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보면 살아있는 사람에게는 한 번, 돌아가신 분께는 두 번, 부처님이나 큰스님께는 세 번을 합니다. 일반 제사때도 두 번 절하고 반배를 합니다. 하지만 불교식의 제례에서는 세번 절을 하는데, 이는 불법승 삼보 신앙에 근원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불교에서는 살아있는 사람이나 돌아가신 영가님이나 모두를 삼보의 일원으로 생각하면서, 금생에 이루지 못함을 내생에라도 부처를 이루라는 불교의 염원이 담겨져 있습니다.

그런데 현생에서 불교와 인연이 없었다면, 인연이 없었던 분들 또한, 부처님에 귀의하고, 법에 귀의하고 승단에 귀의해서 지혜를 얻어 열반의 산에 올라가시라는 염원이 담겨있습니다.

불교는 살아있는 사람만을 위한 종교가 아니라. 돌아가신 분들도 구제의 대상이요, 성불의 대상으로 보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꼭 절은 세 번 해야 한다는 법도 없기에 개인의 가치관에 따라서 유교식으로 두번 절을 해도 무방하디고 할 수 있겠습니다. 중요한 것은 형식이 아니고 절을 하는 사람의 마음이니까요.


출처 : 불교인터넷 음악방송국

  • profile
    송정석 2019.02.11 12:52

    [네이버에서...]

    2번을 절을 하고 반배로서 예를 갖춘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2번째는 종교적 예절이구요~
    3배를 하는 것은 천인지(天人地)의 원리에 의해 3번을 하는 것입니다,


    이 3이라는 숫자는 완성의 뜻입니다, 하늘과 땅이 연애를 하여 사람을 낳았고 만물을 낳았습니다,
    따라서 3이라는 숫자는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형성되고 있는데요~? 3시세끼, 3일장, 3일치성, 제물도
    3색과일 3발이,


    시골에서 쓰는 농기구도 쇠스랑과 도구도 3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물며 시상식도 3등까지입니다,


    사람도 3의 계층입니다, 상류 중류 하류이고 고스톱도 쓰리고가 있습니다,
    따라서 내기를 해도 첫번째와 두번째는 완성을 하지 못하고 삼시세판으로 마무리를 짓습니다,


    다이어트도 3의 법칙이 있구요~ 뉴튼의 3의 법칙도 있습니다,
    인간의 집중력도 3분이내라고 합니다,


    이렇듯 3이라는 숫자는 완성의 숫자로 절을 3번을 한다고 이해를 하시면 될 것입니다,

  • profile
    송정석 2019.02.11 12:58

    [네이버에서...]

    제사 때 절은 누구나 다 똑 같이 하는 것은 아니랍니다.
    일반적으로 집안의 어른이나 종손이 제례를 집행하는데 이는 네 차례 절을 하고 나머지 제사에 참석한 사람들은 세 차례 절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남자들은 두번씩 절을 하는 재배(再拜)를 하지요.
    제례를 집행하는 사람이 한 차례 절을 더 하는 이유는 招魂 즉, 돌아가신 조상님의 혼백을 부르는 의식인 향을 피우고 혼자서 먼저 절을 하는 의식(焚香再拜)을 행하기 때문입니다.


    다음으로는 잔을 올리고 모두 함께 절을 하는데 이는 오신 조상님께 모두 인사를 드리는 의식으로서 항렬에 따라서 웃대부터 아래로 차례로 하는 것이 옳을 것입니다.


    그 다음에는 밥그릇의 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국에 적셔 밥그릇에 꽂은(開飯揷匙) 다음 역시 항렬별로 또는 兄과 弟의 순서대로 잔을 올리면서 각자 한 차례씩 절을 한 다음 조상님께 차려진 음식을 드시라고 소등하고 모두 방을 나섭니다.


    제상이 차려진 방 밖에서 한 참을 기다린 다음 다시 방으로 들어가서 점등하고 국그릇을 내리고 숭늉을 올리고 수저를 뽑아서 숭늉에 적셔서 정리한 다음 마지막으로 잘 가시라는 인사의 절을 올리는 것입니다.


    제사자랑은 하지 않는다는 옛말이 있습니다.
    이는 각각의 가문이나 집안에 따라서 제례가 다를 수 있다는 뜻도 되는 것입니다.

  • ?
    kokori 2019.02.11 15:22
    보통 2번 올리지만 집안마다 제사문화가 틀린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글 작성 시 30포인트, 댓글 작성 시 10포인트 충전 송정석 2024.05.30
포인트 모으는(충전) 방법 [26] 송정석 2023.02.05
4537 가입인사 [2] 디마리아 2019.04.02
4536 가입인사 [3] 김장군 2019.04.01
4535 가입인사 [2] sb 2019.04.01
4534 가입인사 [1] 차니니 2019.04.01
4533 날씨가 쌀쌀하네요 [3] 먀랴 2019.03.31
4532 철도토목기사 시험접수 [5] soo 2019.03.29
4531 철도토목기사 2회차 한달 남았네요~! [3] 라크날 2019.03.27
4530 가입인사드립니다... [3] 봉차 2019.03.24
4529 가입인사 드립니다. [3] 황경성 2019.03.24
4528 비가 오네요 [1] 운명 2019.03.21
4527 철도토목공부하는학생입니다. [9] lwea 2019.03.10
4526 요즘 [3] PSK 2019.03.10
4525 즐 주말되세요~~~ [3] 운명 2019.03.09
4524 신입 [3] 사입머 2019.03.06
4523 경칩``` [2] 운명 2019.03.06
4522 안녕하세요 [3] 앵두조아 2019.03.06
4521 3월입니다. [3] kokori 2019.03.05
4520 해피한주되세요 [2] 운명 2019.03.04
4519 정회원 [4] 삼손 2019.03.04
4518 자료 감사합니다 [4] 삼손 2019.03.04
4517 주말에 일하시는 분들 힘내십쇼! [3] 전가오 2019.03.02
4516 운영자님 감사합니다. [4] Johnjeong 2019.03.01
4515 안녕하세요 [4] 김영기 2019.02.28
4514 행복한 주말되세요~ [4] 운명 2019.02.23
4513 2019 한국도시철도학회 춘계학술대회 [1] 송정석 2019.02.23
4512 철도토목기사 준비 [3] 비이제이 2019.02.21
4511 기출문제를묶어서 판매하시면안되나요? [2] 지효긩 2019.02.16
4510 가입인사드려요 [4] 차차니 2019.02.15
4509 안녕하세요 [4] dhfb 2019.02.12
4508 80만원대 게이밍 PC조립 : 선생님, 배틀 그라운드가 하고 싶어요..... [1] 송정석 2019.02.11
4507 교대근무 하시는 분들 화이팅입니다!! [1] 전가오 2019.02.11
» 제사 때 절은 몇 번 해야 하나요?? [3] 송정석 2019.02.11
4505 오늘도 [2] 전가오 2019.02.09
4504 저녁도 즐거운 시간 되세요 [4] 운명 2019.02.08
4503 가입 인사 오지게 박겠습니다! [6] 전가오 2019.02.08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48 Next
/ 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