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차 운행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파상마모....

발생원인 및 적절한 대책으로는 무엇이 효율적인지

이에 대한 토론을 개최하고자 하오니 많은 의견 제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파상마모..... 소음, 진동의 주범이며 레일균열 및 훼손으로 열차안전운행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유지보수비용 증대와

아울러, 파상마모 제거를 위해서는 레일연마차 또는 레일밀링차로 삭정을 하여야 합니다.


- 파상마모 발생원인

- 파상마모 발생 후 대책 및 조치방안 등



파상마모_1.jpg


파상마모_2.jpg


파상마모_3.jpg


파상마모_4.jpg


파상마모_5.jpg


  • ?
    눈물천사 2016.09.23 22:11
    발생원인

    가장 큰 원인을 탄성부족으로 봅니다.
    지하철건설과 같은 대규모 공사에서 설계시 가장 큰 압박을 받는 것이 공사비 절감입니다.
    도상도 콘크리트, 침목도 콘크리트, 레일패드도 탄성이 거의 없는 재질로 시공되었습니다.
    그렇다고 강성재료로 시공된 도시철도가 문제인 것은 아닙니다.
    건설비용과 유지보수비를 고려한 최적안일 것입니다. 또, 설계대로 시공된 시설물이라면 유지보수빈도 자체가 줄어드니
    잘못된 시고은 아니라고 봅니다.
    다만, 열차운행중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진동을 제어/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한계가 있다는 것입니다.
    열차통과시 주변 아파트나 주택에서 진동이 느껴진다고 민원을 제기하는 사례가 간혹 있습니다.
    이는 열차가 운행하는 동적상태의 진동이 강성재료인 레일과 콘크리트시설을 거쳐 고스란히 주변 건물로 전해진 사례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자갈도상, 목침목구간에서는 파상마모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저는 그 원인을 레일을 지지하는 탄성력있는 궤도재료에서 찾습니다.
    차륜에서 레일로 전해진 진동을 1차로 목침목이, 2차로 자갈이 잡아주기 때문으로 봅니다.

    대책

    레일체결구의 탄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자세한 이유는 모르지만 고속철도에서도 레일체결구에 대한 고민을 하는 것으로 일전에 들었습니다.
    기존에 시공된 지하철에서는 방진패드만이 오롯이 진동을 감당하지만,
    얼마 지나지않아 그나마 있던 탄성력도 경화, 훼손, 단면감소 등의 원인으로 그 기능을 잃어버립니다.
    탄성력있는 우레탄재질의 레일패드, 그에 맞는 코일스프링 등 소모성 자재의 재질을 바꾼다면
    파상마모를 상당히, 좀 과장하자면 완전히 잡을 수 있다고 봅니다.
    다만, 비용이 문제입니다.
    지하철을 기운영하고 있는 기관에서 해당 사안만을 해결하기위해 선로전체를 대상으로 수십, 수백억원을 투입하기에는 무리가 따릅니다.
    예산확보의 어려움을 반영한다면, 최소한 문제가 되고 있는 구간에 대해서만이라도 시험시공을 거쳐 탄성체결구로의 변화를 꾀하는 것이 방법이라고 봅니다.

    참고로 저희는 일부 구간 시험시공을 마쳤고, 일부 구간에 대해서는 아직도 시험시공 중 입니다.
    오늘도 현장에서 구슬땀을 흘리는 여러분들 화이팅하십시요.
  • profile
    송정석 2016.09.29 10:50

    파상마모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여러 운영기관 및 ENG, 연구원 등에서 기 시행한 바 있습니다.
    또한 철도 선진국인 일본, 독일, 프링스 등과 여러 문헌에서도 원인과 대책을 제시 하였습니다.
    그러면서도 운영기관에서는 재차 원인을 파악하고 나름 대책 등을  마련하고자 하는 노력 등을 하고 있습니다.

    원인과 대책은 과연 무엇일까요.
    답은 비슷합니다.
    그러면 문제가 무엇일까요...... 역시 예산이지요

    레일체결구를 개량할 수도 있고(레일패드를 우레탄으로 또는 PUB로 교체, 뱅가드, 패스트클립 등으로)
    궤도시스템을 개량할 수도 있고(Alternative형으로, 영단형으로, 보슬로 타입으로, STEDEF, LVT, 직결궤도 등)
    레일연마차 및 밀링차를 도입 운영하고

    이러 이러한 대책 등은 대부분 운영기관에서 부분적으로 시행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레일은 시공 후 정적인 상태로 가만이 있는데 왜 파상마모가 생길까요
    그래서 차량과 레일과의 밀접한 관계에서 차량이 운행하면서 레일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서는 이렇다할 뚜렷한
    원인과 대책을 제시하지 못한 상태로

    전동차는 갈수록 속도를 높이고 운행빈도가 빨라지는데 이에 따른 레일은 에전과 동일한 상태로 부설되어 있으니....
    7-80년도 철도에서 운행하는 레일에 파상마모가 발생하였다(?) 라는 말은 아주 생소한 말
    -- 계속--

  • profile
    송정석 2016.09.23 22:31

    좋은 의견 및 대책 등
    감사합니다.
    아울러, 200포인트 충전하여 드렸습니다.

  • ?
    토질학자 2016.12.16 10:21
    많이 배우고 갑니다 ~!
  • ?
    밤나무 2017.04.16 12:13

    사진과 같은 파상마모는 전동차 제동시 전동차의 중량이 레일의 단면 저항력보다 높은 상태로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예방대책으로는 전동차의 제동라이닝과 회생제동쪽을 개발하여 제동시 과중한 전동차가 레일 전달하는 하중을 줄여야 합니다.
    제동라이닝에 구멍이 뚫어져 있는데 그 간격을 보시면 레일의 파상마모가 동일한격이 그 증거 입니다.

  • profile
    송정석 2017.04.16 13:39
    의견 감사드리며
    아울러, 200포인트 충전하여 드렸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48] 송정석 2019.04.21
질문에 대해 답하기 및 설명 시 50∼500포인트를 적립하여 드립니다. [30] 송정석 2015.06.17
578 궤도일반 문의 secret 일산토목 2021.09.03
577 궤도일반 범위 [1] secret 도롱동동 2021.09.11
576 궤도일반 열람 [1] 이동꼬마 2020.05.13
575 궤도일반 자료 암호 문의 [1] secret 코봉 2021.08.29
574 궤도일반 확인부탁드립니다 [2] secret 지이이 2021.09.15
573 궤도일반(1) 자료 암호 확인부탁드립니다. [1] secret 뚱이조아 2021.07.28
572 궤도일반게시판 이용방법문의 secret 뚱이조아 2021.05.26
571 궤도재료 산출 질문이 있습니다. [1] 루암 2021.06.26
570 궤도정밀진단 자료 다운 권한이 없다고 나옵니다. 아잉 2023.04.26
569 궤도틀림 선로 보선 기준치가 궁금합니다. [1] 가가호호 2021.01.10
568 글쓴수가 4부족하다고하네요 [4] 이완규 2013.06.01
567 글쓴수가부족 [2] 이진한 2013.05.31
566 글쓴수가부족 [2] 박근혜 2013.05.31
565 금범 철도보선기사 및 산업기사 시험 규정 혼란?? [4] 양영인 2013.07.08
» 금회 토론은 파상마모 발생원인 및 대책입니다. 좋은 의견 많이 제시 바랍니다. [6] 송정석 2016.09.05
563 기계보선이 무얼말하는건가요? [3] 20150820 2015.08.20
562 기부 입금 했습니다(확인 부탁 드립니다) [1] 아이노 2023.11.30
561 기부 입금했습니다 충전 부탁드립니다 공머공머 2024.04.30
560 기부 입금했습니다 충전 부탁드립니다 헨11 2023.10.10
559 기부 입금했습니다. 충전 부탁드립니다. 쿠르망가 2023.08.07
558 기부 입금했습니다. 충전 부탁드립니다. [1] 우사짝 2024.03.24
557 기부 입금했습니다. 충전 부탁드립니다. 철도떡상 2023.10.11
556 기부 입금했습니다. 포인트 충전 부탁합니다. secret 빡상 2024.05.02
555 기부 입금했습니다.. 충전부탁드립니다..! [1] 지효철도 2023.06.02
554 기부 입금했습니다... 충전부탁드립니다...! 아톰 2023.07.1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9 Next
/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