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일연마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 및 연마관리의 필요성 (요약)

1. 레일연마(삭정) 기술의 변천
2. 레일연마(삭정) 관리의 필요성
3. 레일연마와 밀링 비교
4. 독일철도 주식회사(DB)의 삭정지침
5. 일본(JR West)의 레일관리 기준


가. 레일표면 결함제거
     차륜과 직접적으로 접촉을 하게 되는 레일두부 표면에 결함이 발생하게 되면 차륜/레일의 동하중이 증가하여
     승차감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결함은 발생초기에 제거를 하거나 아예 발생자체를 막기 위한 예방적 삭정관리가
     중요하다.  결함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가장 중요하게 관리되어야 하는 것은 탈탄층 제거, 파상마모 제거, 피로에
     의한 쉘링층 제거를 우선적으로 꼽을 수 있다.

1) 탈탄층 제거
    레일 제조시 열간 압연을 위해 변태점 이상 기열시, 퍼얼라이트 조직인 레일강의 표면 근처(약 0.2∼0.3mm 깊이)의 탄소가
    가열로 속의 산소와 결합함으로써 경도가 낮고 산화되기 쉬운 금속조직으로 변화된 탈탄층이 생성된다. 이러한 탈탄층을
    초기에 제거하지 않고 사용하면 파상마모 등 여러가지 결함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2) 탈탄층 특징
    - 너무 연하여 마모가 급속하게 진행되며, 파상마모나 표면결함의 원인이 된다.
    - 레일부설후 삭정을 통하여 0.3∼0.4mm정도를 반드시 제거하여야 한다.

3) 파상마모 제거
    레일표면에 잔류응력 등의 문제로 경도 상의 불균일한 상태가 나타나면 차륜에 의한 rolling load에 의해 이러한 불균일성이
    계속적으로 전파되는 특징을 갖게 된다. 이 파상마모는 결국 레일 및 차량에 심한 소음과 진동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어
    승차감을 나쁘게 하고 또한 공진의 발생이나 동적충격력에 의해 트랙과 차량에 심각한 손상을 입힐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궤도가 자갈궤도에 비해 파상마모가 약 2배 가량 빨리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쉘링(Shelling, 가공경화층) 제거
    레일 위에서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으로 인해 레일두부 상피층에 말텐사이트조직의 가공경화층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초기에는 0.05mm 깊이로 발생하지만 레일 삭정을 통해 경화층을 제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가공경화층 깊이가 0.2mm를 넘지 않도록 주기적인 레일 삭정을 해야 한다.

   - 첨부내용 중 일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자료를 다운 받을 시 -10포인트 차감, 관련 자료를 게시할 시 +2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5.08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4] 송정석 2021.10.28
2906 엑셀로 배우는 측량 [16] 안재석 2006.05.27
2905 토목시공일반 [7] 안재석 2006.05.27
2904 터널설계의 개념 [6] 안재석 2006.05.27
2903 궤도파괴 가중 요인과 대책 [15] 송정석 2006.05.30
2902 백화현상 방지 대책 [6] 송정석 2006.05.30
2901 선로 전환기의 이해 [9] 송정석 2006.05.30
2900 슬랙 [10] 송정석 2006.05.30
2899 코일스프링크립(높이) 비교 [3] 송정석 2006.05.30
2898 터널구간 콘트리트 궤도 적용에 따 른설계기준 검토 [2] 송정석 2006.05.30
2897 옹벽 [5] 이광복 2006.06.01
2896 한국철도노선도 [6] 이광복 2006.06.01
2895 PC침목 제작시방서 [12] 이광복 2006.06.01
2894 열차단면도 [8] 이광복 2006.06.01
2893 개량형신축이음장치 [5] 이광복 2006.06.01
2892 궤간측정 [3] 이광복 2006.06.01
2891 3차원포물선 계산공식입니다 [31] 김두천 2006.06.01
2890 지하철유지관리계측세부지침 [7] 이대수 2006.06.02
2889 KTX평면도 [15] 홍태도 2006.06.03
2888 차륜 / 레일마모 예측 및 유지보수 기준 연구 [25] 송정석 2006.06.03
2887 평면성틀림 보수기준 재검토(안) [25] 송정석 2006.06.03
2886 STEDEF 및 직결궤도 구조도 [15] 송정석 2006.06.03
2885 레일도유기현황 [20] 송정석 2006.06.03
2884 장대레일 궤도의 3차원 좌굴변수 (2) [2] 송정석 2006.06.03
2883 장대레일 궤도의 3차원 좌굴 변수 - I (궤도모델) [3] 송정석 2006.06.03
2882 철도 분기기 궤도 부설연장 계산 [12] 송정석 2006.06.03
2881 신축이음매 제원 [15] 송정석 2006.06.03
2880 고속철도장대레일기술 [2] 김홍열 2006.06.05
2879 궤도를 구성하는 요소 [5] 김홍열 2006.06.05
2878 고속철도 설계기준 (코레일 고속철도 유지보수 OJT교재) [16] 김홍열 2006.06.05
2877 궤도기술 [6] 김홍열 2006.06.05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05 Next
/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