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기술연구원-현대로템의 국내최초 제작/100%/베터리주행/무가선 저상 트램 노면전차




잘빠진 전면부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노면주행시 열차 앞의 장애물(또는 사람)이 차량 밑으로 끼어들어갈 공간이 있어서 개선이 필요해 보입니다.
해외의 차량들은 야구공 크기의 물체도 끼어들어가지 못할정도로 가드(범퍼)가 있거나 차체외관이 바닥에 밀착되어 있습니다.

2
2
2


운전석 모습입니다. 인체공학적(?) 배치가 약간 아쉬운 것 같습니다. 직접 앉아보진 않았지만 마스콘의 위치나 계기들의 배열이
조금 기관사의 자세를 불안정하게 할거 같은 느낌입니다.(해외 차량과 비교해서 말입니다.)

2
2
2


전두부와 반쪽짜리 1번 출입문 입니다. 운전석 문이 열려있어 보이다 시피 운전실 개방구조입니다. 우측 엑스포 공식(?) 안내판이 있습니다.

2
2
2


이어서 보이는 후부 입니다.  차량 전면에 걸쳐 넓직한 유리로 개방감은 여느 철도차량보다 최고일 것입니다.
보시다 시피 5량1편성 입니다만. 1량의 길이가 우리가 알던 철도차량보다 휠씬 작고,
1편성중 어느 한 량이라도 분리가 된다면 운행이 불가능한 편성 구조입니다. 구동대차는 1량 5량에 반쪽짜리 출입문과 함께 있고,
비구동대차는 3량에 있는 대신 베터리와 팬터그래프가 있습니다. 2량 4량은 매달려있는 형태로 양문형 출입문이 있습니다.

2
2
2


1(5)량 2(4)량 내부입니다. 내부 역시 개방감 최고입니다.

2
2
2


운전실쪽 실내 입니다. 전방 조망이 좋습니다만 손잡이가 아직 차량 내부 곳곳에 부족한 듯합니다.

2
2
2


접이식 의자가 설치된 장애인 휠체어 공간입니다. 자전거 공간이 없어서 아쉬웠지만 시제차량인 만큼 양산 차량에선 주문자의
요구대로 얼마든지 제작이 가능하리라 봅니다.

2
2
2


다시 밖으로 나와서 얼마나 저상인지를 확인하는 사진입니다. 레일상면에서 차량 바닥면까지가 얼마나 될까요..

2
2
2


아.. 출입문에 동그란 녹색 원은 출입문 열림장치입니다. 허용된 조건(기관사가 열리도록 조작)하에서 누르면 문이 열립니다.
(해외에서 많이 경험해보셨을 것입니다. - 야외로만 다니다보니 냉난방을 위해 필요한 장치이기도 하지요.)
필요한 경우 녹색불이 켜져있을때 누르면 열리고, 기관사가 더이상 열리는 것을 원치 않는것으로 조작하면 더이상 열리지 않습니다.

2

[출처] 국내최초 제작/100%저상/베터리주행/노면 철도차량 시승회 (철도기술카페) |작성자 유현선

2
  • ?
    박주환 2012.07.10 20:50
    [[uks_5]]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 ?
    김윤태 2012.07.14 10:19
    [[uks_5]]사진에서 휠과 레일이 닿는 면이 없는게 아쉽네요 ;; 아 다운을 받으면 있을려나;; 만성포인트 부족입니다.
  • ?
    우그니 2024.04.15 10:46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자료를 다운 받을 시 -10포인트 차감, 관련 자료를 게시할 시 +20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15.05.08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4] 송정석 2021.10.28
2186 경부고속철도 콘크리트침목 균열 원인과 대책 [1] 송정석 2012.07.28
2185 경부고속철도 2단계 침목균열 합동조사 보고서 [4] 송정석 2012.07.28
2184 선상역사, 선하역사, 지상역사 [3] 박성현 2012.07.22
2183 지하철 스퀼소음에 관한 연구 [3] 송정석 2012.07.21
2182 특수철도의 종류 [3] 송정석 2012.07.21
2181 알기쉬운 수명예측 교재(한국표준협회) [1] 송정석 2012.07.21
2180 PC침목 제작공정 사진 [4] 송정석 2012.07.08
2179 EVA 레일패드 및 우레탄 레일패드 [3] 송정석 2012.07.08
2178 터널구간 콘크리트궤도 적용에 따른 설계기준 검토 [4] 송정석 2012.07.08
2177 콘크리트침목의 종류별 사진 [4] 송정석 2012.07.08
2176 콘크리트궤도 유지관리 보수(교육자료) [4] 송정석 2012.07.08
2175 콘크리트궤도 시공순서(Rheda) 사진 [6] 송정석 2012.07.08
2174 철도설계지침(궤도편) 개정(11.6월) [2] 송정석 2012.07.08
2173 선로중심간격 및 터널단면적 검토 보고서 [4] 송정석 2012.07.08
2172 선로고장율 감축을 위한 동절기 레일훼손 방지대책 [3] 송정석 2012.07.08
2171 레일절손 사고예방 및 레일절손시 응급복구 방법 [2] 송정석 2012.07.08
2170 레일탐상 지적개소 탐상결과 분석(대구도시철도공사) [3] 송정석 2012.07.08
2169 궤도틀림 발생 및 진행에 관한 고찰(콘크리트 궤도) [4] 송정석 2012.07.07
» 무가선 저상 트램 노면전차 (사진포함) [3] 송정석 2012.07.03
2167 도시철도 레일연마 주기 산정을 위한 시험적 연구 [3] 송정석 2012.06.05
2166 콘크리트도상궤도 유지관리 지침서 (최종보고서) : 136쪽 [8] 송정석 2010.06.05
2165 콘크리트도상 궤도 유지관리 지침서 (요약) : 27쪽 [4] 송정석 2012.06.03
2164 선로유지관리 지침서(한국철도시설공단) [5] 송정석 2012.06.03
2163 철도설계편람 (궤도편) : 제3장 선형 및 배선 [3] 송정석 2012.05.06
2162 철도설계편람 (궤도편) : 제4장 자갈궤도 구조 [1] 송정석 2012.04.26
2161 철도설계편람 (궤도편) : 제5장 콘크리트궤도 구조 [3] 송정석 2012.04.26
2160 철도설계편람 (궤도편) : 제6장 장대레일 [1] 송정석 2012.04.26
2159 철도설계편람 (궤도편) : 제7장 궤도재료 설계 [2] 송정석 2012.05.14
2158 철도설계지침 (궤도편) 송정석 2012.03.02
2157 한국철도학회 2010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 송정석 2012.02.06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105 Next
/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