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12월3일에 일본  Hibiya선 중 Mekuro역에서 발생한 탈선사고의 요인으로서 레일연마형상이 거론되었다. 현지의 레일두부의 게이지코너측이 연마되어있어, 차륜이 올라타기 시작해서 탈선에 이르기까지의 여유가 아주 작게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탈선에 대한 영향도는 불투명하지만, 당면 대책으로서 [레일연마 시에는 신품단면으로 돌릴 것] 이 지적되었다. 그러나, 곡선부등 레일마찰이 큰 개소에서는 실제의 시공은 곤란했다.


2004년 3월에 일본 국토교통성[급곡선에서저속주행시의 올라타기 탈선방지에 관한 검토회]의 보고서가 공표되었다. 그것을 토대로 2004년 6월에 국토교통성에서 지방운송국을 통해서 각 철/궤도사업자에게 다음과 같은 내용이 지도되었다.


- 급곡선에 서 외궤 연마를 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신품 레일의 단면형상으로 한다.
- 상기사항이 불가능한 경우는, 레일두정면에서 5mm이하를 연마하지 않는다.
- 어쩔 수 없이 게이지코너부를 연마하는 경우는 플렌지각보다도 온화한 각도는 하지않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자료를 다운 받을 시 -10포인트 차감, 자료를 게시할 시 +2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3.23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송정석 2019.04.21
38 고속보선장비 보유현황 [4] 송정석 2006.06.11
37 고속검측차 특성을 고려한 궤도 검측결과 분석연구 (최종보고서) [6] 송정석 2021.01.07
36 경량전철 동향 여석 2017.07.31
35 간편한 보선장비 작업일보 [3] 이정환 2008.05.22
34 각종 소형 검측장비 [8] 송정석 2007.02.04
33 각종 궤도장비 [9] 김시중 2009.05.07
32 STT(스위치타이탬퍼) 작업차림 순서 [6] 최영섭 2011.01.05
31 MTT 작업교안 [5] 이정환 2009.05.11
30 MTT 작업 방법 [12] 김현주 2014.04.20
29 MTT 보선장비 소개 [8] 송정석 2010.05.23
28 KTX 운행현황을 고려한 고속선 레일 연마 기준 정립에 대한 연구 [8] 송정석 2009.05.17
27 JR 동해의 재래 레일삭정 [3] 송정석 2006.05.08
26 HTT 레일연마차 소개 [6] 송정석 2006.05.23
25 HTT 레일연마차 소개 [6] 송정석 2006.05.23
24 HHT사의 레일연마차 (미국 Harsco Corp) [2] 송정석 2008.08.27
23 co작업교안 이정환 2009.05.11
22 C H C 운전 및 정비 지침 [1] 안드레아 2016.12.22
21 2종 기계작업 순서입니다 [34] 강을환 2007.04.06
20 1종 기계작업 순서입니다 [33] 강을환 2007.04.06
19 (20-20) 기계보선의 사고방지 [3] 송정석 2006.05.08
18 (20-19) 기계보선의 환경보호 [3] 송정석 2006.05.08
17 (20-18) 레일의 관리 [3] 송정석 2006.05.08
16 (20-17) 기타궤 도장비의 작업 [4] 송정석 2006.05.08
15 (20-16) 도상의 크리닝과 갱신 [4] 송정석 2006.05.08
14 (20-15) 분기기의 보수 [7] 송정석 2006.05.08
13 (20-14) 도상의 압밀과 안정 [5] 송정석 2006.05.08
12 (20-13) 궤도 안정화와 균등화 기술 [5] 송정석 2006.05.08
11 (20-12) 멀티플타이탬퍼의 작업원리 [22] 송정석 2006.05.08
10 (20-11) 멀티플타이탬퍼의 사용 [15] 송정석 2006.05.08
9 (20-10) 멀티플타이탬퍼에 의한 궤도정비 [20] 송정석 2006.05.08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