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일연마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 및 연마관리의 필요성 (요약)

1. 레일연마(삭정) 기술의 변천
2. 레일연마(삭정) 관리의 필요성
3. 레일연마와 밀링 비교
4. 독일철도 주식회사(DB)의 삭정지침
5. 일본(JR West)의 레일관리 기준


가. 레일표면 결함제거
     차륜과 직접적으로 접촉을 하게 되는 레일두부 표면에 결함이 발생하게 되면 차륜/레일의 동하중이 증가하여
     승차감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결함은 발생초기에 제거를 하거나 아예 발생자체를 막기 위한 예방적 삭정관리가
     중요하다.  결함의 종류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가장 중요하게 관리되어야 하는 것은 탈탄층 제거, 파상마모 제거, 피로에
     의한 쉘링층 제거를 우선적으로 꼽을 수 있다.

1) 탈탄층 제거
    레일 제조시 열간 압연을 위해 변태점 이상 기열시, 퍼얼라이트 조직인 레일강의 표면 근처(약 0.2∼0.3mm 깊이)의 탄소가
    가열로 속의 산소와 결합함으로써 경도가 낮고 산화되기 쉬운 금속조직으로 변화된 탈탄층이 생성된다. 이러한 탈탄층을
    초기에 제거하지 않고 사용하면 파상마모 등 여러가지 결함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2) 탈탄층 특징
    - 너무 연하여 마모가 급속하게 진행되며, 파상마모나 표면결함의 원인이 된다.
    - 레일부설후 삭정을 통하여 0.3∼0.4mm정도를 반드시 제거하여야 한다.

3) 파상마모 제거
    레일표면에 잔류응력 등의 문제로 경도 상의 불균일한 상태가 나타나면 차륜에 의한 rolling load에 의해 이러한 불균일성이
    계속적으로 전파되는 특징을 갖게 된다. 이 파상마모는 결국 레일 및 차량에 심한 소음과 진동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어
    승차감을 나쁘게 하고 또한 공진의 발생이나 동적충격력에 의해 트랙과 차량에 심각한 손상을 입힐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궤도가 자갈궤도에 비해 파상마모가 약 2배 가량 빨리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쉘링(Shelling, 가공경화층) 제거
    레일 위에서 주행하는 차량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으로 인해 레일두부 상피층에 말텐사이트조직의 가공경화층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초기에는 0.05mm 깊이로 발생하지만 레일 삭정을 통해 경화층을 제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가공경화층 깊이가 0.2mm를 넘지 않도록 주기적인 레일 삭정을 해야 한다.

   - 첨부내용 중 일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자료를 다운 받을 시 -10포인트 차감, 자료를 게시할 시 +2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3.23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송정석 2019.04.21
128 서울도시철도공사 레일연마차 (동영상) 입니다 송정석 2015.07.15
127 서울메트로 "종합검측차" 주요기능 [3] 송정석 2010.01.09
126 서울메트로 분진흡입차 제원 [3] 송정석 2010.07.05
125 서울메트로 수유역~미아역간 레일연마차 화재사고 조사보고서 [4] 송정석 2016.11.12
124 서울메트로 철도중장비 및 건설장비 [10] 송정석 2015.09.17
123 서울특별시 도시철도 5호선 레일연마 결과보고서 [3] 송정석 2016.12.20
122 서울특별시 도시철도 5호선 레일연마 결과보고서 [2] 송정석 2016.12.20
121 선로점검차 (한국철도공사) [14] 송정석 2007.05.26
120 스위치 타이탬퍼(STT) 소개 및 작업방법 [15] 송정석 2006.07.06
119 시공 및 품질관리 계획(전라선 고속화구간 레일연마) [1] 송정석 2013.06.14
118 시공 및 품질관리 계획(전라선 고속화구간 레일연마) [3] 송정석 2013.06.14
117 신형 레일탐상차의 도입 [1] 송정석 2010.05.01
116 양로, 수평장치 영점조정(STT08-4S) [4] 강원창 2012.02.25
115 엔진동력 전달계통 고장 사례집 송정석 2021.08.02
114 연마기술자 양성교육(자주식 연마차에 의한 레일관리) [1] 송정석 2019.11.03
113 연마기술자 양성교육(자주식 연마차에 의한 레일관리) [1] 송정석 2019.11.03
112 연마전,후 사진입니다. [2] 송정석 2010.04.23
111 연삭의 경제성 [3] 송정석 2006.05.08
110 예방연마의 필요성 및 효과분석 검토 [5] 송정석 2007.11.18
109 예방연마의 필요성 및 효과분석 검토 [5] 송정석 2008.12.25
108 예방연마의 필요성 및 효과분석 검토 [5] 송정석 2007.11.18
107 예방연마의 필요성 및 효과분석 검토 [5] 김석만 2009.02.19
106 용접부 결함 검출 방법 [1] 박종우 2010.05.24
105 용접부 비파괴검사 방법 [3] 박종우 2009.02.28
104 용접절차서 1 [1] 박종우 2010.05.24
103 위상배열초음파탐상(Phased Array Ultra Sonic)관련 강의 6개 링크 정화일 2018.06.27
102 유공압 교육자료(유압의 기초) [9] 송정석 2015.08.17
101 유공압 기계계통 고장 사례집 송정석 2021.08.02
100 유압,공기압 도면기호(한국산업규격) [5] 송정석 2013.01.13
99 이동식비계 운용(서울교통공사 및 KCS(또는 방호장치 안전인증 고시) 안전인증에 적합한 ... [3] 오스틴 2022.05.26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