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일연마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 및 연마관리의 필요성 (요약)

1. 레일연마(삭정) 기술의 변천
2. 레일연마(삭정) 관리의 필요성
3. 레일연마와 밀링 비교
4. 독일철도 주식회사(DB)의 삭정지침
5. 일본(JR West)의 레일관리 기준


가. 레일표면 결함제거
     차륜과 직접적으로 접촉을 하게 되는 레일두부 표면에 결함이 발생하게 되면 차륜/레일의 동하중이 증가하여
     승차감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결함은 발생초기에 제거를 하거나 아예 발생자체를 막기 위한 예방적 삭정관리가
     중요하다.  결함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가장 중요하게 관리되어야 하는 것은 탈탄층 제거, 파상마모 제거, 피로에
     의한 쉘링층 제거를 우선적으로 꼽을 수 있다.

1) 탈탄층 제거
    레일 제조시 열간 압연을 위해 변태점 이상 기열시, 퍼얼라이트 조직인 레일강의 표면 근처(약 0.2∼0.3mm 깊이)의 탄소가
    가열로 속의 산소와 결합함으로써 경도가 낮고 산화되기 쉬운 금속조직으로 변화된 탈탄층이 생성된다. 이러한 탈탄층을
    초기에 제거하지 않고 사용하면 파상마모 등 여러가지 결함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2) 탈탄층 특징
    - 너무 연하여 마모가 급속하게 진행되며, 파상마모나 표면결함의 원인이 된다.
    - 레일부설후 삭정을 통하여 0.3∼0.4mm정도를 반드시 제거하여야 한다.

3) 파상마모 제거
    레일표면에 잔류응력 등의 문제로 경도 상의 불균일한 상태가 나타나면 차륜에 의한 rolling load에 의해 이러한 불균일성이
    계속적으로 전파되는 특징을 갖게 된다. 이 파상마모는 결국 레일 및 차량에 심한 소음과 진동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어
    승차감을 나쁘게 하고 또한 공진의 발생이나 동적충격력에 의해 트랙과 차량에 심각한 손상을 입힐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궤도가 자갈궤도에 비해 파상마모가 약 2배 가량 빨리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쉘링(Shelling, 가공경화층) 제거
    레일 위에서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으로 인해 레일두부 상피층에 말텐사이트조직의 가공경화층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초기에는 0.05mm 깊이로 발생하지만 레일 삭정을 통해 경화층을 제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가공경화층 깊이가 0.2mm를 넘지 않도록 주기적인 레일 삭정을 해야 한다.

   - 첨부내용 중 일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자료를 다운 받을 시 -10포인트 차감, 관련 자료를 게시할 시 +2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5.08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4] 송정석 2021.10.28
266 콘크리트도상 궤도틀림 [12] 김민찬 2007.06.27
265 콘크리트도상 균열보수 메뉴얼 [10] 송정석 2010.05.22
264 콘크리트도상 보강공법 절차사진 [1] 송정석 2010.05.23
263 콘크리트도상 보수사례 [2] 송정석 2010.05.21
262 콘크리트도상 분기침목의 R.C 침목화 [2] 송정석 2007.04.15
261 콘크리트도상 유지관리 [1] 송정석 2010.05.23
260 콘크리트도상개량공법(B2S)및 곡선용레일체결장치개발 [9] 송정석 2007.04.29
259 콘크리트도상궤도 성능개선 방안 [2] 송정석 2008.03.25
258 콘크리트도상궤도 유지관리 지침서 (요약) [10] 송정석 2008.06.22
257 콘크리트도상궤도 유지관리 지침서 (제1장) [2] 송정석 2010.05.27
256 콘크리트도상궤도 유지관리 지침서 (제2장) [2] 송정석 2010.05.27
255 콘크리트도상궤도 유지관리 지침서 (제3장) [3] 송정석 2010.05.27
254 콘크리트도상궤도 유지관리 지침서 (제4장) 송정석 2010.05.27
253 콘크리트도상궤도 유지관리 지침서 (제5장) [1] 송정석 2010.05.27
252 콘크리트도상궤도 유지관리 지침서 (제6장) [3] 송정석 2010.05.27
251 콘크리트도상궤도 유지관리 지침서 (제7장) 송정석 2010.05.27
250 콘크리트도상궤도 유지관리 지침서 (최종보고서) [3] 송정석 2010.06.05
249 콘크리트도상궤도 유지관리 지침서 (최종보고서) : 136쪽 [8] 송정석 2010.06.05
248 콘크리트이음 품질관리 [3] 성호기 2008.02.21
247 콘크리트침목 종별 [3] 송정석 2009.08.29
246 콘크리트침목균열검토자료 [4] 박재환 2009.07.16
245 콘크리트침목의 종류별 사진 [4] 송정석 2012.07.08
244 콘트리트도상 개량공법(B2S) 및 곡선용 레일체결장치 개발 [2] 송정석 2006.10.17
243 큐슈신간선 개통과 개요 김철태 2009.02.26
242 큐슈신간선의 콘크리트 철도교 현황 [2] 박기현 2009.12.20
241 크로싱각과 분기기의 번수 [4] 송정석 2008.09.13
240 크로싱의 이론교점과 실제교점 [12] 송정석 2010.05.23
239 크리피지 정리 [2] 박재흥 2009.02.26
238 클로소이드 계산서 [7] 이문수 2010.08.27
237 클로소이드 계산서 [3] 송정석 2009.01.26
Board Pagination Prev 1 ...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05 Next
/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