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차_1.jpg

고속철 ‘해무’ 내부. 국토교통부 제공


일단 정답은 ‘아주 무겁기 때문’입니다. 

명절이 되면 많은 참 분들이 기차와 친해집니다. 어린 시절 우리가 노래한 것처럼 기차는 길고 빠릅니다. 총 길이 388m인 고속철도(KTX)는 최고 시속 305㎞로 서울~부산 사이를 최소 2시간 9분에 주파합니다. 자동차부터 비행기에 이르기까지 이렇게 빨리 달리는 것에는 거의 대부분 안전벨트가 달려 있습니다. 기차만 예외입니다. KTX를 비롯해 한국에서 운행 중인 그 어떤 열차에도 (일반석 기준으로) 안전벨트는 없습니다. 

한국이 안전불감증에 걸린 나라라 그런 건 아닙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전 세계 어느 나라에도 철도에 안전벨트를 설치한 곳은 없다”며 “핀란드에서 안전벨트 설치를 검토하고 시범 운영한 적은 있지만 결국 백지화했다”고 전했습니다. 국체철도연맹(UIC)에도 안전벨트 관련 규정은 없습니다. 이 관계자는 “철도 교통 수단에 안전벨트가 있으면 오히려 안전에 방해가 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왜일까요?

 

기차_2.jpg

안절 벨트가 없는 도시 철도 내부.


안전벨트는 속도가 갑자기 줄어들 때 탑승자가 받게 되는 충격을 줄여주는 게 존재 이유입니다. 기차는 기본적으로 속도가 갑자기 줄어들 일이 없습니다. 시속 300㎞로 달리던 KTX를 급제동시킨다고 해도 1분10초 동안 3300m를 진행한 뒤에야 멈춰섭니다.

이를 가속도(적확하게는 ‘감속도·減速度’)로 바꾸면 1.19㎨가 됩니다. 시속 10㎞로 달리던 차를 2초 만에 정지시키는 수준입니다. 이렇게 멈춰 세우기가 힘든 건 맨 처음에 설명드린 것처럼 열차가 아주 무겁기 때문입니다.  

코레일에 따르면 KTX는 승객을 한 명도 태우고 있지 않아도 692t(KTX-산천은 403t)이 나갑니다. KTX는 총 363석이니까 승객 한 사람 몸무게를 60㎏이라고 가정하면 여기에 약 22t을 더해야 합니다. KTX에는 사람뿐만 아니라 화물도 싣습니다. 결국 KTX가 달릴 때는 700t을 훌쩍 넘기는 일이 많은 겁니다. 

학창 시절 배우신 것처럼 가속도는 질량에 반비례합니다. 그러니까 무거울수록 속력을 끌어올리기도 멈추기도 힘이 듭니다. (참고로 KTX가 시속 300㎞에 도달하기까지는 6분 5초, KTX-산천은 5분 16초가 걸립니다.) 

또 이 무게 자체가 승객을 지키는 구실을 합니다. 어지간한 충격은 차체가 그냥 흡수해 버리는 것. 700t짜리 기차에게 1t짜리 승용차는 몸무게 70kg인 성인에게 100g 무게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종이컵에 물을 가득 채운 게 150g 정도입니다.



기차_3.jpg

2017년 이집트에서 일어난 기차 탈선 사고. 동아일보DB


게다가 기차 안에 안전벨트가 있으면 안전에 오히려 방해가 될 수도 있습니다. 위 사진에서 보신 것처럼 기차가 사고가 나면 몸이 튕겨나갈 일은 거의 없다고 보셔도 좋습니다. 대신 자체가 찌그려져 압사(壓死)하는 상황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때는 최대한 빠르게 몸을 피하는 게 상책인 만큼 안전벨트가 없는 게 더 유리합니다.

코레일 관계자는 “영국 철도안전표준위원회 실험 결과 안전벨트 착용 이 승객 대피나 구조를 방해해 사망자가 최대 6배까지 늘어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습니다. 



기차_4.jpg

비행기에 있는 금연 안내, 안전벨트 착용 사인



이렇게 생각해 보면 비행기에 안전벨트가 있는 게 이상하게 보이기도 합니다. 비행기도 수백t이 나가는 데다 하늘에서 다른 비행기와 충돌할 확률도 사실상 제로(0)에 가깝습니다. 또 하늘에 떠 있기 때문에 어차피 사고가 나면 안전벨트가 안전을 보장하기 힘들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비행기 안전벨트가 효용이 있는 첫 번째 이유는 비행기 사고 4분의 3 정도가 이착륙 과정에서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이때는 기체 무게 자체가 탑승객에게 충격을 주기 때문에 안전벨트를 매는 게 안전합니다. 이착륙 과정에서 안전벨트를 매달라고 특히 강조하는 건 이 때문입니다. 비행기가 착륙할 때는 속도가 확 줄면서 몸이 앞으로 쏠리기 때문에 이때도 안전벨트가 도움이 됩니다.  


또 비행 중에는 기류에 따라 비행기가 크게 흔들릴 때가 있는데 이때도 안전벨트를 매야 부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승무원이 안전벨트를 매달라고 돌아다니다가 (자기는 안전벨트를 하고 있지  않으니) 다치는 일이 생각보다 빈번합니다.

출처 : 동아닷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글 작성 시 30포인트, 댓글 작성 시 1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24.05.30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26] update 송정석 2023.02.05
542 가입인사^^ secret 장병극 2019.10.18
541 가입인사드려요. [3] 차와우유 2019.10.21
540 안녕하세요 가입인사드립니다~ [1] 서미숙 2019.10.21
539 한국철도시설공단 레일연마차 구매 기술규격서 및 제안 요청서입니다. [1] 송정석 2019.10.22
538 부산교통공사 2019년도 신입 670명 채용 (채용공고 : '19.12월 ∼'20.1월경) [3] 송정석 2019.10.23
537 가입합니다... [1] 하이광 2019.10.27
536 가입인사드립니다. [1] 리프 2019.10.28
535 가입했습니다~~^.^ [1] Heum 2019.10.29
534 예상보다 훨씬 심각한 네이버 상황, 네이버 운명은 3년도 안 남았다 [1] 송정석 2019.11.02
533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발주한 철도용 고압살수차 입찰공고문, 기술규격서, 제안요청서 등. [2] 송정석 2019.11.09
532 서울교통공사 2019년도 2차 신규직원 공개채용(접수기간 : '19.11.25-11.29일까지) [1] 송정석 2019.11.09
531 가입인사 드립니다. 고정우 2019.11.18
530 가입인사올립니다. 나서스 2019.11.23
529 가입인사 드립니다. padora23 2019.12.02
528 국가 철도망 구축계획 이미지 [18] 재상 2019.12.23
527 우리나라 국화는 무궁화가 아니다 ..... (사실 우리나라엔 공식적인 국화가 없다) [3] 송정석 2020.01.04
526 회의 시간은 어떻게 낭비되는가... 송정석 2020.01.09
» 비행기에도 있는 안전벨트 기차엔 왜 없을까 [4] 송정석 2020.01.26
524 한국에는 오지않는 2개 항공사는????? [5] 송정석 2020.01.29
523 인류를 공포에 떨게한 "역대 전염병 6선" [4] 송정석 2020.02.02
522 2단계경쟁입찰과 규격(기술)가격분리동시입찰 차이점 [3] 송정석 2020.02.04
52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 교통신기술 획득 [7] 송정석 2020.02.15
520 댓글을 달아야 [15] 토목토목 2020.03.18
519 철도관련 자료가 많으시네요...^^ [3] 주훤앓이 2020.04.17
518 철도 자료 때문에 가입햇어요^^ [11] 나무 2020.04.17
517 자료감사합니다. 팔대독자 2020.04.18
516 가입인사 드립니다. [2] 로코모 2020.04.21
515 가입인사드려요 [2] 동포동포 2020.04.23
514 안녕하세요! [1] 정승완두 2020.04.25
513 철도자료때문에 가입했습니다. [2] 건잭 2020.04.27
512 철도관련 자료를 찾다가 찾아왔습니다. 반갑습니다. [2] 황태업 2020.05.02
511 철도토목기사 응용역학 문제풀이 있으신분 잇나요?! [4] 이민규123 2020.05.06
510 자료 감사합니다 [2] 김재승 2020.05.12
509 새로 가입했습니다 제이 2020.05.13
508 잘부탁드립니다. [5] 김재원 2020.05.13
Board Pagination Prev 1 ...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 148 Next
/ 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