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12월3일에 일본  Hibiya선 중 Mekuro역에서 발생한 탈선사고의 요인으로서 레일연마형상이 거론되었다. 현지의 레일두부의 게이지코너측이 연마되어있어, 차륜이 올라타기 시작해서 탈선에 이르기까지의 여유가 아주 작게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탈선에 대한 영향도는 불투명하지만, 당면 대책으로서 [레일연마 시에는 신품단면으로 돌릴 것] 이 지적되었다. 그러나, 곡선부등 레일마찰이 큰 개소에서는 실제의 시공은 곤란했다.


2004년 3월에 일본 국토교통성[급곡선에서저속주행시의 올라타기 탈선방지에 관한 검토회]의 보고서가 공표되었다. 그것을 토대로 2004년 6월에 국토교통성에서 지방운송국을 통해서 각 철/궤도사업자에게 다음과 같은 내용이 지도되었다.


- 급곡선에 서 외궤 연마를 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신품 레일의 단면형상으로 한다.
- 상기사항이 불가능한 경우는, 레일두정면에서 5mm이하를 연마하지 않는다.
- 어쩔 수 없이 게이지코너부를 연마하는 경우는 플렌지각보다도 온화한 각도는 하지않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자료를 다운 받을 시 -10포인트 차감, 자료를 게시할 시 +2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3.23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송정석 2019.04.21
338 레일예방 연마에 의한 쉐링 억제효과 [3] 송정석 2009.12.26
337 레일예방 연마에 의한 쉐링 억제효과 [3] 송정석 2009.12.26
336 레일예방 연마에 의한 쉐링 억제효과 [2] 송정석 2009.12.26
335 레일연마차에 대한 설명 [5] 송정석 2015.04.15
334 레일연마차에 대한 설명 [3] 송정석 2013.06.14
333 레일연마차에 대한 설명 [3] 송정석 2013.06.14
332 레일연마차에 대한 설명 [6] 송정석 2016.12.07
331 레일연마차에 대한 설명 [5] 송정석 2015.04.15
330 레일연마차 형식별(Slinding, Grinding, Milling) 비교 [4] 송정석 2008.12.26
329 레일연마차 종류 비교 [7] 송정석 2006.06.18
328 레일연마차 종류 비교 [4] 송정석 2013.06.14
327 레일연마차 종류 비교 [3] 송정석 2013.06.14
326 레일연마차 종류 비교 [6] 송정석 2006.06.18
325 레일연마차 설명자료 [6] 송정석 2007.02.02
324 레일연마차 기능 및 레일마모 손상 형태 [2] 송정석 2013.06.14
323 레일연마차 기능 및 레일마모 손상 형태 [4] 송정석 2013.06.14
322 레일연마차 교육자료(연마기술자 양성교육) PPT [9] 송정석 2015.09.09
321 레일연마차 교육자료(연마기술자 양성교육) PPT [13] 송정석 2015.09.09
320 레일연마차 (사진설명) [5] 송정석 2006.06.18
319 레일연마차 (사진설명) [4] 송정석 2006.06.18
318 레일연마차 [1] 서의철 2012.11.12
317 레일연마차 송정석 2013.06.14
316 레일연마차 [2] 서의철 2012.11.12
315 레일연마차 [1] 송정석 2013.06.14
314 레일연마주기 [4] 홍성균 2009.12.17
313 레일연마의 효과 및 경제성분석 송정석 2013.06.14
312 레일연마의 효과 및 경제성분석 [8] 송정석 2007.09.28
311 레일연마의 효과 및 경제성분석 [8] 송정석 2007.09.28
310 레일연마의 효과 및 경제성분석 [8] 송정석 2007.09.28
309 레일연마의 효과 및 경제성분석 [8] 송정석 2007.09.28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19 Next
/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