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일연마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 및 연마관리의 필요성 (요약)

1. 레일연마(삭정) 기술의 변천
2. 레일연마(삭정) 관리의 필요성
3. 레일연마와 밀링 비교
4. 독일철도 주식회사(DB)의 삭정지침
5. 일본(JR West)의 레일관리 기준


가. 레일표면 결함제거
     차륜과 직접적으로 접촉을 하게 되는 레일두부 표면에 결함이 발생하게 되면 차륜/레일의 동하중이 증가하여
     승차감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결함은 발생초기에 제거를 하거나 아예 발생자체를 막기 위한 예방적

     삭정관리가 중요하다.  결함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가장 중요하게 관리되어야 하는 것은 탈탄층 제거,

     파상마모 제거, 피로에 의한 쉘링층 제거를 우선적으로 꼽을 수 있다.

1) 탈탄층 제거
    레일 제조시 열간 압연을 위해 변태점 이상 기열시, 퍼얼라이트 조직인 레일강의 표면 근처(약 0.2∼0.3mm 깊이)

    의 탄소가 가열로 속의 산소와 결합함으로써 경도가 낮고 산화되기 쉬운 금속조직으로 변화된 탈탄층이 생성

    된다. 이러한 탈탄층을 초기에 제거하지 않고 사용하면 파상마모 등 여러가지 결함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2) 탈탄층 특징
    - 너무 연하여 마모가 급속하게 진행되며, 파상마모나 표면결함의 원인이 된다.
    - 레일부설후 삭정을 통하여 0.3∼0.4mm정도를 반드시 제거하여야 한다.

3) 파상마모 제거
    레일표면에 잔류응력 등의 문제로 경도 상의 불균일한 상태가 나타나면 차륜에 의한 rolling load에 의해 이러한

    불균일성이 계속적으로 전파되는 특징을 갖게 된다.

    이 파상마모는 결국 레일 및 차량에 심한 소음과 진동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어
    승차감을 나쁘게 하고 또한 공진의 발생이나 동적충격력에 의해 트랙과 차량에 심각한 손상을 입힐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궤도가 자갈궤도에 비해 파상마모가 약 2배 가량 빨리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쉘링(Shelling, 가공경화층) 제거
    레일 위에서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으로 인해 레일두부 상피층에 말텐사이트조직의

    가공경화층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초기에는 0.05mm 깊이로 발생하지만 레일 삭정을 통해 경화층을 제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가공경화층 깊이가 0.2mm를 넘지 않도록 주기적인 레일 삭정을 해야 한다.

   - 첨부내용 중 일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자료를 다운 받을 시 -10포인트 차감, 자료를 게시할 시 +2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3.23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송정석 2019.04.21
248 레일예방 연마에 의한 쉐링 억제효과 [3] 송정석 2009.12.26
247 레일예방 연마에 의한 쉐링 억제효과 [2] 송정석 2009.12.26
246 레일 파상마모 연마에 의한 궤도침하 억제효과 [4] 송정석 2009.12.26
245 레일 파상마모 연마에 의한 궤도침하 억제효과 [1] 송정석 2009.12.26
244 레일 파상마모 연마에 의한 궤도침하 억제효과 [1] 송정석 2009.12.26
243 레일연마주기 [4] 홍성균 2009.12.17
242 발표자료 : 대전도시철도 연마계획 [1] 송정석 2009.12.06
241 등용자격 시험문제 강봉수 2009.12.02
240 종합검측차와 철도시설 유지보수 [2] 송정석 2009.10.08
239 레일연마의 목적 [1] 이원식 2009.10.06
238 보선장비시험문제 [3] 이원식 2009.10.06
237 장비운전원교육 [13] 이원식 2009.10.06
236 장비예상시험문제 [2] 이원식 2009.10.06
235 레일도유기현황(서울지하철공사) [4] 정길영 2009.09.21
234 레일 연마주기 도출 (부산교통공사) [1] 송정석 2009.09.16
233 텐덤탐상의 종류와 그 탐상영역에 대해 송정석 2009.08.29
232 미국 SPERRY 레일 탐상장비 소개 (롤러탐상과 스캔탐상 비교 등) [2] 송정석 2009.08.23
231 국내 레일연마 운영 및 현황 기준 [5] 송정석 2009.08.20
230 철도장비문제 [2] 최선규 2009.08.13
229 보선장비종류입니다. [2] 김동국 2009.07.15
228 초음파 탐상 기초 이론 [4] 이동협 2009.07.07
227 보선장비 사용 원가 [4] 문성천 2009.07.06
226 레일유지관리 효율화를 위한 경부 고속선 레일연마 기준(안) [5] 송정석 2009.07.01
225 레일밀링차(메트로) [1] 송정석 2009.06.21
224 보선장비 작업방법 [14] 김기수 2009.06.12
223 철도 중장비 일반 (장비별 소개) [4] 송정석 2009.06.10
222 철도공사 장비현황 [4] 유기상 2009.06.05
221 KTX 운행현황을 고려한 고속선 레일 연마 기준 정립에 대한 연구 [8] 송정석 2009.05.17
220 레일유지관리 효율화를 위한 경부 고속선 레일 연마 기준(안) [2] 송정석 2009.05.17
219 주요 보선장비 성능 및 사진 [5] 김길수 2009.05.11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