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기술연구원-현대로템의 국내최초 제작/100%/베터리주행/무가선 저상 트램 노면전차




잘빠진 전면부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노면주행시 열차 앞의 장애물(또는 사람)이 차량 밑으로 끼어들어갈 공간이 있어서 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
해외의 차량들은 야구공 크기의 물체도 끼어들어가지 못할정도로 가드(범퍼)가 있거나 차체외관이 바닥에 밀착되어 있습니다.

2
2
2


운전석 모습입니다. 인체공학적(?) 배치가 약간 아쉬운 것 같습니다. 직접 앉아보진 않았지만 마스콘의 위치나 계기들의 배열이
조금 기관사의 자세를 불안정하게 할거 같은 느낌입니다.(해외 차량과 비교해서 말입니다.)

2
2
2


전두부와 반쪽짜리 1번 출입문 입니다. 운전석 문이 열려있어 보이다 시피 운전실 개방구조입니다. 우측 엑스포 공식(?) 안내판이 있습니다.

2
2
2


이어서 보이는 후부 입니다.  차량 전면에 걸쳐 넓직한 유리로 개방감은 여느 철도차량보다 최고일 것입니다.
보시다 시피 5량1편성 입니다만. 1량의 길이가 우리가 알던 철도차량보다 휠씬 작고,
1편성중 어느 한 량이라도 분리가 된다면 운행이 불가능한 편성 구조입니다. 구동대차는 1량 5량에 반쪽짜리 출입문과 함께 있고,
비구동대차는 3량에 있는 대신 베터리와 팬터그래프가 있습니다. 2량 4량은 매달려있는 형태로 양문형 출입문이 있습니다.

2
2
2


1(5)량 2(4)량 내부입니다. 내부 역시 개방감 최고입니다.

2
2
2


운전실쪽 실내 입니다. 전방 조망이 좋습니다만 손잡이가 아직 차량 내부 곳곳에 부족한 듯합니다.

2
2
2


접이식 의자가 설치된 장애인 휠체어 공간입니다. 자전거 공간이 없어서 아쉬웠지만 시제차량인 만큼 양산 차량에선 주문자의
요구대로 얼마든지 제작이 가능하리라 봅니다.

2
2
2


다시 밖으로 나와서 얼마나 저상인지를 확인하는 사진입니다. 레일상면에서 차량 바닥면까지가 얼마나 될까요..

2
2
2


아.. 출입문에 동그란 녹색 원은 출입문 열림장치입니다. 허용된 조건(기관사가 열리도록 조작)하에서 누르면 문이 열립니다.
(해외에서 많이 경험해보셨을 것입니다. - 야외로만 다니다보니 냉난방을 위해 필요한 장치이기도 하지요.)
필요한 경우 녹색불이 켜져있을때 누르면 열리고, 기관사가 더이상 열리는 것을 원치 않는것으로 조작하면 더이상 열리지 않습니다.

2

[출처] 국내최초 제작/100%저상/베터리주행/노면 철도차량 시승회 (철도기술카페) |작성자 유현선

2
  • ?
    조형연 2012.08.18 14:01
    [[uks_5]]자료 감사합니다무가선 저상트램 노면전차 사진 자료 감사 합니다
  • ?
    서지연 2013.01.09 10:38
    [[uks_5]]좋은자료 감사합니다.
  • ?
    제비꽃 2020.12.02 03:38
    좋은자료 감사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송정석 2023.02.06
자료를 다운 받을 시 -30포인트 차감, 자료를 게시할 시 +15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3.23
227 경량전철자료(1) [12] 송정석 2007.06.28
226 철제차륜형식 경량전철 차량시스템 비교 [5] 송정석 2008.04.13
225 신 교통시스템(노면경량전철, AGT, 모노레일, 자기부상철도) [9] 송정석 2008.04.15
224 경량전철의 교량구조 및 궤도구조 [11] 배영훈 2008.04.16
223 타이페이 경량전철 [2] 송정석 2008.04.16
222 국내,외 경량전철 현황 [4] 송정석 2008.04.16
221 국내 경량전철 추진방향 [1] 송정석 2008.04.16
220 경량전철에서 전구간 장대레일화 방안 [3] 송정석 2008.04.16
219 경량전철 (하) [2] 송정석 2008.04.16
218 경량전철 (상) [2] 송정석 2008.04.16
217 경량전철 토목분야 기술개발 현황 [5] 송정석 2008.04.16
216 경전철 건설 추진실태 평가 [5] 조용우 2008.06.11
215 경전철 설명회 발표자료(1) [6] 성호기 2007.09.13
214 경전철 설명회 발표자료(2) [5] 성호기 2007.09.13
213 경전철사진 [2] 문의식 2007.11.30
212 성남 경량전철 1호선 건설사업 예타(요약) [2] 강동근 2008.02.04
211 고무차륜 및 철재차륜형식 경량전철 차량시스템 비교 [4] 송정석 2008.03.04
210 경량전철자료(3) [7] 송정석 2007.06.28
209 경량전철자료(2) [8] 송정석 2007.06.28
208 한국형고무차륜경량전철시스템에대한시운전시험계획 [4] 송정석 2007.06.28
207 경전철(일본) [5] 송정석 2007.06.28
206 경전철의 계획 및 건설 (이기승) [9] 송정석 2007.06.28
205 경전철 종류별 특징비교 [13] 김주영 2007.08.09
204 경전철과 기존철도 특성비교 [14] 김주영 2007.08.09
203 경전철 [8] 송정석 2007.06.28
202 경전철(노면전차)에 대하여 [6] 송정석 2007.06.28
201 경전철(모노레일)에 대하여 [8] 송정석 2007.06.28
200 경전철(자기부상식철도)에 대하여 [7] 송정석 2007.06.28
199 경전철(LIM시스템)에 대하여 [11] 송정석 2007.06.28
198 경량전철의 선로구축물기술 [8] 송정석 2007.06.28
197 경량전철자료(3) [5] 송정석 2007.06.28
196 경량전철자료(2) [5] 송정석 2007.06.28
195 경량전철자료(1) [5] 송정석 2007.06.28
194 경량전철차량시스템 [3] 송정석 2007.06.28
193 경량전철 [5] 송정석 2007.06.2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