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철도차량시스템        
   I-1. 철도차량의 분류        
   I-2. 차량의 종류        
        I-2-1. 수송차량 일반        
        I-2-2. KTX차량 일반        
        I-2-3. 디젤기관차 일반        
        I-2-4. 전기동차 일반        
        I-2-5. 전기기관차 일반        
   I-3. 차량의 설계        
        I-3-1. 차량한계 및 중량규제        
        I-3-2. 차축거리(고정축거)의 제한        
        I-3-3. 차륜직경제한        
        I-3-4. 차륜답면 형상 및 치수제한        
        I-3-5. 철도차량의 상면적과 정원        
        I-3-6. 열차저항        
        I-3-7. 차량의 환산 및 계산        
   I-4. 차륜과 레일        
        I-4-1. 차륜과 레일의 최적화        
        I-4-2. 접촉역학        
        I-4-3. 마찰력 제어        
        I-4-4. 차륜과 레일 재질        
        I-4-5. 차륜과 레일 동력학        
   I-5. 차량의 동역학        
        I-5-1. 개요        
        I-5-2. 입력 데이타        
        I-5-3. 동적성능        
   I-6. 차량과 대차의 동역학        
        I-6-1. 일본의 궤간가변대차        
        I-6-2. 폴란드의 가변대차        
        I-6-3. 스페인의 궤간가변차량        
        I-6-4. 자기부상열차(MAGLEV)        
        I-6-5. 틸팅차량        
   I-7. 탈선 메카니즘        
        I-7-1. 개요        
        I-7-2. 탈선 형태에 의한 분류        
        I-7-3. 탈선현상        
        I-7-4. 탈선계수        
        I-7-5. 윤중감소율        
        I-7-6. 탈선을 유발하는 주요요인        
        I-7-7. 곡선부에서의 탈선        
        I-7-8. 분기기에서의 탈선        


II. 운전이론과 열차계획        
   II-1. 운전이론의 개요        
        II-1-1. 운전이론의 의의        
        II-1-2. 운전이론의 범위        
   II-2. 운전역학        
        II-2-1. 단위        
        II-2-2. 운동과 힘        
        II-2-3. 거리, 속도, 가속도 상관관계        
   II-3. 동력차 성능        
        II-3-1. 치차비        
        II-3-2. 주전동기의 회전력        
        II-3-3. 전동기의 손실과 효율, 정격전류        
        II-3-4. 견인력        
        II-3-5. 전동차의 표준화 사양        
   II-4. 열차저항        
        II-4-1. 저항의 종류        
        II-4-2. 출발저항(Starting Resistance)        
        II-4-3. 주행저항(Running Resistance)        
        II-4-4. 구배저항        
        II-4-5. 곡선저항        
        II-4-6. 터널저항        
        II-4-7. 환산 구배(Equivalent Grade)        
        II-4-8. 가속도 저항(Inertia Resistance)        
        II-4-9. 축중 이동        
   II-5. 제동거리의 산출        
        II-5-1. 공주거리        
        II-5-2. 실제동거리        
        II-5-3. 전 제동거리의 산출        
        II-5-4. 제동시간 산출        
        II-5-5. 제동거리 약산식        


III. 궤도․토목시스템        
   III-1. 일반        
        III-1-1. 서론        
        III-1-2. 곡 선(curve)        
        III-1-3. 기울기(grade)        
        III-1-4. 건축한계(construction gauge)        
        III-1-5. 궤도중심간격(track spacing)        
        III-1-6. 노반과 토공정규        
        III-1-7.  선로의 부담력(bearing power of roadway)        
   III-2. 정거장        
        III-2-1. 서론        
        III-2-2. 정거장의 설비(facilities of station)        
   III-3. 궤 도        
        III-3-1. 서론        
        III-3-2. 레일(궤조, rail)        
        III-3-3. 레일이음매(rail joint)        
        III-3-4. 궤도의 부속설비(track accessories)        
        III-3-5. 침목(tie, sleeper)        
        III-3-6. 도상(ballast)        
        III-3-7. 슬랙과 캔트(slack and cant)        
   III-4.  분기장치        
        III-4-1. 서론        
        III-4-2. 분기기의 개요        
        III-4-3. 가드레일(호륜레일, 호륜기, guard rail or guard)        
   III-5. 선로설비        
        III-5-1. 선로의 제설비(equipment of track)        
        III-5-2. 건널목설비(equipment of level crossing)        
        III-5-3. 선로방비(defence of track)        
   III-6. 장대레일        
        III-6-1. 서론        
        III-6-2. 장대레일의 부설조건        
        III-6-3. 장대레일부설(construction of long welded rail)        
        III-6-4.  장대레일의 보수        
   III-7. 철도보수        
        III-7-1.  서론        
        III-7-2.   궤도정비기준        
        III-7-3.   보선장비        


IV. 급전시스템         
   IV-1. 전기철도 일반        
        IV-1-1. 전기철도의 개요        
        IV-1-2. 전기관련 용어 정의        
        IV-1-3. 전기철도의 종류        
        IV-2. 전기철도 설비의 구성        
        IV-2-1. 전차선로        
        IV-2-2. 변전설비        


V. 신호시스템        
   V-1. 개요        
        V-2. Fail Safe원칙        
        V-2-1. 폐전로식 궤도회로의 경우        
        V-2-2. 전원과 기기의 위치를 양쪽으로 하는 경우        
        V-2-3. 양선제어로 하는 경우        
   V-3. 신호기장치        
        V-3-1. 신호의 종류        
        V-3-2. 상치신호기        
        V-3-3. 임시신호기        
        V-3-4. 특수신호        
   V-4. 선로전환기 장치        
        V-4-1. 선로전환기 진로 방향설정        
        V-4-2. 선로전환기의 종류        
        V-4-3. 기계식 선로전환기        
        V-4-4. 전기선로전환기(NS형)          
        V-4-5. 전기선로전환기(NS-AM형식)        
        V-4-6. 노스가동형 선로전환기(MJ81형)        
        V-4-7. 차상선로전환장치        
   V-5. 궤도회로 장치        
        V-5-1. 궤도회로의 원리        
        V-5-2. 궤도회로의 종류        
        V-5-3. 궤도회로 구성        
        V-5-4. 궤도회로의 극성과 사구간        
        V-5-5. 직류 바이어스식 궤도회로        
        V-5-6. 고전압 임펄스 궤도회로        
        V-5-7. AF궤도회로        
   V-6. 폐색(ABS) 장치        
        V-6-1. 폐색의 종류        
        V-6-2. 폐색방법        
        V-6-3. 폐색방식        
        V-6-4. 자동폐색장치        
        V-6-5. 통표폐색식        
        V-6-6. 연동폐색식        
        V-6-7. 자동폐색장치의 구성 및 개요도        
   V-7. 연동장치        
        V-7-1. 연동장치의 종류        
   V-8. 건널목 보안장치        
        V-8-1. 건널목의 분류        
        V-8-2. 구성기기        
   V-9. 자동열차정지장치        
        V-9-1. ATS의 필요성        
        V-9-2. ATS설비의 기본조건        
        V-9-3. ATS장치 및 동작개요도        
        V-9-4. 점제어식 ATS-S(S-1형)        
        V-9-5. 속도조사식 ATS-S(S-2형)        
   V-10. 열차집중제어장치(CTC장치)        
        V-10-1. 개요        
        V-10-2. 연혁        
        V-10-3. 시스템 구성        
        V-10-4. CTC 정보흐름        
        V-10-5. 장치별 주요기능        
   V-11. 열차자동제어장치(ATC장치)        
        V-11-1. 개요        
        V-11-2. 특징        
        V-11-3. ATC 운전특성곡선        
        V-11-4. ATC장치의 구성        
        V-11-5. ATC장치의 기능        
        V-11-6. AF궤도회로 장치        
  

VI. 통신시스템         
   VI-1. 전송설비        
        VI-1-1. 광케이블        
        VI-1-2. 광섬유케이블(Optical fiber Cable)        
        VI-1-3. 전자교환기        
        VI-1-4. 전송설비        
        VI-1-5. 사령전화장치        
        VI-1-6. 사령원격방송설비        
        VI-1-7. 화재탐지설비        
   VI-2. 무선통신설비        
        VI-2-1. 철도무선통신        
        VI-2-2. 일반철도(VHF)무선설비        
        VI-2-3. 고속철도 무선설비(주파수공용통신) TRS        
   VI-3. 정보설비        
        VI-3-1. 역무자동화설비        
        VI-3-2. 교통카드 시스템        
        VI-3-3. 안내장치        
        VI-3-4. 영상감시장치(CCTV)        
        VI-3-5. 자동방송설비        
        VI-3-6. 통신안전관리        
        VI-3-7. 전원설비        


VII. 안전관리        
   VII-1.  총설        
        VII-1-1. 안전관리 개념        
        VII-1-2. 안전관리 필요성        
   VII-2. 재해발생        
        VII-2-1. 원인        
        VII-2-2. 간접원인        
        VII-2-3. 관련요인        
        VII-2-4. 불안전한 상태 및 행위를 촉발하는 주변요인        
        VII-2-5. 재해발생 비율        
        VII-2-6. 인간의 불완전 특성        
        VII-2-7. 재해 예방대책        
        VII-2-8. 재해업무처리규정 예시


  • ?
    최봉식 2008.07.08 14:51
    [[uks_5]]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 ?
    김민찬 2008.08.11 14:56
    [[uks_5]]좋은자료 감사합니다. 업무에 참고하겠습니다.
  • ?
    성덕룡 2012.03.25 18:44
    [[uks_5]]좋은 자료에 항상 감사합니다.
  • ?
    박승주 2020.12.10 12:06
    감사합니다.
  • ?
    전갈 2022.06.06 17:04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자료를 다운 받을 시 -10포인트 차감, 관련 자료를 게시할 시 +2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5.08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4] 송정석 2021.10.28
776 철도시스템 공학의 이해(3-2) [4] 송정석 2008.06.22
» 철도시스템 공학의 이해(3-3) [5] 송정석 2008.06.22
774 궤도설계 및 유지관리 [3] 송정석 2008.06.22
773 선로공학 (수정분) [4] 송정석 2008.06.22
772 철도궤도공사표준시방서 [2] 김장규 2008.06.17
771 곡선부 절연블럭 수량 계산 [5] 김정민 2008.06.17
770 세계 최고도 칭장철도 [3] 김효식 2008.06.09
769 베트남철도현황 [4] 김효식 2008.06.09
768 신교통 시스템 소개 (일본) _ (2) [4] 송정석 2008.06.07
767 신교통 시스템 소개 (일본) _ (1) [4] 송정석 2008.06.07
766 터널보수보강 편람(1장) [6] 이대수 2008.06.04
765 캐나다 토론토 Transit Commission (TTC) [3] 송정석 2008.06.02
764 뉴욕 City Transit (MTA) 레일 컨트롤 센터 [2] 송정석 2008.06.02
763 레일결함의 종류 [21] 이준산 2008.06.01
762 고속철도궤도공사표준시방서 [3] 김장규 2008.05.30
761 레일과 차륜의 마모 [2] 김장규 2008.05.30
760 철도건설규칙(070920) 최백준 2008.05.29
759 선로정비지침(071212,철도산업팀-2654,전면개정,고속철도와통합) [7] 최백준 2008.05.29
758 레일용접관련지침(건설교통부) [10] 김형규 2008.05.28
757 장대레일의_용접종류_및_특징 [5] 김형규 2008.05.28
756 철도궤도공사시공순서 [13] 김형규 2008.05.28
755 장대레일 교량거더 회전변위에 의한 추가축력 연구 [1] 임공철 2008.05.27
754 hybrid motor car 개요 [2] 정재영 2008.05.21
753 한국철도와 시스템엔지니어링(원고) [5] 임광만 2008.05.14
752 프랑스 TGV 사고 [1] 송정석 2008.05.10
751 충돌사고의 다양한 유형들 송정석 2008.05.10
750 철도사고 사례발표 (취급부주의) [5] 송정석 2008.05.10
749 가좌역 구내 붕괴 사고사례 [3] 송정석 2008.05.10
748 철도선로일반 [2] 이원식 2008.05.10
747 열처리레일발전사 [5] 정도모 2008.05.07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105 Next
/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