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12월3일에 일본  Hibiya선 중 Mekuro역에서 발생한 탈선사고의 요인으로서 레일연마형상이 거론되었다. 현지의 레일두부의 게이지코너측이 연마되어있어, 차륜이 올라타기 시작해서 탈선에 이르기까지의 여유가 아주 작게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탈선에 대한 영향도는 불투명하지만, 당면 대책으로서 [레일연마 시에는 신품단면으로 돌릴 것] 이 지적되었다. 그러나, 곡선부등 레일마찰이 큰 개소에서는 실제의 시공은 곤란했다.


2004년 3월에 일본 국토교통성[급곡선에서저속주행시의 올라타기 탈선방지에 관한 검토회]의 보고서가 공표되었다. 그것을 토대로 2004년 6월에 국토교통성에서 지방운송국을 통해서 각 철/궤도사업자에게 다음과 같은 내용이 지도되었다.


- 급곡선에 서 외궤 연마를 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신품 레일의 단면형상으로 한다.
- 상기사항이 불가능한 경우는, 레일두정면에서 5mm이하를 연마하지 않는다.
- 어쩔 수 없이 게이지코너부를 연마하는 경우는 플렌지각보다도 온화한 각도는 하지않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자료를 다운 받을 시 -10포인트 차감, 자료를 게시할 시 +2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3.23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송정석 2019.04.21
368 레일 연마에 따른 소음, 진동 저감효과의 평가 [2] 송정석 2013.06.14
367 국내외 레일 연마작업 기준 비교 [2] 송정석 2013.06.14
366 국내외 레일 연마작업 기준 비교 [2] 송정석 2013.06.14
365 구름접촉피로시험을 통한 고속철도 레일연마량 분석 송정석 2013.06.14
364 구름접촉피로시험을 통한 고속철도 레일연마량 분석 송정석 2013.06.14
363 고속선 레일연마 감독업무 절차서 [2] 송정석 2013.06.14
362 고속선 레일연마 감독업무 절차서 [1] 송정석 2013.06.14
361 고속선 레일수동연마 [2] 송정석 2013.06.14
360 고속선 레일수동연마 [2] 송정석 2013.06.14
359 해외철도의 레일연마에 관한 최근 동향 [2] 송정석 2013.05.08
358 해외철도의 레일연마에 관한 최근 동향 [2] 송정석 2013.05.08
357 궤도검측차(EM-120)의 이해 [1] 송정석 2013.02.26
356 레일연마 효과 및 경제성 분석 송정석 2013.02.03
355 레일연마 효과 및 경제성 분석 송정석 2013.02.03
354 국내외 레일연마작업 기준 비교 [1] 송정석 2013.02.03
353 국내외 레일연마작업 기준 비교 [2] 송정석 2013.02.03
352 유압,공기압 도면기호(한국산업규격) [5] 송정석 2013.01.13
351 보선장비작업 및 이동시 안전대책 [7] 송정석 2012.11.24
350 레일연마차 [1] 서의철 2012.11.12
349 레일연마차 [2] 서의철 2012.11.12
348 철도보선장비 재정리하여 올립니다 [17] 김대현 2012.06.29
347 도시철도 레일연마 주기 산정을 위한 시험적 연구 [3] 송정석 2012.06.05
346 모타카 조작판 [10] 이혁주 2012.03.14
345 보선장비의 종류 및 작업능력 등 [13] 이혁주 2012.03.14
344 보선장비유압체크밸브입니다 [2] 강원창 2012.03.01
343 탈선복구기사용방법 [8] 강원창 2012.03.01
342 철도공사선로관리지침입니다 [1] 강원창 2012.03.01
341 양로, 수평장치 영점조정(STT08-4S) [4] 강원창 2012.02.25
340 궤도장비 사진 설명 [7] 김대현 2012.02.21
339 궤도(보선)장비 : 353 페이지 [20] 송정석 2011.05.1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