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대기업 중 46%가 교육기간이 일주일 이내인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 대상자 111명 중 55명 이상이 과정을 마친 뒤 현업으로 복귀했다
교육대상자 111명 중 45명이 교육 도중 위로금을 받고 나갔다

‘일주일 교육’ 저성과자 “해고 정당” 논란
 
ㆍLG 6년차 사원 1심 패소…‘노동부 양대지침’ 시행 후 첫 판결
ㆍ법원 “퇴출 프로그램 아냐”…형식만 갖추면 ‘쉬운 해고’ 우려

올해 초 고용노동부의 ‘저성과자 해고 지침’ 시행 이후 저성과를 이유로 한 해고가 정당하다는 1심 법원의 첫 판결이 나왔다.

그간 저성과자 해고는 과장급 이상 간부사원이 주 대상이었는데 이번 해고는 입사 6년 사원이 대상이었다는 것이 눈에 띈다.

노동계는 항소심·대법원에서 이 판결이 그대로 확정될 경우 사용자들에게 형식적 요건만 갖추면 손쉽게 해고가 가능하다는 신호를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서울행정법원 행정13부(유진현 부장판사)는 지난해 3월 LG전자에서 해고된 ㄱ씨(33)가 제기한 부당해고 구제 재심판정 취소소송에서 원고 패소 판결을 지난 7월 내렸다. 7년 전 신입사원 대졸 공채로 입사한 ㄱ씨는 비연구·개발(R&D) 부서에서 일하다 2011년부터 R&D 부서에서 근무했다. 2010년 첫 성과평가 때 중간 등급을 받은 그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3년 연속 최하위 등급을 받았다. 회사는 2014년부터 직전 3년간 성과평가에서 연속 하위 평가를 받은 직원들을 대상으로 ‘역량 향상 과정’을 처음 시행했는데 그는 다른 직원 110명과 함께 대상자로 선정됐다.

이 프로그램은 매년 1~2월에 대상자를 정한 뒤 3월에 1차로 열흘간 집체교육을 실시하고 4~6월까지 현업에서 일정한 과업을 하도록 한다. 7월에는 성과를 평가해 향상 판단을 받은 이들은 현업으로 복귀시킨다. 향상이 안됐다고 판단받은 이들은 8월 닷새간 2차 집체교육, 9~11월 현업 복귀 뒤 과제 수행, 12월 평가 등의 과정을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밟는다.

ㄱ씨는 역량 향상 과정 상·하반기 평가에서 향상 판정을 받지 못해 그해에도 최하위 등급을 받았다. 회사는 지난해 1월 “능력 미흡 및 개선 불가로 기존 직무를 계속하는 게 부적합하므로 새 직무가 부여될 때까지 대기발령 조치한다”고 알렸고, 2개월 뒤에는 “당신을 원하는 부서가 없었다”며 ㄱ씨를 해고했다.

ㄱ씨는 역량 향상 과정 참가에서 해고까지 1년도 걸리지 않은 점, 회사가 이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대상자들에게 위로금을 제안하면서 퇴사를 압박한 점 등을 들어 이 과정의 목적이 ‘퇴출’에 있다고 설명했다.

재판부는 하지만 “대상자 111명 중 55명 이상이 과정을 마친 뒤 현업으로 복귀했다는 점을 보면 이 과정이 퇴직시킬 목적으로 만들어졌다고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집체교육 내용이 현업과 직결되지 않았다는 주장에 대해선 “보고서 기획 및 작성, 업무 보고 기술, 말하기 연습 등 업무 수행과 관련된 주제에 대해 교육이 상당한 시간 동안 이뤄졌다”고 판단했다.

하지만 집체교육 기간 일주일가량을 ‘상당한 시간’이라 판단하는 건 무리라는 지적이 나온다. 노동연구원이 지난해 말 발표한 ‘인사평가제도의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보고서는 “대기업 중 46%가 교육기간이 일주일 이내인 것으로 조사됐는데 교육 프로그램이 형식적 절차에 그치고 있다는 의심을 들게 한다”고 지적했다.

퇴출 프로그램 논란을 빚고 있는 현대중공업의 역량 향상 과정조차 지난해 수개월에 걸친 교육이 이뤄졌다.

LG전자의 성과평가 방식이 2011년엔 절대평가였지만 2012~2013년엔 상대평가였다는 점은 재판 쟁점으로 다뤄지지도 않았다. 노동부의 저성과자 해고 지침조차도 상대평가는 타당성을 인정받기 어렵기 때문에 절대평가를 혼용하라고 안내하고 있다.

이정미 정의당 의원은 “대상자 111명 중 45명이 교육 도중 위로금을 받고 나갔다는 점에는 재판부가 주목하지 않았다. 아울러 다른 부서에서 원하지 않았다는 이유만으로 전환 배치도 하지 않은 채 해고한 것은 부당하다”고 짚었다.

ㄱ씨는 “회사 잘못도 있는데 모든 책임을 직원에게 전가하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최근 항소를 제기했다.


<김지환 기자 baldkim@kyunghyang.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포인트 모으는(충전)하는 방법 송정석 2024.08.17
글 작성 시 30포인트, 댓글 작성 시 10포인트 충전 [29] 송정석 2024.05.30
((알림)) 기부금을 기부하였으나, 포인트 충전이 않되신 회원님...... [18] 송정석 2025.09.28
4204 [속보] 서울 지하철 5호선 사고로 30대 승객 사망 송정석 2016.10.19
4203 5호선 김포공항역서 승객 사망… 도시철도공사 “경위 파악중… 재발방지 대책 마련에 최선” 송정석 2016.10.19
4202 가입인사 드립니다... [1] 준수서령아빠 2016.10.18
4201 서울메트로-서울도시철도공사, 통합논의 본격화... 1차 노사정협의체 회의 개최 송정석 2016.10.15
» 저성과자 교육후 저평가시 해고 정당 논란(서울행정법원) 송정석 2016.10.12
4199 가입인사드립니다. [1] 철도철도 2016.10.12
4198 서울시, 서울메트로·도철 통합 재추진한다(종합) [1] 송정석 2016.10.10
4197 지하철 탈선, 훈련으로 조작한 인천교통공사 임원 직위해제... 해임될 가능성이 높음 송정석 2016.10.07
4196 가입인사 드립니다. [2] 장장고 2016.10.07
4195 인천지하철2호선 전동차 탈선사고를 훈련이라고...인천지하철 사기극 ! 송정석 2016.10.07
4194 국정감사에서 등장한 초등학교 2학년 수학문제.... [2] 송정석 2016.10.06
4193 가입인사 드립니다 [4] 영조 2016.10.06
4192 코레일 전기차량분야란? [1] 서울쌍둥이 2016.09.30
4191 파업 좀 해도 나라 안 망합니다 송정석 2016.09.30
4190 안녕하세요 가입인사 드립니다~ [1] KOOSTION 2016.09.29
4189 지하철·철도 파업 노동자들이 시민들에게 감동한 이유 송정석 2016.09.29
4188 가입인사 드립니다. [1] 잘생겨서미안 2016.09.27
4187 가입 인사 드립니다. [1] 임캡틴 2016.09.26
4186 가입인사 드립니다 [2] 강현우 2016.09.25
4185 2016년도 부산교통공사 신입사원 채용공고 (접수기간 : '16.9.30∼10.7일까지) 송정석 2016.09.24
4184 옥스퍼드, 세계대학평가 1위…서울대 72위 · 카이스트 89위 · 포스텍 104위 송정석 2016.09.22
4183 서울매트로, 서울도시철도공사 간부들, 여직원 만지고 야동 보내고... 송정석 2016.09.23
4182 인하대학교 약자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 [1] 송정석 2016.09.22
4181 해빙기 건설현장 안전점검 [2] 황금보기를돌처럼보기 2016.09.21
4180 물질안전 MSDS 자료 [1] 황금보기를돌처럼보기 2016.09.21
4179 철도기술사 응시인원(필기, 실기) 및 최종 합격률 송정석 2016.09.15
4178 철도토목기사 응시인원(필기, 실기) 및 최종 합격률 송정석 2016.09.16
4177 철도토목산업기사 응시인원(필기, 실기) 및 최종 햡격률 송정석 2016.09.16
4176 철도토목기능사 응시인원(필기, 실기) 및 최종 합격률 송정석 2016.09.16
4175 송유근이 다니는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는 어떤 학교인지 ???. 송정석 2016.09.16
4174 KTX 모델 선정이 일본 신칸센이나 독일의 ICE가 아닌 프랑스 TGV로 선정된 이유 ? [2] 송정석 2016.09.10
4173 추석... 한가위... 똑같은 말 아닌가요 ? 송정석 2016.09.10
4172 감사합니다, 인사드립니다. [1] 불도저 2016.09.09
4171 신고합니다 [1] 불도저 2016.09.07
4170 가입인사드립니다. [4] 피터팩 2016.09.07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162 Next
/ 162