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장대레일 재설정(인장기)시 레일절단량 계산(표준시방서 KCS 47 20 409 : 2019)

 

① 레일 인장기를 사용하여 장대레일을 재설정할 경우는 다음 각 호에 따른다.
    가. 일반구간= 0~22 ℃, 교량 및 분기기 구간= 15~22 ℃, 터널구간= 0~10 ℃의 범위에서 시행
    나. 레일 온도가 재설정 온도범위 보다 낮을 때, 레일 인장기를 이용하여 재설정 온도에 상당하는 길이로 맞춘다. 이때는

        재설정 시 종점에서의 밀림량, 온도 차에 의한 레일길이 신장량, 용접에 필요한 유간 등을 감안하여 레일을 미리 절단한다.
    다. 레일을 설정 온도에 맞게 인장한다. 이 때, 설정구간 내의 레일 온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레일 타격기로 충격을 가한다.
    라. 레일체결은 절단 개소로부터 양쪽 방향으로 40 m 구간을 우선 체결
    마. 교량상 장대레일은 거더 온도에 의한 변화와 레일 온도를 감안하여 설정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교량거더의 온도,

        장대레일 재설정 온도 간 상관관계를 검토
    바. 터널 내에서 장대레일을 설정할 때는 터널 내의 레일 온도 변화량에 근거하여 설정온도를 정함, 터널 시⋅종점으로부터

        100m 구간은 본선 개방구간의 설정 온도와 같게 함
   사. 장대레일 재설정 전.후구간에는 아래와 같이 계산된 레일신장 억제구간을 확보

 

       ∴ 레일신장억제구간 Z값의 계산

 

 

※ 선로유지관리 지침 제9장 장대레일 제83조(궤도구조 등) 2023년 5월 23일 개정내용 중 아래 칸 참고 

① 일반철도구간의 장대레일 궤도구조
4. 도상은 깬자갈로 하고 도상횡저항력은 평균 800 kgf/m이상, 최소 600 kgf/m 이상이 되도록 도상폭 및 두께를 확보하여야 한다.
② 고속철도 및 일반철도 고속화 구간(V ≥ 150km/h, 60E1 레일용 침목)의 도상횡저항력은 평균 900kgf/m 이상, 최소 650kgf/m 

   이상이 되도록 한다. 

 

    아. 레일 신장량(a) 계산 및 신장억제구간 단부의 이론 길이(b) 계산

 

 

여기서, b의 값은 장대레일 단부의 이론 신축량으로 구함

 

 

장대레일.jpg

                                                                        장대레일 재설정 작업 사진

 

출처: https://kyung57soo.tistory.com/12881248 [김경수 선로이야기:티스토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송정석 2025.09.10
자료를 다운 받을 시 100포인트 차감, 관련 자료를 게시할 시 3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5.08
3192 신분당선 주요 궤도설계 및 부설기준 송정석 2025.10.30
3191 신분당선 궤도구조 검토 및 선정 (Vanguard 궤도 포함) 송정석 2025.10.30
3190 60E1A1 K 특수레일 도면 송정석 2025.10.29
3189 60E1A1 K 특수레일 (공단 잠정표준규격) 송정석 2025.10.29
» 장대레일 재설정(인장기)시 레일 절단량 계산 송정석 2025.10.29
3187 콘크리트도상 유지관리 개선방안 john 2025.10.28
3186 콘크리트도상 궤도 유지관리 지침서(코레일) 송정석 2025.10.27
3185 중국산레일 [1] 어시스트 2025.10.24
3184 철도중장비 정비 시스템 구축 방안(철도공사 정비 시스템 및 해외 벤치마킹) [2] 송정석 2025.09.17
3183 레일용접 종류 및 특징 [5] 송정석 2025.09.16
3182 고속선에서의 레일 파상마모 특성 분석 [1] 송정석 2025.09.16
3181 열차제동거리(국가철도공단 설계기준 발췌) [1] 송정석 2025.09.10
3180 궤도시공 실시설계 보고서(383쪽) [1] 송정석 2025.09.10
3179 장대레일의 전반에 대한 이해 [12] 철이준이 2025.06.12
3178 분기기 종류 및 특징(일반철도, 고속철도) [8] 철이준이 2025.06.12
3177 선로전환기 명칭 및 점검요령 [6] update 철이준이 2025.06.12
3176 Vanguard 체결구 유지관리 매뉴얼 [2] 철이준이 2025.06.12
3175 분기기설치에 사용되는 간격재와 멈춤쇠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엄니 2025.06.08
3174 psm 공법에서 사용하는 스페셜 트롤리 [1] 미널 2025.06.04
3173 레일 직진도기(RailProf) 사용 조작 매뉴얼(데이터 출력 포함) [5] 무무 2025.05.29
3172 탐상기 매뉴얼(AD-3214RS) [2] 무무 2025.05.29
3171 철도 레일 PAUT 검사 매뉴얼(포터블탐상기) [1] 무무 2025.05.29
3170 레일탐상기(RT10-C) 사용자매뉴얼 [2] 무무 2025.05.29
3169 레일 도유기 에 의한 소음 저감효과 연구자료 [3] 무무 2025.05.28
3168 소음 저검용 도유기 설치 무무 2025.05.28
3167 경부고속선 자동살수장치 시공 개념도 [3] 무무 2025.05.28
3166 레일의 파상마모 설명 [21] 설악단 2025.03.11
3165 철도운영기관별 살수차 보유현황 [8] 설악단 2025.03.11
3164 레일 코팅시스템 설명자료 [6] 설악단 2025.03.11
3163 레일 손상의 종류 [12] 설악단 2025.03.11
3162 도시철도 정거장 건축공사 과정의 이해 [4] 곤이지지 2025.02.10
3161 1종장비 작업 사진 입니다 [3] 욕지 2025.01.10
3160 교량상 장대레일 축력저감 및 궤도안정성 향상 방안 연구(최종보고서) [11] 송정석 2024.09.24
3159 철도용어사전(한국철도공사) [41] 이한이서 2024.09.12
3158 가드레일의 종류 및 부설방법 [21] 돼지 2024.09.04
3157 밀페공간에서의 작업안전 [5] 돼지 2024.09.04
3156 레일연마 이론과품질점검 [7] 돼지 2024.09.04
3155 철도관련 용어정리 [29] 송정석 2024.09.02
3154 궤도선형검측기(트랙마스터) - 체코 제품 [10] 송정석 2024.08.06
3153 레일연마 이론과 품질관리 [9] 돼지 2024.08.06
3152 고속철도 유지관리 [11] 돼지 2024.07.31
3151 합성침목 PR자료 [10] 돼지 2024.07.31
3150 열차 주행중 판타 파손영상 [5] 솜사탕 2024.07.17
3149 전차선 시공 동영상 솜사탕 2024.07.17
3148 NS-25 설치 동영상 솜사탕 2024.07.17
3147 철도선로자갈정리기 [4] 오재빈 2024.07.02
3146 철도 자갈도상 궤광조립 [5] 오재빈 2024.07.02
3145 테르밋용접 시공영상 [9] 오재빈 2024.07.0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