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연,‘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 교통신기술 획득
- 소음·진동 저감, 신속한 유지보수, 공사비 절감 -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나희승)이 개발한 ‘철도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 구조 시스템 및 그 부설방법’이 교통신기술(교통 제44호, 국토교통부)로 지정됐다. 개발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 기술은 기존 콘크리트 궤도에 비해 충격을 저감시키는 아스팔트 재료를 적용함으로써 소음과 진동을 2~3dB 줄일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무근콘크리트에 비해 1/3, 철근콘크리트에 비해 1/4배로 줄일 수 있어 친환경적인 궤도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재질의 특성으로 이음매 없이 포장할 수 있어 시공속도가 빠르고 경화시간이 짧아 신속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기존 자갈 궤도는 100m/일, 콘크리트 궤도는 300m/일의 시공이 가능하지만, 이 기술을 적용하면 400m/일로 더 빠르게 시공할 수 있다. 자연재해 및 탈선사고에 따른 궤도 유실, 궤도 침하 등으로 인한 궤도 정비가 필요한 경우 신속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시공 공정을 단순화해 콘크리트 궤도 대비 약 10% 이상의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철도연의 총괄 주관 아래 금호석유화학(주), 한국석유공업(주), 삼표레일웨이(주), (주)태명실업, 이엔이건설(주), (주)케이알티씨, (주)임진에스티 등 7개 기업이 공동으로 개발했다. 이 기술은 향후 국내에서의 활용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독일에서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는 일반적으로 침목의 중앙부에 수평변위 저항장치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침목의 측면에 수평변위 저항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궤도구조를 최적화함으로써 시공이 편리해졌다.

교통신기술로 지정됨에 따라 도로 포장에 국한되어 있는 아스팔트포장 기술이 철도 건설분야로 확장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현재 자갈궤도와 콘크리트 궤도에 국한되어 있는 궤도 시스템의 선택폭이 넓어짐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국가 철도망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철도연 이성혁 수석연구원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 신기술은 자갈궤도와 콘크리트 궤도의 장단점을 상호 보완하여 개발되었다”며 “시공 단순화 등 경제성을 좀 더 높여 철도 건설현장에서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철도연 나희승 원장은 “궤도 유지보수 효율화, 소음·진동 저감 등 수요자중심의 철도현장 애로 기술개발을 확대해 나가겠다”며, “철도기술의 혁신성과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지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_1.jpg

<아스팔트 콘크리트궤도 시공완료 사진>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_2.jpg

<시공완료 후 열차주행 사진, 경북선 백원역 구내>



출처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자료를 다운 받을 시 -10포인트 차감, 관련 자료를 게시할 시 +2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5.08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4] 송정석 2021.10.28
146 (표준규격) 특수레일 [4] 송정석 2006.05.13
145 (표준규격) 탄성분기기 [11] 송정석 2006.05.13
144 (표준규격) 중계레일 [3] 송정석 2006.05.13
143 (표준규격) 접착절연레일 [4] 송정석 2006.05.13
142 (표준규격) 이음매판 [12] 송정석 2006.05.13
141 (표준규격) 이음매판 볼트 및 너트 [12] 송정석 2006.05.13
140 (표준규격) 응급이음매장치 [4] 송정석 2006.05.13
139 (표준규격) 신축이음매장치 [16] 송정석 2006.05.13
138 (표준규격) 망간크로싱 [6] 송정석 2006.05.13
137 (표준규격) 레일 [7] 송정석 2006.05.13
136 (표준규격) 레일체결장치(RHEDA용) [4] 송정석 2006.05.13
135 (표준규격) 레일체결장치(DELKOR용) [5] 송정석 2006.05.13
134 (표준규격) 레일체결장치(패스트크립용) [6] 송정석 2006.05.13
133 (표준규격) 도상자갈 [8] 송정석 2006.05.13
132 방진 레일패드의 성능 측정 [9] 송정석 2006.05.13
131 소음, 진동 발생원인 [11] 송정석 2006.05.13
130 캔트 (선로공학) [14] 송정석 2006.05.13
129 캔트 (철도건설규칙) [7] 송정석 2006.05.13
128 백게이지 측정위치 [41] 송정석 2006.05.13
127 선형과 곡선통과 속도 (2 - 1) [9] 송정석 2006.05.13
126 선형과 곡선통과 속도 (2 - 2) [9] 송정석 2006.05.13
125 육성용접 (사진) [13] 송정석 2006.05.13
124 종방향 활동 체결구 (도면) [9] 송정석 2006.05.13
123 지하철 스퀼소음에 관한 연구 [13] 송정석 2006.05.13
122 지하철 급곡선부 소음저감대책 검토연구 (2 - 1) [13] 송정석 2006.05.13
121 지하철 급곡선부 소음저감대책 검토연구 (2 - 2) [13] 송정석 2006.05.13
120 철도교 설계기준 변경 (제1편 공통사항) [6] 송정석 2006.05.13
119 철도교 설계기준 변경 (제2편 강교편) [7] 송정석 2006.05.13
118 철도교 설계기준 변경 (제3편 콘크리트교) [4] 송정석 2006.05.13
117 철도교 설계기준 변경 (제4편 하부구조 개정내용) [5] 송정석 2006.05.13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Next
/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