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형 레일탐상차(US2)로 레일 정밀관리   ( 전쌍근 : 시설장비사무소 궤도팀장 )




1 . 머리말
궤도에 부설된 레일은 구조적으로 단면적에 비하여 긴 연장으로되어 있어 사계절의 온도변화가 심한 우리나라에서는 레일관리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로 인하여 철(鐵)의 특성상 저항력이 점차 감소되고, 열차통과 톤수가 누적됨에 따라 하중을 많이 받는 등 레일의 피로강도가 많아 균열과 절손(특히, 용접부위가 많음)이 많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궤도부설 초기에는 레일결함 상태를 사전에 발견하고자 육안검사 및 이음매판 해체점검, 용접부의 레일초음파 탐상기를 이용 효과적으로 각종검사를 시행하고 있으나, 최근 열차의 속도향상 및 운행빈도수 증가 등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정밀하게 레일결함 상태를 발견하기 위하여 96년 11월에 레일탐상차(USI-3)를 구입하여 '97년부터 전본선(여객선구)에 대하여 레일탐상을 시작하였다. 레일탐상차는 탐상속도가 25~30km/h로주로 야간 열차상간에 일일 약40km로 연간5,000~6,000km의 탐상을 시행하고 있었으며, '04년 고속철도 개통과 더불어 정밀한 레일관리 등 궤도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우리공사에서도 고속형 레일탐상차(US2)를 '05년 5월에 도입하여 시운전 과정을 거쳐 현재 전노선을 운행중으로 신규 도입된 레일탐상차(US2)에 대하여 간단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자료출처 : 鐵道施設 2006. 가을>


Have  a  good  time ...........     ^_^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자료를 다운 받을 시 -10포인트 차감, 관련 자료를 게시할 시 +2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5.08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4] 송정석 2021.10.28
506 top down 공법 [6] 김기만 2006.11.23
505 해외 차량기지 검수설비 현황 [3] 송정석 2006.11.21
504 분기기 설명 [11] 유창화 2006.11.18
503 분기기스켈톤부설철거연장 [10] 유창화 2006.11.18
502 고무보판(설치+보수06년3월)절차서 [3] 유창화 2006.11.18
501 구매제작시방서 [1] 이종길 2006.11.17
500 북한철도현황 [8] 박영목 2006.11.17
499 철도용어사전 [7] 박영목 2006.11.17
498 SLURRY-WALL 공법 TOP DOWN 공법 - SJS [4] 박영목 2006.11.17
497 레일과 차륜의 접촉에 대한 문제 [12] 성호기 2006.11.17
496 화차의 종류 및 사용용도 [12] 박영목 2006.11.17
495 궤도유지관리시스템 개발 [3] 박영목 2006.11.17
494 생활소음종합대책 : 철도분야세부실천계획 [10] 송정석 2006.11.14
493 고압살수차 제작규격서(서울메트로) [4] 송정석 2006.11.14
492 지하철9호선적산기준(터널편) [3] 송정석 2006.11.06
491 지하철9호선적산기준(개착편) [3] 송정석 2006.11.06
490 도시철도의 최신공법 세미나 자료(3) [4] 성호기 2006.11.06
489 도시철도의 최신공법 세미나 자료(2) [3] 성호기 2006.11.06
488 도시철도의 최신공법 세미나 자료(1) [5] 성호기 2006.11.06
487 한국교통연구원 자료(2) [2] 성호기 2006.11.06
486 한국교통연구원 자료(1) 성호기 2006.11.06
485 국토연구원 요약 보고서 [1] 성호기 2006.11.06
484 철도의 날 국제심포지엄 자료(4) [1] 성호기 2006.11.06
483 동북아시대위원회 정책자료 [2] 성호기 2006.11.06
482 107주년 철도의 날 기념 국제심포지엄 발표자료 [1] 성호기 2006.11.06
481 새로운 철도건설은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고찰 [2] 성호기 2006.11.02
480 신교통 세미나 자료(2) [6] 성호기 2006.11.02
479 열차제어 기술동향 [3] 박희준 2006.11.01
» 고속형 레일탐상차(US2)로 레일 정밀관리 (전쌍근) [5] 송정석 2006.10.31
477 설계기준(노반편) [4] 김흥철 2006.10.27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105 Next
/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