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연,‘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 교통신기술 획득
- 소음·진동 저감, 신속한 유지보수, 공사비 절감 -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나희승)이 개발한 ‘철도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 구조 시스템 및 그 부설방법’이 교통신기술(교통 제44호, 국토교통부)로 지정됐다. 개발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 기술은 기존 콘크리트 궤도에 비해 충격을 저감시키는 아스팔트 재료를 적용함으로써 소음과 진동을 2~3dB 줄일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무근콘크리트에 비해 1/3, 철근콘크리트에 비해 1/4배로 줄일 수 있어 친환경적인 궤도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재질의 특성으로 이음매 없이 포장할 수 있어 시공속도가 빠르고 경화시간이 짧아 신속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기존 자갈 궤도는 100m/일, 콘크리트 궤도는 300m/일의 시공이 가능하지만, 이 기술을 적용하면 400m/일로 더 빠르게 시공할 수 있다. 자연재해 및 탈선사고에 따른 궤도 유실, 궤도 침하 등으로 인한 궤도 정비가 필요한 경우 신속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시공 공정을 단순화해 콘크리트 궤도 대비 약 10% 이상의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철도연의 총괄 주관 아래 금호석유화학(주), 한국석유공업(주), 삼표레일웨이(주), (주)태명실업, 이엔이건설(주), (주)케이알티씨, (주)임진에스티 등 7개 기업이 공동으로 개발했다. 이 기술은 향후 국내에서의 활용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독일에서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는 일반적으로 침목의 중앙부에 수평변위 저항장치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침목의 측면에 수평변위 저항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궤도구조를 최적화함으로써 시공이 편리해졌다.

교통신기술로 지정됨에 따라 도로 포장에 국한되어 있는 아스팔트포장 기술이 철도 건설분야로 확장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현재 자갈궤도와 콘크리트 궤도에 국한되어 있는 궤도 시스템의 선택폭이 넓어짐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국가 철도망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철도연 이성혁 수석연구원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 신기술은 자갈궤도와 콘크리트 궤도의 장단점을 상호 보완하여 개발되었다”며 “시공 단순화 등 경제성을 좀 더 높여 철도 건설현장에서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철도연 나희승 원장은 “궤도 유지보수 효율화, 소음·진동 저감 등 수요자중심의 철도현장 애로 기술개발을 확대해 나가겠다”며, “철도기술의 혁신성과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지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_1.jpg

<아스팔트 콘크리트궤도 시공완료 사진>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_2.jpg

<시공완료 후 열차주행 사진, 경북선 백원역 구내>



출처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자료를 다운 받을 시 -10포인트 차감, 관련 자료를 게시할 시 +2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5.08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4] 송정석 2021.10.28
116 철도교 설계기준 변경 (제5편 내진설계 개정내용) [6] 송정석 2006.05.13
115 철도기술백서 (발전사례) [7] 송정석 2006.05.13
114 철도기술백서 (발전사례) [4] 송정석 2006.05.13
113 철도기술백서 (시설분야) [13] 송정석 2006.05.13
112 철도기술백서 (시설분야) [18] 송정석 2006.05.13
111 철도기술백서 (전기신호) [9] 송정석 2006.05.13
110 철도기술백서 (차량분야) [18] 송정석 2006.05.13
109 철도기술백서 (외국사례) [9] 송정석 2006.05.13
108 철도기술백서 (외국사례) [8] 송정석 2006.05.13
107 60 K 레일도면 [4] 송정석 2006.05.12
106 60 K 레일도면 [6] 송정석 2006.05.12
105 종거계산값(60kg 탄성,50kgNSI분기기) [46] 박덕규 2006.05.12
104 지하 자갈도상 궤도의 효율적인 유지관리 대책 [10] 송정석 2006.05.12
103 장대레일의 관리 [8] 송정석 2006.05.12
102 분기기 [7] 송정석 2006.05.12
101 레일의 관리 [4] 송정석 2006.05.12
100 프랑스 STEDEF와 국내 STEDEF 궤도구조 비교 [9] 송정석 2006.05.12
99 타 도시와 도시철도 선로 설계기준 비교표 [6] 송정석 2006.05.12
98 콘크리트도상 궤도 진동저감 효과 [8] 송정석 2006.05.12
97 코일스프링크립(높이) 비교 [6] 송정석 2006.05.12
96 차량기지 설계 요약 [11] 송정석 2006.05.12
95 접착식 절연 분석자료 [10] 송정석 2006.05.12
94 유도상 교량의 레일장대화 이론 및 조건 [7] 송정석 2006.05.12
93 백게이지(back gauge) [27] 송정석 2006.05.12
92 레일 훼손 종류 (사진) [14] 송정석 2006.05.12
91 레일체결구 FASTCLIP 개발 (팬드롤) [8] 송정석 2006.05.12
90 레일의 管理에 關한 最近의 動向 [5] 송정석 2006.05.12
89 레일 손상의 예방대책 (서사범) [7] 송정석 2006.05.12
88 레일마모측정장치 [12] 송정석 2006.05.12
87 레일검사 공정 [4] 송정석 2006.05.12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Next
/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