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대회를 봐도,
수영 중계방송을 봐도, 세계수영선수권대회를 봐도,
어디에도 흑인 수영선수는 본적이 없는 거 같다.
왜 수영 종목에서 흑인을 찾아볼 수가 없는 걸까?


흑인 수영 선수에 관한 자료를 찾아봤다.
88서울올림픽에서 안소니 네스티(남자 접영 100m)가 흑인 최초의 수영
금메달 리스트이며 유일한 사례였다.


이후 시드니와 북경 올림픽에서 흑인 혼혈(앤서니 어빈)과 400계주(컬런 존스)에서
금메달을 포함하여도 세 개뿐이였다.

세계적인 흑인 수영선수를 잘 볼 수 없는 이유에 대하여 제기되는 몇 가지 가설이 있지만
결론을 내리기가 쉽지는 않다.


가설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데,
한 측면의 "흑인은유전적으로 신체 밀도(근육 및 뼈)가 높기 때문에 낮은 부력(浮力)
작용으로 수영경기에 불리하다"고 보는 견해와 다른 측면은 "사회적 혹은 경제적 차별 때문에
백인에 비해 수영종목에 참여기회 자체가 적다"는 견해로 구분할 수 있었다.


◆ 흑인과 백인의 신체 밀도차이


신체의 밀도는 부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영 경기력을 설명할 때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
즉, 제지방(근육 및 뼈)과 지방의 밀도는 각각 1.1g/㎖와 0.9g/㎖로 물의 밀도(4℃에서 1g/㎖)와 
 

비교한다면 지방은 물에 뜨고 제지방은 물에 가라앉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흑인은 백인에 비해서 근육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물에 뜨는데 불리하다는 것이다.


또한 인종간 비교된 골밀도 수치는 흑인, 황인, 백인의 순으로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것도 백인,
황인 그리고 흑인 순의 금메달 개수를 인종별 신체밀도에 따른 차이를 지지하고 있다.


◆ 흑인에 대한 사회 경제적 편파성


세계적인 흑인 수영 선수가 잘 나타나지 않는 현상에 대하여 흑인에 편파적인 사회 및
경제적 여건 때문으로 이유를 붙일 수 있다. 우선 수영은 수영장이라는 인프라가 필요하며
어릴 때부터 기술을 습득해서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훈련이 요구되는 종목이라는 점에서
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경제력을 가진 흑인의 저변이 넓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흑인의 실내 수영장 출입에 대한 편견도 흑인들로 하여금 발걸음을 돌리게 하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흑인의 경우 동일한 조건이라면 수영보다는 농구나 육상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위의 두 가설 중에서 어느 쪽이 더 설득력을 갖고 있을까?


정답은 없지만, 나는 후자 쪽에 무게를 두고 싶고 그랬으면 좋겠다.

백인이 물에 잘 뜨는 신체를 타고난다면 우리 역시 제 2의 박태환 선수를 만드는데
기다리는 시간이 너무 길지 않을까?


시간이 조금 지나긴 했지만 뉴욕 브루클린 출신의 14세의 흑인 소녀 리아 닐이 지난 북경 올림픽에
미국 국가대표 최종선발전에 출전하게 되었다는 뉴욕타임스 스포츠면 1면 기사는 흥미롭다.
169cm의 신장에 성인선수를 능가하는 기록으로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어릴 때부터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훈련은 흑인이라도 백인과 다르지 않다는 것이 아닐까?


1990년 소박과 하워즈는 한명의 수영선수를 86년부터 90년까지 4년간 피하지방과 근육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시합 전에 인체측정을 통하여 신체구성성분변화와 경기기록의 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이 선수가 두 차례의 세계최고기록을 수립하였는데
그 당시 몸 상태는 피하 지방량이 많은 경우는 아니었다.


그렇다고 근육량이 많은 시기도 역시 아니었다.

세계최고기록은 근육량과 지방량의 밸런스가 적정한 시점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근육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강한 근력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신체밀도가 높아 낮은 부력의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으며,
반대로 지방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부력이 높아 물에 잘 뜰 수는 있지만 수영에서 필요한
근지구력 혹은 근력을 발현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박태환 선수를 시작으로 수영 종목에 대한 관심과 함께 인적, 그리고 물적 인프라를
확장하고 있다. 수영이 백인들에게만 유리한 종목이라면 투자의 필요성이 없겠지만,
필요한 인재를 조기에 발굴하여, 스포츠과학을 접목한 체계적인 육성이 필요한 시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글 작성 시 30포인트, 댓글 작성 시 1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24.05.30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25] 송정석 2023.02.05
5161 힘내라 청춘.... 김종민 2013.09.25
5160 흔히들 말은 건넬 상대가 있어야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말은 돌아옵니다 송정석 2012.04.27
» 흑인 수영 선수가 드문 이유 송정석 2017.11.03
5158 흐린 하늘이 아름답네여 사성정 2008.03.29
5157 훌륭한 자료가 많네요 김정민 2012.03.13
5156 후방센서 (신형) [2] 화이트위도우 2018.10.12
5155 후반에 잘 하네요...대한민국... 이정인 2006.06.02
5154 효도르와..크로캅이 싸운다면.... [1] 정상훈 2006.12.06
5153 회춘10계명 김흥업 2007.06.19
5152 회의 시간은 어떻게 낭비되는가... 송정석 2020.01.09
5151 회원정보수정 우종명 2012.12.11
5150 회원여러분 메리~ 크리스마스^^ [1] 김승규 2006.12.24
5149 회원님들 모두 새해 복 많이 많이 받으셔요 ^^ 김진영 2007.02.18
5148 회원가입이 안되어요 [1] secret 조남성 2018.05.25
5147 회원가입에 대해서~ 양정호 2008.01.16
5146 회원가입시 정확하게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송정석 2018.07.19
5145 회원가입 인사드립니다 최강익 2007.02.07
5144 회원가입 인사 김대혁 2007.02.08
5143 회원가입 및 출첵 이용선 2012.04.04
5142 회원가입 감사합니다. 이민호 2012.02.09
5141 회원가입 김인혁 2007.09.03
5140 회원 가입했습니다... 권준모 2012.02.10
5139 회원 가입했습니다. 박장훈 2010.09.11
5138 회원 가입시 이름은 실명으로 반드시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실명이 아닌 경우는 삭제... [1] 송정석 2017.11.29
5137 회원 가입 했어요. 이춘일 2006.05.30
5136 회식안가고 숙소와서 출석체크합니다. 김기철 2013.06.17
5135 황사가... 김흥업 2008.03.03
5134 환절기 조심하세욤~~ 이성현 2008.08.13
5133 환절기 감기 조심하세요.. 김창훈 2008.09.23
5132 환절기 감기 조심하세요!! 김태문 2013.03.25
5131 환절기 감기조심하세여... 이화중 2008.05.09
5130 확인 부탁드립니다. [1] secret Jayson 2021.10.11
5129 화차탈선 류영준 2006.06.02
5128 화일오류 관련 [2] 강동근 2008.02.05
5127 화이팅 임재영 2014.01.0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48 Next
/ 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