 제안하는 사람이 곧 실행하는 사람이 돼버리지 않는 분위기, 회의에서 다른 의견을 제시해도 비난이나

질책을 당하지 않고 존중받는 분위기가 형성돼야 구성원들은 자신 있게 대안을 제시할 것이다.

회의 참가자들이 가장 많이 표출하는 세 번째 불만은 ‘회의가 너무 많거나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이다.

참가자들이 이렇게 느끼는 것은 그저 회의가 잦아서일 뿐만 아니라 이렇게 자주 열린 회의가 의미 없는 결과를

도출했기 때문이다.


○ 어떻게 바꿀 것인가


그동안 국내 기업들도 다양한 각도에서 회의 방식의 변화를 추구해 왔다. 그럼에도 효과를 보지 못했던 것은

회의가 생산적이지 못했기 때문이다. 생산적인 회의 진행법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가 있다.

그중에서도 회의 진행 연구 관련 권위자인 마이클 도일과 데이비드 스트라우스의 ‘인터랙션 회의’를 중심으로

생산적인 회의 방법을 찾아보기로 한다.

이들은 성공하는 회의를 만드는 기준은 ‘결과와 과정’이라고 주장했다. 여기서 회의 결과란 ‘기대한 대로의

결과인가, 문제는 해결됐는가, 참신한 방책을 이끌어냈는가’를 의미한다.

두 번째 기준인 과정은 ‘회의가 어떻게 진행됐는가’를 의미한다. 즉,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어떤 식으로

결론을 이끌어낼 것인가, 모두가 하나가 돼 생각했는가, 골고루 발언 기회를 얻었는가, 회의 참석이 즐거웠는가

진행 과정을 의미한다.

생산적인 회의가 되기 위해서는 회의 결과를 만드는 씨앗인 의제가 잘 정립돼 있어야 한다.

사전에 준비할 가치가 있는 의제는 추상적 명사형이 아닌 구체적 질문형으로 만들면 효과적이다.

예를 들면, ‘저성장기 ○○○ 제품 매출 개선 방안’이 아니라 ‘○○○ 제품의 매출액을 20%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처럼 구체적 목표와 방법을 질문하는 것이다.

이처럼 질문형 의제는 생각의 뇌를 작동시켜 회의 진행 과정에서 논의와 결정을 풍부하게 한다.

한편 회의 과정을 관리하는 사람은 리더가 아니라, 리더로부터 회의 진행을 위임받은 회의 진행자(퍼실리테이터)

여야 한다. 상사인 리더가 회의를 직접 진행할 경우 구성원들이 제대로 의견을 제시하기가 쉽지 않다.

이 때문에 결국 편향적인 논의로 흐르다가 리더의 생각대로 결정해버리기 쉽다.

또한 회의 계획서를 작성하는 것도 중요하다. 회의 계획서는 목적과 의제, 진행 순서와 참가자 역할 안내, 준비물 등

다양한 상황을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한 계획안이다.

이를 미리 공유하면 회의 상황 전반을 사전에 이해하고 준비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글 작성 시 30포인트, 댓글 작성 시 1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24.05.30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26] update 송정석 2023.02.05
857 2017년도 철도토목(산업)기사에 응시하는 모든 분들께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랍니다. 송정석 2017.05.06
856 다시 돌아 왔습니다. 썰렁왕자 2017.05.08
855 2017년도 철도토목기사 필기문제를 올리려고하는데... [2] 아루히텐 2017.05.10
854 가입 인사드립니다.. [4] 칠칠팔~~ 2017.05.11
853 서울시, 지하철통합공사 CI 시민 선호도 결과 외면 송정석 2017.05.05
852 통합 서울지하철, 출발부터 노사갈등 우려 "현장안전 아닌 옥상옥 관리 강화" 송정석 2017.05.11
851 서울교통공사 올해 1천244명 채용 [1] 송정석 2017.05.13
850 서울 지하철 통합공사 CI 발표…31일 출범식 송정석 2017.05.17
849 부대 면회 온 여인 송정석 2017.05.20
848 서울교통공사 CI 송정석 2017.05.24
847 가입인사 드립니다. [1] 이스ㅡ라80 2017.05.28
846 철도건설규칙입니다. [3] 똑바루 2017.05.29
845 가입 인사드려요 [1] 남자는힘 2017.05.31
844 직장생활 잘 하는 법 "보고 잘 하는 법/ 보고서 잘 쓰는 법" 송정석 2017.06.01
843 가입인사드립니다. [1] tira72 2017.06.06
842 "풍천장어"에서 풍천의 뜻은 ???? 송정석 2017.06.11
841 서울도시철도공사 궤도구성품 교환기준 및 유지관리 방안 연구용역 요약보고서 : 전자책 송정석 2017.06.13
840 가입인사드립니다!!! [1] 깡으니 2017.06.15
839 서울도시철도공사 토목직렬 합격수기 [1] 송정석 2017.06.20
838 가입인사드립니다. [1] coolguy 2017.06.22
837 PRECAST저상홈승강장 도면 및 그림 자료를 올립니다. coolguy 2017.06.22
836 PRECAST저상홈승강장 그림자료 입니다. [2] coolguy 2017.06.23
835 철도청 독점시대로 돌아가자는 건가 송정석 2017.07.07
834 가입인사드립니다. [1] 방쿤 2017.07.10
833 모든 보고서 1페이지로 받겠다…유영민號 미래부 ‘환골탈태’ 송정석 2017.07.11
832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성공 리더’ 조건 2위 ‘업무 체계화’, 1위는? 송정석 2017.07.12
» “일단 모여봐”로 시작한 회의… 돌고 돌아 결국 제자리 송정석 2017.07.12
830 가입인사드립니다. [1] kmineso 2017.07.19
829 대통령 비서실 편찬 "보고서 잘 쓰는 방법" [4] 송정석 2017.07.20
828 "청와대 비서실의 보고서 작성법" 요약, 정리 송정석 2017.07.20
827 2017년도 철도토목(산업)기사 2차(실기) 복원문제를 구합니다. 송정석 2017.07.20
826 비밀번호가 맞지않습니다 [3] 낮쟁이 2017.07.28
825 철도토목기사 기출문제 예상문제 (184) 암호 부탁합니다 [2] 우렁산 2017.08.05
824 2017년도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결과 (행정자치부) [1] 송정석 2017.08.05
823 철도토목(보선)기사 합격수기입니다. [1] 이번엔따지 2017.08.07
Board Pagination Prev 1 ...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 148 Next
/ 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