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일연마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 및 연마관리의 필요성 (요약)

1. 레일연마(삭정) 기술의 변천
2. 레일연마(삭정) 관리의 필요성
3. 레일연마와 밀링 비교
4. 독일철도 주식회사(DB)의 삭정지침
5. 일본(JR West)의 레일관리 기준


가. 레일표면 결함제거
     차륜과 직접적으로 접촉을 하게 되는 레일두부 표면에 결함이 발생하게 되면 차륜/레일의 동하중이 증가하여
     승차감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결함은 발생초기에 제거를 하거나 아예 발생자체를 막기 위한 예방적

     삭정관리가 중요하다.  결함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가장 중요하게 관리되어야 하는 것은 탈탄층 제거,

     파상마모 제거, 피로에 의한 쉘링층 제거를 우선적으로 꼽을 수 있다.

1) 탈탄층 제거
    레일 제조시 열간 압연을 위해 변태점 이상 기열시, 퍼얼라이트 조직인 레일강의 표면 근처(약 0.2∼0.3mm 깊이)

    의 탄소가 가열로 속의 산소와 결합함으로써 경도가 낮고 산화되기 쉬운 금속조직으로 변화된 탈탄층이 생성

    된다. 이러한 탈탄층을 초기에 제거하지 않고 사용하면 파상마모 등 여러가지 결함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2) 탈탄층 특징
    - 너무 연하여 마모가 급속하게 진행되며, 파상마모나 표면결함의 원인이 된다.
    - 레일부설후 삭정을 통하여 0.3∼0.4mm정도를 반드시 제거하여야 한다.

3) 파상마모 제거
    레일표면에 잔류응력 등의 문제로 경도 상의 불균일한 상태가 나타나면 차륜에 의한 rolling load에 의해 이러한

    불균일성이 계속적으로 전파되는 특징을 갖게 된다.

    이 파상마모는 결국 레일 및 차량에 심한 소음과 진동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어
    승차감을 나쁘게 하고 또한 공진의 발생이나 동적충격력에 의해 트랙과 차량에 심각한 손상을 입힐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궤도가 자갈궤도에 비해 파상마모가 약 2배 가량 빨리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쉘링(Shelling, 가공경화층) 제거
    레일 위에서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으로 인해 레일두부 상피층에 말텐사이트조직의

    가공경화층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초기에는 0.05mm 깊이로 발생하지만 레일 삭정을 통해 경화층을 제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가공경화층 깊이가 0.2mm를 넘지 않도록 주기적인 레일 삭정을 해야 한다.

   - 첨부내용 중 일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자료를 다운 받을 시 -10포인트 차감, 자료를 게시할 시 +2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3.23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송정석 2019.04.21
368 레일 밀링차 소개 (A.V.T) [5] 송정석 2008.01.27
367 레일 연마에 따른 소음, 진동 저감효과의 평가 (양신추) [7] 송정석 2008.03.03
366 레일 연마차 (왕복, 회전, 밀링형) 형식별 비교 [15] 송정석 2008.03.07
365 레일 연마차 (왕복, 회전, 밀링형) 형식별 비교 [6] 송정석 2008.03.07
364 궤도장비 일반 (토목초급 실무자 보수 교육용 자료) [3] 송정석 2008.04.18
363 철도장비일반 [6] 송정석 2008.04.18
362 보선장비 시험문제 [1] 이원식 2008.05.10
361 간편한 보선장비 작업일보 [3] 이정환 2008.05.22
360 동시인양설비 김효식 2008.06.16
359 대차교환설비 [2] 김효식 2008.06.17
358 궤도검측차 검측원리 [3] 송정석 2008.07.15
357 중보선 특수장비 일반 송정석 2008.07.15
356 궤도검측차의 변천과 관성측정법 [5] 송정석 2008.08.19
355 HHT사의 레일연마차 (미국 Harsco Corp) [2] 송정석 2008.08.27
354 레일연마시 주의점(일본자료) [6] 정이택 2008.09.10
353 레일탐상기 ( 휠타입 " 미국 Sperry사" ) [4] 송정석 2008.11.16
352 예방연마의 필요성 및 효과분석 검토 [5] 송정석 2008.12.25
351 레일연마차 형식별(Slinding, Grinding, Milling) 비교 [4] 송정석 2008.12.26
350 레일연마의 효과 및 경제성 분석 [1] 송정석 2009.01.06
349 레일연마의 효과 및 경제성 분석 [2] 송정석 2009.01.06
348 레일연마의 효과 및 경제성 분석 [5] 송정석 2009.01.06
347 중보선장비 일반 (보수교육교안) 송정석 2009.02.01
346 레일단면측정기 메뉴얼1 [3] 이성재 2009.02.04
345 밑에글에 이어서 [1] 이성재 2009.02.04
344 철도레일 용접부 초음파 탐상관련 자료 [1] 송정석 2009.02.08
343 레일탐상차 탐촉 측정방법 및 관리기준(안) [4] 송정석 2009.02.08
342 레일탐상차 교육자료 [9] 송정석 2009.02.08
341 레일탐상차 2호(US1-9) 교육자료 [4] 송정석 2009.02.13
340 고속선에서의 STT장비 활용 [2] 송정석 2009.02.15
339 예방연마의 필요성 및 효과분석 검토 [5] 김석만 2009.02.1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