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12월3일에 일본  Hibiya선 중 Mekuro역에서 발생한 탈선사고의 요인으로서 레일연마형상이 거론되었다. 현지의 레일두부의 게이지코너측이 연마되어있어, 차륜이 올라타기 시작해서 탈선에 이르기까지의 여유가 아주 작게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탈선에 대한 영향도는 불투명하지만, 당면 대책으로서 [레일연마 시에는 신품단면으로 돌릴 것] 이 지적되었다. 그러나, 곡선부등 레일마찰이 큰 개소에서는 실제의 시공은 곤란했다.


2004년 3월에 일본 국토교통성[급곡선에서저속주행시의 올라타기 탈선방지에 관한 검토회]의 보고서가 공표되었다. 그것을 토대로 2004년 6월에 국토교통성에서 지방운송국을 통해서 각 철/궤도사업자에게 다음과 같은 내용이 지도되었다.


- 급곡선에 서 외궤 연마를 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신품 레일의 단면형상으로 한다.
- 상기사항이 불가능한 경우는, 레일두정면에서 5mm이하를 연마하지 않는다.
- 어쩔 수 없이 게이지코너부를 연마하는 경우는 플렌지각보다도 온화한 각도는 하지않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자료를 다운 받을 시 -10포인트 차감, 관련 자료를 게시할 시 +2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5.08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4] 송정석 2021.10.28
1886 제05장 (콘크리트 공사) 송정석 2008.09.07
1885 제04장 (구조물 기초공사) 송정석 2008.09.07
1884 제03장 (토공사) 송정석 2008.09.07
1883 제02장 (공사환경 및 안전관리) 송정석 2008.09.07
1882 제01장 (공통사항) 송정석 2008.09.07
1881 제00장 (목차, 사용자지침, 부록, 집필위원) 송정석 2008.09.07
1880 고속선 분기기 유지보수 [3] 송정석 2008.09.07
1879 고속철도 선로 유지관리 [2] 송정석 2008.09.07
1878 STEDEF궤도 체결시스템 개량 (제안) [1] 송정석 2008.09.07
1877 SCO분기기 콘크리트 직결방진체결장치 검토 [2] 송정석 2008.09.07
1876 테트미트용접 시공 흐름도 송정석 2008.09.07
1875 각 지하철 건설시 선로 및 궤도설계 기준 [7] 송정석 2008.09.07
1874 분기기 종류 및 특징 (노즈가동탄성분기기 포함) [1] 송정석 2008.09.07
1873 분기기 통과속도 제한규정에 대한 타당성 검토연구 [1] 송정석 2008.09.10
1872 분기 부대곡선과 그 삽입직선의 관계 [15] 송정석 2008.09.10
» 레일연마시 주의점(일본자료) [5] 정이택 2008.09.10
1870 선진화된 선로시설물 보수관리체계 구축 [1] 송정석 2008.09.13
1869 운전역학 (운전이론) [4] 송정석 2008.09.13
1868 크로싱각과 분기기의 번수 [4] 송정석 2008.09.13
1867 철도건설규정 : 12-5 궤도 [1] 송정석 2008.09.13
1866 철도건설규정 : 12-4 철도의 시공 [1] 송정석 2008.09.13
1865 철도건설규정 : 12-3 철도의 설계 [2] 송정석 2008.09.13
1864 철도건설규정 : 12-2 철도의 계획 [2] 송정석 2008.09.13
1863 철도건설규정 : 12-1 서론 [2] 송정석 2008.09.13
1862 철도 시스템 공학 [1] 송정석 2008.09.13
1861 철도건설사업 절차 이해 [2] 송정석 2008.09.13
1860 LVT, Rheda형 ERS, Rheda2000, ALT 궤도구조 주요특성 비교 [8] 송정석 2008.09.16
1859 도상저항력측정 [21] 채주병 2008.09.17
1858 철도건설규칙 개정사항('07년) [2] 박덕규 2008.09.18
1857 광주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궤도부설공사 (요약보고서) (2-2) [2] 송정석 2008.09.20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105 Next
/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