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연,‘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 교통신기술 획득
- 소음·진동 저감, 신속한 유지보수, 공사비 절감 -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하 철도연, 원장 나희승)이 개발한 ‘철도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 구조 시스템 및 그 부설방법’이 교통신기술(교통 제44호, 국토교통부)로 지정됐다. 개발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 기술은 기존 콘크리트 궤도에 비해 충격을 저감시키는 아스팔트 재료를 적용함으로써 소음과 진동을 2~3dB 줄일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무근콘크리트에 비해 1/3, 철근콘크리트에 비해 1/4배로 줄일 수 있어 친환경적인 궤도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아스팔트 재질의 특성으로 이음매 없이 포장할 수 있어 시공속도가 빠르고 경화시간이 짧아 신속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다. 기존 자갈 궤도는 100m/일, 콘크리트 궤도는 300m/일의 시공이 가능하지만, 이 기술을 적용하면 400m/일로 더 빠르게 시공할 수 있다. 자연재해 및 탈선사고에 따른 궤도 유실, 궤도 침하 등으로 인한 궤도 정비가 필요한 경우 신속한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시공 공정을 단순화해 콘크리트 궤도 대비 약 10% 이상의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

철도연의 총괄 주관 아래 금호석유화학(주), 한국석유공업(주), 삼표레일웨이(주), (주)태명실업, 이엔이건설(주), (주)케이알티씨, (주)임진에스티 등 7개 기업이 공동으로 개발했다. 이 기술은 향후 국내에서의 활용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독일에서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는 일반적으로 침목의 중앙부에 수평변위 저항장치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침목의 측면에 수평변위 저항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궤도구조를 최적화함으로써 시공이 편리해졌다.

교통신기술로 지정됨에 따라 도로 포장에 국한되어 있는 아스팔트포장 기술이 철도 건설분야로 확장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현재 자갈궤도와 콘크리트 궤도에 국한되어 있는 궤도 시스템의 선택폭이 넓어짐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국가 철도망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철도연 이성혁 수석연구원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 신기술은 자갈궤도와 콘크리트 궤도의 장단점을 상호 보완하여 개발되었다”며 “시공 단순화 등 경제성을 좀 더 높여 철도 건설현장에서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철도연 나희승 원장은 “궤도 유지보수 효율화, 소음·진동 저감 등 수요자중심의 철도현장 애로 기술개발을 확대해 나가겠다”며, “철도기술의 혁신성과가 국민의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지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_1.jpg

<아스팔트 콘크리트궤도 시공완료 사진>


아스팔트 콘크리트 궤도_2.jpg

<시공완료 후 열차주행 사진, 경북선 백원역 구내>



출처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자료를 다운 받을 시 -10포인트 차감, 관련 자료를 게시할 시 +2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5.08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4] 송정석 2021.10.28
146 107주년 철도의 날 기념 국제심포지엄 발표자료 [1] 성호기 2006.11.06
145 새로운 철도건설은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고찰 [2] 성호기 2006.11.02
144 신교통 세미나 자료(2) [6] 성호기 2006.11.02
143 열차제어 기술동향 [3] 박희준 2006.11.01
142 고속형 레일탐상차(US2)로 레일 정밀관리 (전쌍근) [5] 송정석 2006.10.31
141 설계기준(노반편) [4] 김흥철 2006.10.27
140 토질 및 지반공학 [5] 성호기 2006.10.24
139 레일신축이음장치 [14] 윤석철 2006.10.20
138 망간크로싱 특징 및 상판부설 위치 [6] 송정석 2006.10.19
137 강관다단그라우팅공법개선사례 [3] 강동훈 2006.10.19
136 망간크로싱 용접재생 검사성적서 [5] 강동훈 2006.10.19
135 망간크로싱 용접재생 [7] 강동훈 2006.10.19
134 고속철도의 궤도회로 [4] 김봉준 2006.10.19
133 분기기제원 [12] 손재식 2006.10.19
132 궤도안정화와 균등화기술 [3] 김봉준 2006.10.19
131 콘트리트도상 개량공법(B2S) 및 곡선용 레일체결장치 개발 [2] 송정석 2006.10.17
130 하천 하부 통과 공법 [3] 성호기 2006.10.13
129 고속철도용 레일체결장치 비교 [5] 이동호 2006.10.13
128 슬래브궤도의 설계 및 시공기준 [6] 채기현 2006.10.11
127 KTX차량과 KS레일의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2] 송정석 2006.10.08
126 한강하저 통과구간 Shield TBM 공법 [3] 송정석 2006.10.04
125 레일연마의 경제적 이익분석 (Loram사) [5] 송정석 2006.10.04
124 밀링 기술에 의한 레일삭정 (레일밀링차) [6] 송정석 2006.10.03
123 레일연마의 효과 및 경제성 분석 (책자) [6] 송정석 2006.08.13
122 레일연마와 밀링 비교 (한국철도기술연구원용역보고서) [3] 송정석 2006.05.24
121 유압식버퍼스톱의 제동특성 [6] 한동수 2006.09.21
120 궤도절체 [12] 윤제호 2006.09.18
119 테르밋트 용접 산출근거 [7] 김흥철 2006.09.18
118 선로점검 및 보수작업 기준 (철도청,교통안전공단) [10] 송정석 2006.09.16
117 장대레일의 부설 및 보수기준 (일본자료번역) [5] 송정석 2006.09.16
Board Pagination Prev 1 ...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Next
/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